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 조문국(召文國)의 영화로움을 숨죽여 간직한 의성 금성산고분군(金城山古墳群) - 경북 지방기념물 128호
![](http://4.bp.blogspot.com/-99_XEtEfo-k/Tsa5fgkV2zI/AAAAAAAAABM/UwFPDQH5fug/s640/DSCN4066.jpg) |
문소루와 구봉산을 둘러보고 의성터미널에서 탑리(塔里)로 가는 군내버스를 탔다. 탑리 직전에 자리한 고개를 넘으면 오른쪽(서쪽)으로 큰 무덤들이 즐비한 벌판이 펼쳐지니 그곳이 금성산고 분군이다. (탑리 방면 28번 국도변에 있음)
금성산고분군은 탑리 북쪽인 대리리(大里里)와 초전리에 옹기종기 모인 고분들로 약 200여 기의 옛 무덤이 산재해 있다. 이들은 의성 금성면(탑리) 지역에 있었던 조문국(召文國)의 것으로 그 나라의 왕족과 귀족들의 무덤이다. 이들 무덤 사이로 신라 무덤도 다수 섞여 있다. 조문국은 한자 발음에 따라 '소문국'이라고도 하는데, 진한(辰韓)의 일원으로 탑리를 중심으로 둥지를 틀었던 손바닥만한 나라이다. 영역은 의성 남부(길게 잡으면 의성 북/중부까지)와 군위 일부에 불과했으며, 진한연맹이 하나둘 신라에게 먹히는 와중에도 용케 버텨오다가 185년<신라 벌휴왕(伐休王) 2년>에 결국 복속되고 만다. 그 이후 신라 조정에서 관리를 보내 다스리거나 항복한 조문국 왕족이나 귀족에게 이곳을 통치 하게 했을 것이고 이 땅을 발판으로 삼아 상주의 사벌국(沙伐國)과 인근의 여러 작은 나라들을 야금야금 점령했다.
조문국에 대한 정보는 이것 외에는 딱히 알려진 것이 없으며, 그의 거의 유일한 흔적이라 할 수 있는 금성산고분군은 1960년부터 최근까지 국립중앙박물관과 경희대, 경북대 박물관에서 발굴조 사를 벌였다. 그 결과 앞트기식무덤과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분(橫穴式石室墳)>, 변형된 돌무 지덧널무덤<적석목곽분(積石木槨墳)>이 확인되었다. 출토된 유물은 신라토기의 일종으로 의성 지역에서 주로 나오는 '의성양식토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금동관(金銅冠)과 금동관 장식 품, 금동제귀걸이 등의 장신구와 철제 무기류, 마구류(馬具類) 등이 있다. 이들 유물은 대구에 있는 국립대구박물관과 경북대박물관, 2012년에 문을 연 의성조문국박물관에 분산되어 있다. |
![](http://2.bp.blogspot.com/-0JkS0Y8-8Rw/Tsa5lf0V9uI/AAAAAAAAABU/_tbXEUKjimI/s640/DSCN4067.jpg) ▲ 드넓게 펼쳐진 금성산고분군의 위엄 ▼
![](http://1.bp.blogspot.com/-g4r2cmMpDSU/Tsa5q2IAIiI/AAAAAAAAABc/J7CnYOK4GMs/s640/DSCN4068.jpg)
|
금성산고분군이 지금처럼 깔끔히 정비된 것은 근래에 일이다. 겨우 경덕왕릉이라 불리는 1호분 만 봉분(封墳)을 갖추고 있었을 뿐, 나머지는 그냥 경작지로 쓰였다. 그러다가 고분을 발굴하 고 그 무덤을 복원하는 한편, 주변을 말끔히 밀고 정비하면서 일종의 고분공원으로 거듭난 것 이다.
고분의 모습은 흙으로 만든 봉토분(封土墳)으로 다른 고분과 별로 다를 것은 없다. 조문국의 수 수께끼를 한 움큼 간직한 큼지막한 고분들이 듬성듬성 또 다른 언덕을 이루고 있으며, 그 사이 에 조그만 민묘(民墓)들이 수줍은 듯 들어앉았다. 고분은 당연히 옛 조문국이나 신라 귀족들의 무덤이고, 민묘는 20세기 이후 조성된 인근 백성들의 무덤이니 서로의 신분과 시공(時空)을 초 월하며 한 공간에 어색하게 자리한 것이다. 물론 민묘는 고분군 보호와 정비를 위해 다른 데로 옮기는 것이 마땅하겠지만 연고가 없는 경우 함부로 이장(移葬)하기도 어렵다. 또한 어차피 같은 무덤이고 모습도 비슷하니 조문국의 무덤과 신라의 무덤, 그리고 현대의 무덤을 비교할 겸, 그냥 두어 고분군의 일원으로 삼는 것도 괜찮다 여겨진다.
