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충남의 내륙을 거닐다. 청양 겨울 나들이 '
|
|
▲ 천장호와 출렁다리 |
|
|
|
▲ 청양 우산 숲길 |
▲ 겨울 운무에 잠긴 우산 |
겨울 제국의 한복판인
1월의 어느 덜 추운 날, 충남의 지붕인 청양(靑陽)을 찾았다. 청양 |
♠ 청양읍내의 포근한 뒷산, 우산(牛山) 둘러보기 |
|
우산은 해발 237m의 조촐한 뫼로 청양읍내의 듬직한 뒷동산이자 쉼터이다. 겉보기에는 천하에 |
|
|
|
충령사 옆에는 용암사란 현대 사찰이 있다. 그 밑을 가만히 보면 맞배지붕을 지닌 기와 건물( |
|
|
|
▲ 밑에서 바라본 석조여래3존입상 |
▲ 석조여래3존입상이 거처하는 맞배지붕 |
|
|
석조여래3존입상 밑에는 작고 잘생긴 3층석탑이 있다. 그는 3존입상과 함께 일명사터에 있던 |
|
|
◀ 청양3층석탑과
돌기둥 3기 |
|
|
용암사 밑에 자리한 늙은 석불과 석탑을 둘러보고 우산의 속살로 들어섰다. 아침 산책과 운동 |
|
|
|
우산 윗부분에는 옛 백제(百濟)가 씌워놓은 우산성의 흔적이 진하게 남아있다. 산꼭대기 주변 |
|
|
|
청양읍내를 감쪽같이 훔쳐간 안개(운무), 우산 윗도리에 이르니 그 운무가 내 밑에 하얗게 펼 |
|
|
|
우산성 동쪽 성곽은 능선을 따라 이어지는데 떡바위를 비롯한 상큼한 모습의 바위들이 줄지어 |
|
|
|
▲ 서서히 걷히는 운무 (칠갑산 방향) |
|
* 우산성 소재지 :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 백천리 산69-5외 |
♠ 칠갑산 자락에 묻힌 그림 같은 호수, 천장호(天庄湖) |
|
우산을 2시간 정도 거닐고 내려오는 사이, 읍내를 오리무중(五里霧中)처럼 짙게 감싸던 운무 |
|
|
|
천장호전망대는 천장호가 잘 바라보이는 칠갑산로 도로변 벼랑에 자리해 있다. 천장호 정류장 |
|
|
|
▲ 천장호전망대에서 바라본 천장호 |
▲ 청양고추를 귀엽게 표현한 캐릭터 |
천장호전망대에서 천장호의 전체적인 모습을 살펴보고 저 밑에 바라보이는 천장호로 내려갔다. |
|
|
|
▲ 황금색 지붕의 황룡정 |
▲ 천장호 출렁다리로 내려가는
산책로 |
|
|
천장호는 농업용
저수지로 이곳의 지명인 천장리(天庄里)에서 이름을 땄다. 1972년 12월에
짓 |
|
|
|
출렁다리 동쪽은 호수를
향해 길게 삐죽 나온 지형으로 서,남,북이 호수에 접해있다. 지금은 |
|
|
|
천장호 출렁다리는 흔들다리의 일종으로 2007년 11월에 착공하여 2009년 7월 28일 완성을 보 |
|
|
|
|
|
▲ 출렁다리 서쪽에 자리한 용(왼쪽)과 호랑이 조형물(오른쪽) |
|
출렁다리를 건너면 용과 호랑이상이 마중을 하면서 길은 3갈래로 갈린다. 칠갑산 등산이 목적 |
|
|
♠ 천장호 마무리 (소원바위) |
호수를 따라 펼쳐진 천장호둘레길은 해가 짧다는 구실로 다 돌지 않고 황룡상이 있는 쉼터까 |
|
천장호에 왔다면 출렁다리도 좋지만 꼭 만나야될 존재가 있다. 바로 소원바위이다. 그 모습이 |
|
소원바위 앞에는 기도 자리가 닦여져 있다. 한쪽에는 소원을 적을 하얀 종이(소원지)와 펜이 |
|
소원바위에 약소하게 소원 하나를 들이밀고 출렁다리로 나왔다. 여기서 바깥으로 나가려면 꼼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연락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1년 9월 21일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 본인의 다음(daum) 블로그 ☞
보러가기
* 본인의 네이버(naver) 블로그 ☞
보러가기
Copyright (C) 2021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충청남도 사진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도나무의 고향, 천안 광덕사 들어서기 (일주문, 보호수 느티나무, 400년 묵은 광덕사 호도나무) (0) | 2023.02.14 |
---|---|
옛 백제의 마지막 도읍지, 부여 늦겨울 나들이 (의열사, 금성산, 조왕사, 국립부여박물관, 궁남지와 서동공원) (0) | 2022.06.06 |
공주 석장리박물관과 구석기테마동산에 재현된 구석기 움집(막집) (0) | 2020.12.26 |
우리나라 구석기유적의 1번지 공주 석장리 구석기유적 (석장리박물관) (0) | 2020.12.23 |
대웅전 꽃창살이 유명한 고즈넉한 산사, 논산 불명산 쌍계사 (쌍계사 대웅전, 송불암 미륵불) (0) | 2020.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