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봄이 상큼하게 깃든 대한의원(구 대한의원 본관) 뒷뜨락 2. 대한의원 뒷쪽에 있는 대한의원 병동터대한의원은 1906년에 짓기 시작하여 1908년에 완성을 보았다. 탁지부 건축소가 설계한 것으로 그 시절 조선은행 본관, 동양척식주식회사 건물과 더불어 서울의 3대 명물로 꼽혔는데, 대한의원 본관은 벽돌조의 2층 건물로 495평 규모이며, 병동은 단층 벽돌조건물로 7개 동 150병상을 지녔다. 대한의원 본관은 지금까지 자리를 지키고 있으나 병동은 병원 확장 과정에서 철거되고 말았는데, 철거된 병동 중 대한의원 본관과 서울대병원 본관 사이에 있던 건물(1병동)터만 남겨 옛 서울대병원의 역사 유물로 삼았다. 3. 대한의원의 명물, 건물 꼭대기에 달린 시계탑돔양식의 둥근 지붕을 얹힌 네오바로크풍의 시계탑으로 ..

1. 경모궁터의 중심부 (경모궁 중심 건물의 뒷쪽 건물터) 창경궁은 성종 시절 창덕궁에서 분리되어 생겨난 공간이다. 현재 창경궁은 창경궁로 서쪽에 있는데, 원래는 창경궁로를 넘어 대학로까지 넓게 덩치를 걸치고 있었다. 서울대병원이 자리한 창경궁로와 대학로 사이 언덕에는 창경궁 후원(정원)이 있었는데, 그 정원을 함춘원이라 불렀다. 1484년 성종이 창덕궁 동쪽 공간을 떼어 창경궁을 조성했는데, 그때 풍수지리에 따라 서울대병원이 자리한 동쪽 언덕에 나무와 수풀을 심었다. 그때는 담장까지는 두르지 않은듯 싶으며, 왕족과 창경 궁과 관련되지 않은 일반 사람들의 출입을 엄격히 금지했다. 그러다가 1493년 그 공간에 함춘원이란 이름을 붙이면서 창경궁에 딸린 후원으로 삼았다. 연산군 시절에는 함춘원을 크게 확장하..

1. 경모궁터 (옛 지도에 표시된 경모궁터) 대학로 서쪽에는 서울대학교병원과 서울대연건캠퍼스가 넓게 자리하고 있다. 병원 냄새가 진동하는 그 너른 현장 북쪽에 고색의 장소가 하나 숨겨져 있으니 그가 함춘원의 일원이었던 경모궁터(경모궁 지)이다. 창경궁은 성종 시절 창덕궁에서 분리되어 생겨난 공간이다. 현재 창경궁은 창경궁로 서쪽에 있는데, 원래는창경궁로를 넘어 대학로까지 넓게 덩치를 걸치고 있었다. 서울대병원이 자리한 창경궁로와 대 학로 사이 언덕에는 창경궁에 딸린 후원(정원)이 있었는데, 그 정원을 함춘원이라 불렀다. 함춘원이란 이름의 궁궐 정원은 창경궁 동쪽 외에도 경희궁 개양문 남쪽에도 있었는데, 그중 규모와 입지는 창경궁 것이 제일 컸다. 1484년 성종이 창덕궁 동쪽 공간을 떼어 창경궁을 조성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