손으로 더듬고 싶은 두툼하고 요염하게 솟아난 고분들 사이로 산책로가 나 있는데, 이들 고분을 하나도 빠뜨리지 않고 천천히 둘러보면 대략 1시간 정도 걸린다. 또한 이곳의 상징은 경덕왕릉 이라 불리는 1호분으로 이곳 무덤 가운데 유일하게 석물을 갖췄으며, 국도 변에는 문익점 면작 기념비도 있으니 같이 둘러보면 된다. |
![](http://1.bp.blogspot.com/-lwt1XXgsa-8/Tsa5Z1WDNVI/AAAAAAAAABE/YC0bmUJk8h8/s640/DSCN4065.jpg) ▲ 말을 달리며 화살을 쏘는 조문국 무인상(武人像) 조문국의 무인이 정말 저랬는지는 알 수 없다. 그저 발굴된 무기와 마구류를 토대로 가야나 고구려의 무인을 모방하여 재현한 듯 싶다.
![](http://2.bp.blogspot.com/-q7Tb09cvzM4/Tsa508YnruI/AAAAAAAAABs/PefUdbesfAM/s640/DSCN4071.jpg) ▲ 금성산고분군 한쪽에 들어앉은 조그만 민묘들 비록 무덤의 크기와 시대는 틀리지만 저들도 어엿한 금성산고분군의 일원이다. 조문국부터 신라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초월한 다양한 시대의 무덤이 분포하고 있는 생생한 현장이니 말이다.
![](http://2.bp.blogspot.com/-76Y4QUzxGtw/Tsa56VlRJpI/AAAAAAAAAB0/7-i3y11TmDg/s640/DSCN4072.jpg) ▲ 국도변에 누운 43호 고분
|
![](http://4.bp.blogspot.com/-FQYI_-HPNnE/Tsa6FRFs_OI/AAAAAAAAACE/-O6AdgM1RMI/s640/DSCN4076.jpg) |
![](https://t1.daumcdn.net/cfile/blog/1828F0434EC6C93621) |
▲ 40호 고분 |
▲ 35호 고분 |
![](https://t1.daumcdn.net/cfile/blog/182858434EC6C92F52) |
◀ 국도변에 굵직하게 솟은 조문국사적지 (召文國史蹟地) 표석의 위엄 표석에 쓰여진 글씨체가 예사롭지 않아 보인다. |
![](https://t1.daumcdn.net/cfile/blog/1329DD434EC6C93320) |
![](https://t1.daumcdn.net/cfile/blog/192A1B434EC6C93E21) |
▲ 33,34,36,37호 고분 |
▲ 민묘와 옛 고분의 공존 |
![](https://t1.daumcdn.net/cfile/blog/1372CB464EC6C9471B) |
![](https://t1.daumcdn.net/cfile/blog/14734D464EC6C9401B) |
▲ 20호 고분 |
▲ 25호 고분 |
![](http://4.bp.blogspot.com/-KzmNal3YH6Q/TsbLu6Em9CI/AAAAAAAAACc/Dkr6J6XCKnk/s640/DSCN4103.jpg) |
![](https://t1.daumcdn.net/cfile/blog/17733E464EC6C94C1F) |
▲ 5호 고분 |
▲ 19호 고분 |
![](https://t1.daumcdn.net/cfile/blog/197247464EC6C94530) ▲ 금성산고분군의 서쪽 부분
![](http://4.bp.blogspot.com/-Pt-EMUQhcdo/Tsa6OzsNy6I/AAAAAAAAACU/2SWYJCqy_vA/s640/DSCN4078.jpg) ▲ 고분 북쪽에 남아있는 민가 나무 외에는 민가와 고분의 마땅한 경계선이 없어 거의 금성산고분군의 일부처럼 보인다. 저 집도 고분군의 범위가 확대되면 다른 곳으로 강제 이전될 수도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07371464EC6C9521A) ▲ 나란히 솟아난 고분 3형제
![](http://2.bp.blogspot.com/-egJnq5Fqkc0/TsbMHPHUy_I/AAAAAAAAAC8/pPeZ0K1WqKw/s640/DSCN4108.jpg) ▲ 금성산고분군의 상징, 조문국 경덕왕릉(景德王陵)
|
금성산고분군은 그냥 몇호분이란 이름을 달고 있지만, 이곳 1호분은 특별히 경덕왕릉이란 이름 을 달고 있다. 게다가 석물까지 갖추고 있으니 특별한 존재임은 분명하다. 열심히 발품을 팔게 만드는 너른 금성산고분군의 서남쪽 가장자리에 자리한 무덤으로 이곳의 주인이라고 전하는 경 덕왕(景德王)은 조문국 군주로 전해지고 있다. 조선 숙종 때 미수 허목(眉叟 許穆)이 쓴 그의 문집(文集)을 통해 옛날부터 막연히 경덕왕릉이 란 이름으로 살아오고 있었음을 알려주고 있으나 경덕왕의 존재와 경덕왕릉의 진위여부는 여전 히 수수께끼이다.
