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승달산 정상, 깃대봉(333m)에서 바라본 남쪽 방향 무안 삼향읍 지역과 대봉산(252m), 태봉산(169m), 목포 지역, 서남해가 흐릿하게 시야에 들어온 다. 가는 날이 먼지 많은 날이라고 중공 개잡것들이 악의적으로 날려보낸 미세먼지로 하늘이 다소 뿌옇다. 2. 승달산 정상(깃대봉)에서 바라본 서남쪽 방향 무안 삼향읍과 청계면, 목포시, 신안군 압해도와 서해바다 등이 흐릿하게 두 망막에 들어온다. 3. 승달산 분기점 (승달산 정상 서쪽 능선) 승달산 정상(깃대봉)에서 흐릿한 천하를 바라보며 잠시 망중한을 누리다가 목포대학교 방향으로 길을 잡았다. 햇님의 퇴근시간이 채 3시간도 남지 않아서 길을 서둘렀는데, 하루재로 이어지는 승 달산 서쪽 능선을 타고 승달산 분기점3(승달산안내도에는 승달산분기점이..

1. 멀어져가는 목우암 (남쪽에서 바라본 모습) 법천사의 부속 암자인 목우암을 둘러보고 다시 하루재로 올라왔다. (목우암~하루재, 0.4km) 목우 암을 거느린 법천사도 둘러보려고 했으나 그를 거의 코앞에 둔 목우암분기점에서 귀차니즘으로 발길을 돌렸다. (법천사 밑에는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늙은 석장승이 있음) 2. 목우암에서 목우암분기점, 하루재로 올라가는 고적한 산길 3. 겨울 감성을 크게 돋구는 하루재~목우암 산길 4. 승달산 능선길 (하루재~승달산분기점 구간) 하루재에서 승달산 정상(333m)까지는 남쪽 능선길을 따라 1.1km 정도 가야 된다. 능선길은 거의 완만하며, 산길 좌우로 일품 조망이 펼쳐져 두 눈을 아주 즐겁게 해준다. 허나 가는 날이 문 닫는 날이라고 중공 잡것들이 악의적으로 날려보낸..

1. 승달산을 찾아서 (승달산길) 무안 지역의 대표 명산으로 추앙을 받는 승달산은 해발 333m의 뫼로 무안 청계면과 몽탄면 사이 에 넓게 누워있다. 비록 키는 작으나 주변에 그를 능가하는 뫼들이 없고, 서남해가 훤히 바라보여 가히 국보급 조망을 자랑한다. 고려 인종(재위 1122~1146) 또는 의종(재위 1146~1170) 시절에 중원대륙에서 건너온 승려 원명 이 이곳에 터를 잡고 크게 교세를 떨쳤는데, 그의 명성을 듣고 찾아온 제자 500여 명이 모두 깨달 음을 얻었다고 해서 승달산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고 한다. 옛날 부동산 학문인 풍수지리에 따르면 승달산은 3,000년에 이르도록 문무백관이 태어난다는 호 남의 4패 명혈 중 제1의 혈처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그러다보니 무덤 수요가 상당하여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