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문정왕후 윤씨의 능인 태릉 2. 명종과 인순왕후의 능인 강릉 3. 태릉~강릉 숲길 4. 태릉 숲길 5. 태릉 금천교의 흔적 6. 태릉 홍살문 7. 외곽에서 바라본 태릉 능역 (정자각과 비각, 수복방) 8. 태릉 수라간터 9. 태릉 수복방 10. 태릉 비석(표석)을 머금은 비각 11. 태릉 비석(표석) 12. 태릉 정자각 13. 정자각 우측 돌계단 14. 붉은 피부의 제삿상들 (정자각 내부) 15. 정자각 신위평상 16. 관세상(왼쪽)과 축상(오른쪽) 17. 태릉 능침 18. 태릉 숲길 19. 태릉~강릉 숲길 출입구 (태릉 쪽) 20. 태릉~강릉 숲길 (태릉 쪽) 21. 태릉~강릉 숲길 옆을 흐르는 조그만 계곡 22. 태릉~강릉 숲길 고개 정상 23. 태릉~강릉 숲길 (강릉 쪽) 2..

1. 정릉 2. 정릉 금천교 3. 정릉 뒷쪽 숲길 4. 정릉 세계문화유산 표석 앞 갈림길 5. 정릉 재실 앞 느티나무 6. 정릉 재실 7. 재실 대문과 행랑 8. 재실과 제기고로 인도하는 안쪽 기와문 9. 재실 제기고 10. 재실 본채 11. 정릉 관리사무소 앞 느티나무 12. 정릉 금천교 13. 금천교 주변 계곡 14. 정릉 홍살문 15. 정릉 배위 16. 정릉 정자각 주변 (수라간, 수복방 등) 17. 정릉 능침 18. 정릉 능침과 소전대(밑에 보이는 석물) 19. 홍살문에서 정자각으로 이어지는 향로와 어로 20. 정릉 정자각 21. 신좌 22. 관세상 23. 제물을 올려놓는 상 24. 정자각 좌측 계단 25. 수복방 26. 정릉 비각 27. 정릉 비석 28. 정릉 수라간 29. 정릉 능침
1. 정릉 서쪽 숲길 숲길 옆에는 얕게 닦인 도랑이 흐르는데 그 도랑은 정릉의 금천 역할을 했다. 조선 왕릉은 능역 앞에 금천 역할을 하는 계곡 을 두고 금천교를 닦았는데, 선릉과 정릉은 금천이 거의 도랑 수준으로 작다. 2. 정릉(중종의 능) 정자각 앞 3. 정릉 서쪽 숲길과 도랑(금천) 4. 선정릉 숲길 (중간 숲길) 선릉, 정릉은 숲이 매우 짙어 숲길이 아주 일품이다. 선릉과 정릉 사이에는 낮은 산이 있고, 두 능을 잇는 숲길이 여럿 닦여 져 있는데, 선정릉 정문에서 남쪽 길을 거쳐 재실, 선릉으로 가는 남쪽길은 평지 길이며, 정릉에서 정현왕후 윤씨 능을 잇는 북쪽 길은 정현왕후 윤씨능 동쪽 고갯길을 빼면 거의 평지이다. 반면 중간 길은 북쪽 길과 남쪽 길에 비해 완전히 산을 넘는 고갯길로 주변이 ..
1. 중종의 능인 정릉 선릉 동쪽이자 선정릉 정문 동쪽에 조선 11대 군주인 중종의 능 정릉이 있다. 중종 능은 중종의 2번째 왕후인 장경왕후 능( 희릉) 서쪽 언덕에 닦여졌으나 1562년 중종의 3번째 왕후인 문정왕후가 이곳으로 옮겼다. 기존 자리가 풍수상 영 좋지 못하 여 옮겼다고 하나 실상은 중종과 같이 묻히고 싶은 욕심으로 그리 한 것으로 문정왕후가 사망하고 이곳에 묻히려고 했으나 정릉 자리가 홍수 피해가 잦아 부득이 불암산 남쪽 자락에 따로 묻히니 그곳이 태릉이다. 하여 정릉은 중종 혼자 묻혀있다. (왕후가 홀로 묻힌 능은 많으나 제왕이 혼자 묻힌 능은 거의 없음) 2. 솔내음이 진한 정릉 서쪽 숲길과 얕게 파인 도랑(금천) 3. 정릉 예감 제향에 사용된 축문을 태워 묻는 곳으로 그 모습이 네모..
1. 녹음에 잠긴 선정릉 숲길 (선정릉 정문에서 선릉 방향) 강남 한복판에 자리한 선정릉은 조선 9대 군주인 성종과 정현왕후 윤씨의 선릉, 조선 11대 군주인 중종의 능인 정릉으로 이 루어져 있다. 지금은 회색빛 도시 속에 갇힌 처지로 1970년~80년대 강남과 영동에 마구잡이로 가해진 개발의 칼질로 능역 이 많이 좁아졌다. 오죽하면 선릉 바로 옆으로 신작로가 닦여 차량들의 소음이 귀를 때리며, 정릉 역시 바로 동쪽과 남쪽에 시가지가 들어차 보기에도 다소 답답해 보인다. (선정릉 주변 시가지가 거의 선, 정릉 능역이었음) 선정릉은 어린 시절 소풍과 가족 나들이로 여러 번 찾았으며, 2010년을 끝으로 인연을 짓지 않다가 거의 10년이 지나서 다 시 기웃거렸다. (선정릉 정문은 선릉 앞에 있었으나 지금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