왕릉의 둘레는 74m, 높이 8m로 능 앞에는 근래에 만든 1.6m 높이의 비석과 상석(床石), 멀뚱한 표정의 문인석(文人石) 1쌍, 장명등(長明燈) 1쌍이 세워져 있다. |
![](http://4.bp.blogspot.com/-cubPIrgm0v8/TsbMShZqFqI/AAAAAAAAADM/grTVuDgM-Ss/s640/DSCN4113.jpg) ▲ 조촐한 모습의 조문국 경덕왕릉
|
허목의 문집에는 경덕왕릉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전설이 실려있다. 옛날 이곳에 살던 농부가 외밭을 마련하고자 야트막한 언덕을 갈았다. 밭을 일구던 농부는 우연 히 큼직한 구멍을 발견했는데, 사람이 드나들 수 있을 만큼의 구멍이었다. 그는 이상하게 여겨 일손을 멈추고 구멍 안으로 들어가 보았는데, 그 안에는 돌로 만든 석실(石 室)이 있고, 그 둘레에는 금칠(金漆)이 되어 있었으며, 석실 안에는 금칠을 한 소상(塑像)이 있 으니 그 머리에는 금관이 씌워져 있는 것이 아닌가~! 금관을 본 농부는 '이게 웬떡이냐~!!' 욕심이 솟아나 그 금관을 벗기려고 했다. 허나 그의 손이 금관에 닿자 자석처럼 딱 붙어서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바로 그날 밤, 의성현령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 이렇게 말했다. '나는 옛 조문국의 경덕왕이다. 나의 능이 황폐해져서 농부의 외밭이 될 지경에 이르렀으니 속 히 능을 복원토록 하라' 그리고는 능의 위치를 알려주고 사라졌다.
날이 밝자 현령은 사람들을 이끌고 노인이 일러준 곳으로 찾아갔다. 그곳에는 밭이 되기 직전인 고분이 있었다. 이에 현령은 왕릉을 조성했다고 하며, 지금 있는 고분이 바로 그때 조성한 경덕 왕릉이란 것이다. 그런데 석실 안에 들어가 금관에 손을 댄 농부는 어찌되었는지는 나와있지 않 으니 그게 궁금할 따름이다. 아마도 며칠을 빌고 빌어서 간신히 손을 떼지 않았을까.? 아쉽게도 그 농부가 봤다는 금관과 금칠이 과연 존재했는지는 확인할 길이 없다.
