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승달산 정상, 깃대봉(333m)에서 바라본 남쪽 방향 무안 삼향읍 지역과 대봉산(252m), 태봉산(169m), 목포 지역, 서남해가 흐릿하게 시야에 들어온 다. 가는 날이 먼지 많은 날이라고 중공 개잡것들이 악의적으로 날려보낸 미세먼지로 하늘이 다소 뿌옇다. 2. 승달산 정상(깃대봉)에서 바라본 서남쪽 방향 무안 삼향읍과 청계면, 목포시, 신안군 압해도와 서해바다 등이 흐릿하게 두 망막에 들어온다. 3. 승달산 분기점 (승달산 정상 서쪽 능선) 승달산 정상(깃대봉)에서 흐릿한 천하를 바라보며 잠시 망중한을 누리다가 목포대학교 방향으로 길을 잡았다. 햇님의 퇴근시간이 채 3시간도 남지 않아서 길을 서둘렀는데, 하루재로 이어지는 승 달산 서쪽 능선을 타고 승달산 분기점3(승달산안내도에는 승달산분기점이..

1. 멀어져가는 목우암 (남쪽에서 바라본 모습) 법천사의 부속 암자인 목우암을 둘러보고 다시 하루재로 올라왔다. (목우암~하루재, 0.4km) 목우 암을 거느린 법천사도 둘러보려고 했으나 그를 거의 코앞에 둔 목우암분기점에서 귀차니즘으로 발길을 돌렸다. (법천사 밑에는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늙은 석장승이 있음) 2. 목우암에서 목우암분기점, 하루재로 올라가는 고적한 산길 3. 겨울 감성을 크게 돋구는 하루재~목우암 산길 4. 승달산 능선길 (하루재~승달산분기점 구간) 하루재에서 승달산 정상(333m)까지는 남쪽 능선길을 따라 1.1km 정도 가야 된다. 능선길은 거의 완만하며, 산길 좌우로 일품 조망이 펼쳐져 두 눈을 아주 즐겁게 해준다. 허나 가는 날이 문 닫는 날이라고 중공 잡것들이 악의적으로 날려보낸..

1. 춘천 한천자묘 가리산의 첩첩한 북쪽 산주름 속인 북산면 물로리 깊은 골짜기에 한천자묘라 불리는 오래된 무덤 이 있다. 이곳은 춘천 땅이긴 하나 소양호로 춘천 본토와 완전히 끊어진 그야말로 아웃 춘천 땅으 로 춘천에서 이곳을 찾으려면 소양댐에서 배를 이용해 물로리로 넘어가서 차량으로 한참 들어가 거나 홍천 두촌면 땅을 거쳐서 들어가야 된다. 이곳이 춘천시 북산면이긴 하나 소양호로 인해 북 산면 중심지와 연결되는 도로는 없으며, 소양호 뱃편 아니면 인제 신남, 양구군 땅을 거쳐서 빙빙 돌아가야 된다. 또한 춘천에서 물로리를 이어주는 대중교통은 없으며, 소양댐에서 물로리를 이어주는 뱃편도 몇 편 없다. 설사 배를 타고 물로리로 넘어가도 물로리 안쪽과 한천자묘, 은주사까지 들어가는 대중 교통은 없다. 다만..
' 국립 서울현충원, 동작충효길 산책 ' ▲ 국립현충원 6월 6일 현충일이 다가오면 거의 본능적으로 국립현충원(國立顯忠園, 국립 서울현충원)을 찾 는다. 그곳에 가족이나 친척이 있어서 가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애국심이 대단한 것도 아 니다. 다만 석가탄신일에는 그날 본능에 따라 절을 찾듯이 현충일에는 그에 어울리는 현충원 을 찾아 호국의 신으로 산화한 이들을 기리며 현충일의 분위기를 누리는 것 뿐이다. 현충원이 나라의 성스러운 공간이다 보니 나들이로 가는 것은 생각도 못할 뿐더러 그저 무덤 밖에 없는 재미없고 딱딱한 곳으로 여기는 사람이 많다. 서울에 살고 있어도 학생 시절 소풍 으로 간 것이 고작인 사람이 부지기수이며 그곳에 가자고 하면 거의 대부분 '현충원에 나들이를 가자고? 거기 뭐 볼 거 있어..
* 충신의 대명사이자 최영과 더불어 고려의 마지막 보루이던 포은 정몽주 선생묘소 포은 정몽주(1337~1392)는 고려 충신의 상징인 3은의 하나로 경북 영천이 고향이다. 그는 성리학을 연구해 그 기초를 닦았고, 1360년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지냈다. 이성계 패거리의 힘이 나날이 커져 나라를 뒤엎고 새로운 나라를 세우려고 하자 이를 반대하며 고려 왕실을 붙들다가 1392년 개경 선죽교에서 태종 이방원의 부하 조영규에게 살해되었다. 그가 피살된 이후, 개경 인근 풍덕군에 임시로 묘를 썼다가 고향으로 이장할 때, 용인 풍덕천에 이르자 갑자기 명정이 바람에 날라갔다. 그를 추적하니 바로 지금 묘소에 떨어져 있어 하늘의 뜻으로 여겨 이곳에 묘를 썼다고 전한다. 이성계패거리에게 협조하지 않은 적이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