
1. 사육신공원에서 바라본 여의도와 63빌딩, 그리고 푸르른 늦가을 하늘 사육신묘를 품은 언덕은 북쪽은 한강과 접해있고, 서쪽과 동쪽은 한강변 평지, 그리고 남쪽 은 서달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이나 노량진로 개설로 서로가 끊어져 있다. 2. 사육신공원에서 바라본 한강과 한강철교, 용산구, 마포구 지역 용산구와 마포구 지역 너머로 멀리 서울의 듬직한 진산, 북한산(삼각산) 산줄기가 시야에 들어온다. 3. 사육신공원에서 바라본 여의도63빌딩과 한강, 마포구, 용산구 지역 4. 사육신공원 정상부에 닦여진 야생화정원 사육신공원 정상부 서쪽에는 장미꽃 등 여러 꽃들의 공간인 야생화정원이 있다. 사육신묘 일대를 사적공원 겸 시민공원으로 꾸미면서 달아놓은 것으로 내가 갔을 때(10월 말)는 장 미꽃들이 늦가을 향연을 ..

1. 사육신묘 의절사 의절사는 사육신묘의 사당으로 1978년에 세워졌다. 사육신 6명(박팽년, 성삼문, 하위지, 유응부, 유성원, 이개)과 김문기 등 7명이 봉안되어 있으며, 흥선대원군 시절에 사라진 민 절서원을 대체하는 존재로 사당 뜨락에는 옛 민절서원의 신도비와 1955년에 세워진 육신 묘비가 있다. 그리고 사당 뒷쪽 언덕에 사육신묘가 자리한다. 2. 의절사 뜨락에 상큼하게 깃든 늦가을 (민절서원 신도비 주변) 3. 의절사와 사육신묘 입구인 불이문 삼문으로 이루어진 불이문을 들어서면 의절사와 사육신묘로 이어진다. 의절사와 사육신묘 구역, 사육신역사관은 9~18시에만 개방을 하며, 그 외에 사육신공원 공간은 24시간 자유 공간이다. 4. 사육신묘 의절사에서 사육신공원 입구, 노량진역으로 내려가는 길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