그리고 지역 사람들 사이에서 다음과 같은 이야기도 덧붙여 전해온다.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 이곳은 오극겸(吳克謙)이란 농부의 외밭이었다고 한다. 그는 외밭에 원두막을 짓고 밭을 지켰는데, 어느 날 꿈에 조복(朝服)을 입고 금관을 쓴 백발 노인이 나타나 이렇게 말했다. '나는 조문국의 경덕왕이다. 너가 지은 원두막이 나의 능 위에 있으니 속히 철거하도록 해라' 그렇게 말하고는 농부의 등에 1줄의 글을 쓰고는 사라졌다. 농부는 깜짝놀라 잠에서 깨어나보니 등짝에 노인이 쓴 글이 그대로 쓰여져 있는 것이 아닌가~! 농부는 너무 신기하여 당장 의성 관아로 달라가 현령에게 꿈의 내용을 말한 뒤, 고을 유지들과 봉분을 만들고 매년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이들 전설을 통해 오랜 세월 지하에 묻혀있다가 조선시대에 경작이나 농경지 개척을 통해 발견 되어 고을 현감과 지역 사람들이 능을 복원하고 제향까지 지냈음을 알 수 있다. 제향은 1470년 경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며, 1945년 이후 지역 사람들이 살짝 지내오다가 '경덕왕릉보존회'가 결 성되어 매년 음력 3월에 군수와 군민들이 춘계향사(春季享祀)를 지낸다. |
![](http://4.bp.blogspot.com/-dvBXvwAudP0/TsbMX3D-eGI/AAAAAAAAADU/aS5U6WWd4g0/s640/DSCN4115.jpg) |
![](http://4.bp.blogspot.com/-PCMoj0wF_SM/TsbMdPFyo7I/AAAAAAAAADc/FMyvS_4P8BY/s640/DSCN4117.jpg) |
▲ 조문국 경덕왕릉 능비 |
▲ 두 손으로 홀(忽)을 들고 선 긴 수염의 문인석과 장명등 |
![](http://3.bp.blogspot.com/-WDdVihaNke8/TsbMijLx9_I/AAAAAAAAADk/Ce8WfDi9ceg/s640/DSCN4121.jpg) ▲ 경덕왕릉의 동쪽 피부면 무덤 동쪽 피부에 얕게 패인 부분이 있는데 저것이 혹 농부가 발견했다는 그 구멍이 아닐까 싶다.
![](http://2.bp.blogspot.com/-av8QMnpa46M/TsbMsuoDd2I/AAAAAAAAAD0/pd57NNjjk1c/s640/DSCN4126.jpg) ▲ 3호분
|
경덕왕릉 부근에 자리한 3호분은 높이가 3m, 밑지름이 14.3m~10.7m 내외이다. 여기서 돌무지덧 널무덤, 덧널무덤, 유사돌무지덧널무덤 등 3기가 조성되어 있었으며, 돌무지덧널무덤에서 금귀 걸이와 은허리띠, 삼엽문대도 등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신라 유물로 덧널무덤에서는 많은 양의 토기와 철기류가 나왔다. |
![](http://2.bp.blogspot.com/-X6BB5ZPgAvc/TsbNBNNAR_I/AAAAAAAAAEU/RxKENI1zTiA/s640/DSCN4132.jpg) ▲ 6호분
|
6호분은 북쪽 높이 2.5m, 남쪽 높이가 4m이다. 이 고분 안에서는 적석목관(積石木棺)의 제1묘 곽과 장방형의 토광인 제2묘곽이 들어있다. 제1묘곽에서는 금제세환귀걸이, 은제과대장식, 은제교구 등의 장신구와 T자형 장병무기와 철모, 철촉, 소화두대도 등이 나왔고, 장경호와 고배(高杯), 고배뚜껑 등의 토기류와 11cm나 되는 대 퇴골편이 나왔다. 그리고 제2묘곽에서는 홍색과 갈색의 유리구슬과 장경호(長頸壺), 유개호(有 蓋壺), 고배 등의 토기류가 다량으로 쏟아져 나왔다. |
![](http://2.bp.blogspot.com/-79LGFC4tJp4/Tsa4RvXcirI/AAAAAAAAAAc/FFf5xHYDobU/s640/DSCN4056.jpg) ▲ 문익점 면작기념비(綿作紀念碑) 기념비 뒤로 보이는 동그란 지붕이 금성산고분군 방문자센터이다.
|
28번 국도변 소나무 사이에 문익점 면작기념비가 서 있다. 이곳에 왔다면 금성산고분군과 경덕 왕릉과 더불어 한 덩어리로 같이 둘러봐야 될 존재로 비록 110여 년 밖에 묵지 않았지만 문익 점이 목화 재배에 성공했던 의미 깊은 곳으로 이를 기념하고자 세운 비석이다.
삼우당 문익점(三憂堂 文益漸, 1329~1398)은 고려 후기에 원나라에서 목화씨를 가져와 우리 의 류사(衣類史)에 큰 획을 그은 인물로 국사책은 물론 역사 수험서에도 단골로 등장하는 유명 인 사이다. 허나 우리나라는 이미 삼국시대부터 목화솜이 있었다. 문익점이 가져온 목화씨는 아마 도 기존보다 더 품질이 좋은 목화로 여겨지며, 그 목화 재배에 성공하여 전국에 널리 퍼트렸다. 하여 그 점을 너무 부각시키다보니 '목화씨=문익점'이란 공식이 자연스레 만들어진 것이 아닐까 싶다.
