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백족사 석조여래좌상백족사 대웅전에 중심 불상으로 들어있는 석조여래좌상은 고려 때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예전에는 석불 전면에 백회가 떡칠 수준으로 칠해져 있어서 원래 모습을 파악하기 힘들었는데, 21세기 이후 백회를 벗겨내고 불단 일부를 손질하면서 석불의 원래 모습 및 불단에 가려졌던 연화대좌까지 모두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석불은 어느 세월이 댕강했는지 절단되어 있던 것을 시멘트로 붙였으며, 접합 부분에 시멘트를 두껍게 덧칠하면서 많이 부어올랐고 눈과 입도 근래에 갈아내고 보수하면서 다소 변형되었다. 게다가 양쪽 귀도 매우 짧아지는 등, 강제 성형을 꽤 당했다.머리는 곱슬머리의 나발로 정수리에는 육계가 솟아있고, 상호는 전체적으로 원만하다. 목에는 삼도가 있었을 것으로 보이나 시멘트로 보수하면..

1. 백족산 백족사로 인도하는 숲길하얀 발을 뜻하는 백족사는 청주 가덕면 백족산 남쪽 자락에 깃든 고찰이다. 속세에서 그곳을 찾으려면 청주 시내에서 청주 211, 213, 215번 시내버스를 타고 병암3리에서 하차하여 걸어가야 되는데, 211번은 충북도청, 상당공원, 청주대학교에서 이용하면 되며, 석교동(육거리 동남쪽) 이남부터는 213, 215번도 이용 가능하다. (211번은 20분 내외 간격이나 나머지 노선은 배차간격이 무지하게 김) 병암3리 정류장에서 서북쪽으로 이어지는 '은행상야로'로 들어서 조금 들어가면 충북교통연수원 직전에 백족사로 인도하는 1차선 크기의 숲길이 모습을 비추는데, 그 길을 25분 정도 올라가야 된다. 차량도 마음 놓고 바퀴를 굴릴 수 있게끔 포장길로 이루어져 있는데, 경사는 대..

1. 문의문화재단지 양반가옥 2. 양반가옥 안쪽에 자리한 사랑채와 안채 3. 양반가옥 사랑채 4. 양반가옥 가묘 5. 벽에 붙여진 부적 6. 청주 부강리 고가 7. 부강리 고가 안채 8. 부강리 고가 안채 툇마루 9. 뒷쪽에서 바라본 부강리 고가 10. 몸단장으로 몸을 가린 문의 문산관 11. 흑백사진에 담긴 문산관의 흑역사 12. 문산관 보수 공사에 투입된 기와들 13. 문의문화재단지 전망대로 인도하는 길 14. 문의문화재단지 전망대 15. 전망대에서 바라본 문의문화재단지 16. 전망대에서 바라본 문의문화재단지와 대청호 17. 전망대에서 바라본 노현리 고가(왼쪽 'ㄱ'자 집)와 옹기전수관(오른쪽 기와집) 18. 전망대에서 바라본 대청호미술관 주변과 대청호 19. 여막 20. 조병천의 시묘생활 모습 21..

1. 청주 문의문화재단지 전경 2. 문산리 돌다리 3. 청주 관정리 고가 4. 문의문화재단지 입구에 마련된 하트 포토존 5. 문의문화재단지 정문인 양성문 6. 돌탑들 7. 기자석 8. 문의면의 산하를 적지 않게 집어 삼킨 대청호 9. 대청호를 바라보고 선 초정 10. 서덕길 효자각 11. 고인돌 12. 청주 관정리 고가 13. 관정리 고가 장독대들 14. 관정리 고가 안채에 들어있는 가마 15. 초가 주막 16. 민화정 17. 민화정 현판 18. 문의문화재단지 문화유물전시관 19. 구석기 사람들의 두루봉동굴 생활 모습 20. 꽃을 사용했던 구석기 사람들의 장례 풍습 21. 오송읍 쌍청리 석불 22. 주역석 23. 태함 24. 옛 사람들의 큼직한 수저들 25. 고려, 조선시대 기와들 26. 괴산 외사리에서..
' 늦겨울 산사 나들이, 청주 낙가산 보살사 (명암저수지) ' ▲ 보살사에 제일 가는 보물, 석조2불병립상 겨울 제국이 슬슬 쇠퇴기에 접어들던 2월 끝 무렵, 충청도의 오랜 중심지인 청주(淸州)를 찾았다. 청주에서 나에게 오라는 곳도 불러준 이도 없지만 왠지 그곳의 여러 명소가 땡겨 나그네 본능에 따라 미련없이 길을 나선 것이다. 청주시외터미널(가경동)에 도착하니 시간은 11시가 어느덧 넘었다. 금강산도 식후경(食後 景)이라는 아름다운 말이 있듯이 우선 요기부터 하기로 하고 터미널 2층에 있는 한식뷔페 기사식당에서 두둑히 배를 채웠다. 자고로 뱃속이 든든해야 일이 편한 법이다. 청주에는 이미 정처(定處)는 정해진 상태라 얌전하게 그곳을 찾아가면 되는데, 우선 시내 로 나가는 청주시내버스 832번(석판↔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