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북한산둘레길에서 가장 편하고 볼거리가 많은 숲길, 내시묘역길~마실길~구름정원길 나들이 (경천군 송금비, 마실길 느티나무, 화의군 이영 묘역)
도봉산고양이 2018. 9. 5. 14:04
' 북한산둘레길 내시묘역길~마실길~구름정원길 나들이 '
여름이 막 기지개를 켜던 6월의 첫 무렵, 천하 둘레길의 성지(聖地)로 격하게 추앙받는 |
♠ 북한산둘레길 내시묘역길 진관동 구간 | |
북한산둘레길 10구간인 내시묘역길은 고양시 효자동(孝子洞) 공설묘지에서 진관동 방패교육대 | |
| |
북한산초교입구에서 내시묘역길을 따라 자연에 묻힌 민가를 여럿 지나면 울창한 숲속에 들어 | |
광해군(光海君)은 1614년 사패지(賜牌地, 제왕 | |
▲ 조성시기가 쓰여진 송금비 뒷면 | |
비석이 바라보는 방향을 보면 철책 사이로 잠겨진 문이 보일 것이다. 그 문을 열고 숲으로 살 | |
| |
경천군 송금비에서 6~7분 정도 가면 백화사란 조그만 절이 모습을 비춘다. 이곳은 중골마을의 | |
| |
백화사 마애3존불은 바위 윗부분을 싹둑 다듬고 석가불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에 문수보살(文 | |
| |
백화사를 지닌 중골마을은 산에 감싸인 산골마을로 여기소마을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곳에는 | |
| |
백화사 정류장에서 백화사로 가는 길목 초입에 여기소터 표석이 있다. 이곳에는 다음과 같은 | |
|
♠ 북한산둘레길 9구간, 마실길 | |
내시묘역이 없는 내시묘역길은 여기서 마실길로 간판을 바꾸어 달린다. 방패교육대에서 진관 | |
| |
마실길을 들어서면 진관천 벼랑에 닦여진 나무데크길이 나온다. 깎아지른 벼랑에 잔도(棧道) | |
| |
진관천 벼랑을 통과한 마실길은 삼천사입구에 이른다. 삼천사는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마애불 | |
| |
삼천사계곡을 건너면 'S'자로 살짝 구부러진 길이 나오고 길 왼편으로 비슷하게 생긴 돌탑 4 | |
| |
돌탑을 지나면 울창한 모습의 커다란 느티나무가 나그네의 두 눈을 단단히 동여맨다. 동화 속 | |
| |
▲ 한 폭의 수채화 같은 은행나무숲길 (왼쪽은 늦봄, 오른쪽은 여름) | |
마실길에서 가장 으뜸인 곳이자 북한산둘레길 서쪽 구간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바로 170 | |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8년 8월 23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8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서울 사진 답사기 > 북한산(은평,종로,성북,강북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둘레길 2코스 순례길, 구천계곡에서 만난 숨겨진 명소와 애국지사의 묘역들 ~~ (수유동 분청사기가마터, 신익희선생묘, 김병로묘, 유림묘) (0) | 2019.06.17 |
---|---|
봄맞이 산사 나들이 ~ 도심에서 가까운 고즈넉한 산사, 북한산 금선사 (비봉능선) (0) | 2019.05.11 |
국제적인 사찰로 명성이 자자한 고즈넉한 산사, 북한산 화계사 ~~~ (화계사의 흥겨운 석가탄신일 야경) (0) | 2018.06.26 |
도심 속에 숨겨진 상큼한 숲길, 북한산둘레길 옛성길~탕춘대능선~구름정원길 나들이 (0) | 2017.12.12 |
서울에서 제일 오래된 마애불을 간직한 첩첩한 산골의 고즈넉한 절집, 북한산 삼천사 (삼천사계곡) (0) | 2017.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