그는 원나라(몽골)에 사신으로 갔다가 역모에 연루되어 3년 만에 귀국했다. 돌아오는 길에 귀양 살이를 했던 금주(錦州)에서 목화씨 5개를 붓대 속에 숨겨와 고향인 산청(山淸)에서 장인인 정 천익(鄭天益)과 함께 목화 재배에 성공했다. 그곳이 바로 경남 산청군 단성면에 있는 면작시배 지(綿作始培地, ☞ 관련글 보러가기)이다. 이후 그는 안찰사(按察使)가 되어 경상도를 돌다가 의성 금성면 일대가 목화씨를 가져온 원나라 금주와 토질이 비슷함을 발견하고 금성면 제오리(堤梧里)에 목화씨를 심어 성공했다. 마침 의성 현감이 그의 손자인 문승로(文承魯)라 그를 시켜 목화를 파종했다고 한다. (또는 조선 태종 때 문익점의 손자 문승로가 의성현감으로 부임하여 파종했다고 함)
이후 문익점의 목화면작을 기념하기 위해 1909년 지역 주민들이 목화밭인 원전(元田)에 기념비 를 세웠다. 그 비석이 바로 윗 사진의 면작기념비이다. 1935년 왜인들이 지금의 자리로 옮겼으 며, 유서 깊은 원전은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과 경지 정리로 흔적조차 더듬기 어렵게 되었다. 1991년 김우현 경북도지사의 지시로 면작기념비 주변을 정리하여 지금에 이른다.
금성산고분군을 둘러보고 탑리의 지명 유래가 된 탑리5층석탑을 간만에 보려고 했다. 하지만 시 간도 여의치 않고 영천으로 가는 버스 시간을 몰라서 일단 탑리터미널로 갔다. 터미널로 가니 마침 영천행 직행버스가 올 시간이다. 여기서 외지로 나가는 시외버스가 너무 부 실하고 그걸 1대 놓치면 꼼짝없이 몇 시간 이상을 죽치고 기다려야 되기 때문에 꿩 대신 닭을 고를 여유는 없었다. 하여 바로 표를 끊고 5분 뒤에 머리를 들이민 영천(永川)행 직행버스를 타 고 의성과의 짧은 인연을 정리했다. 이렇게 하여 늦가을 의성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고한다. 이후 내용은 생략~~~
|
![](http://3.bp.blogspot.com/-FvwPyVsL7PI/Tsa4dfR8TrI/AAAAAAAAAAs/JBX-Oo4khcU/s640/DSCN4059.jpg) ▲ 문익점 면작기념비(왼쪽이 1909년에 만들어진 것, 오른쪽은 1991년 것)
|
※ 의성 금성산고분군 찾아가기 (2016년 12월 기준) ① 탑리까지 * 서울 청량리역에서 8시 25분에 출발하는 부전행 무궁화호 열차 이용 (양평, 원주, 제천, 단 양, 영주, 안동경유) * 부산 부전역에서 7시20분에 출발하는 청량리행 무궁화호 열차 이용 (해운대, 태화강, 경주, 영천 경유) * 동대구역에서 16시 30분에 출발하는 정동진행 무궁화호 열차 이용 (하양, 북영천 경유) * 대구 북부정류장에서 탑리, 의성행 직행버스가 1일 6회, 부산 동부터미널(노포동)에서는 1일 2회 떠난다. * 영천과 안동에서 탑리행 직행버스 이용 (1일 2회 운행) ② 현지교통 * 의성터미널(의성역) 밖 군내버스 정류장에서 탑리 방면 군내버스(30~70분 간격)를 타고 금성 산고분군에서 하차 * 탑리터미널 부근 대리3리 군내버스 정류장과 탑리역 정류장에서 의성 방면 군내버스(20~70분 간격)를 타고 금성산고분군 하차. (탑리터미널에서 도보 35분, 탑리역에서 도보 25분) ③ 승용차편 (주차장 있음) * 중앙고속도로 → 군위나들목을 나와서 군위읍 방면 5번 국도 → 동부4거리에서 우회전 → 청 로교에서 좌회전 → 탑리 우회도로 → 금성산고분군 * 입장료와 주차비는 공짜 * 금성산고분군 서쪽 초전리에 금성산고분군과 조문국의 모든 것을 담은 조문국박물관이 있다. 도보로 20분(차로 3~4분) 거리로 가까우니 같이 둘러보길 권한다.(☞ 박물관 홈페이지 보기) * 소재지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351외 (고분전시관 ☎ 054-834-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