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부여 늦겨울 나들이 '
|
|
▲ 금성산 성화대에서 바라본 부여읍내 |
|
|
|
▲ 궁남지와 포룡정 |
▲ 국립부여박물관 석조여래입상 |
|
♠ 백제와 고려, 조선의 충신을 봉안한 조그만 사당 |
|
부여문화원 뒷쪽이자
금성산 서쪽 자락에는 의열사가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1575년 부여현감 |
|
|
|
▲ 굳게 닫힌 의열사 삼문(정문) |
▲ 뒷쪽에서 바라본 의열사 |
의열사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사당 외에 재실(齋室) 1동을 갖춘 조촐한 규 |
|
|
|
▲ 적막이 스치는 의열사 뜨락 |
▲ 의열사비 - 충남 지방유형문화재 46호 |
의열사와는 실과 바늘의
관계인 의열사비는 1723년에 이간(李柬)이 썼다. 의열사의 건립 과정 |
|
|
|
의열사 동쪽에
금성산으로 이어지는 조그만 길이 있다. 그 길을 오르면 쉼터를 갖춘 공원(남 |
|
|
|
계백문을 넘어 경사진
산길을 오르면 갈림길이 나온다. 여기서 느긋하게 펼쳐진 서쪽 숲길로 |
|
|
|
금성산 서쪽 봉우리에
자리한 무로정은 1977년 12월 부여군수 정연달이 지었다. 정자의 이름 |
|
|
허나 아쉽게도 이
세상 누구도 늙음에서 자유 |
▲ 필체가 또렷한 무로정 현판의 위엄 |
♠ 부여읍의 포근한 뒷동산, 금성산(錦城山) |
|
부여읍내 동쪽에 자리한
금성산은 해발 124m의 야트막한 뫼이다. 읍내 사람들의 포근한 뒷동 |
|
|
|
금성산은 백제 후기에
오산, 부산(浮山)과 더불어 삼영산(三靈山)의 하나인 일산(日山)으로 |
|
|
|
금성산은 부여읍내가
훤히 바라보이고, 읍내 동쪽에 병풍처럼 둘러져 있어 부여를 지키는 요 |
|
|
|
성화대는 서쪽으로 펼쳐진 부여읍내를 굽어보고
있다. 읍내 전체는 물론 백마강과 규암면 지 |
|
|
|
금성산에는 소나무가
많아 솔내음의 품질도 좋은 편이다. 기왕 뫼에 왔으니 그 정상도 가보는 |
|
|
|
조왕사 동쪽에는
금성산의 젖줄인 조왕사 약수터가 있다. 부여읍내에서 유명한 약수터로 겨울 |
|
|
|
조왕사는 금성산 서쪽
자락에 안긴 조그만 산사(山寺)이다. 내가 금성산을 찾은 주된 이유는 |
|
|
|
잔디가 입혀진 대웅전 뜨락에는 고색의 기운이 짙은 엉성한 모습의 석탑이 있다. 그는 1987년 |
|
|
|
대웅전 안에는 이곳의
대표 보물인 석불좌상이 소중히 봉안되어 있다. 그는 금성산 남쪽
자락 |
|
|
|
조왕사를 둘러보고 서쪽
길을 따라 읍내로 내려갔다. 길 남쪽에는 국립부여박물관이 넓게 둥 |
|
|
|
▲ 박물관 뜨락에서 만난 부여 동사리석탑 - |
▲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普光寺 大普光禪 |
|
|
▲ 당 유인원 기공비(唐 劉仁願 紀功碑) - |
▲ 제2전시관에 재현된 백제의 미소 |
♠ 백제 무왕(武王)이 만든 매우 오래된 백제시대 정원 유적 |
|
부여읍내 남쪽에 자리한 궁남지는 읍내 북쪽에 부소산성(낙화암, 고란사)과 구드래, 읍내 중 |
|
|
|
▲ 서동공원 연꽃 논두렁 산책로 |
▲ 겨울에 잠긴 연꽃 논두렁 ① |
|
|
▲ 겨울에 잠긴 연꽃 논두렁 ② |
▲ 겨울에 잠긴 연꽃 논두렁 ③ |
|
|
궁남지는 634년 백제 무왕이 궁성(宮城) 남쪽에 조성했다. 그 연유로 이곳 이름이 궁남지(宮 |
|
|
|
비록 연못이 왕년의 시절보다 덩치가 많이 줄었다고 하지만 여전히 넓다. 지금도 이러하니 왕 |
|
|
|
|
|
▲ 김종필이 1973년에 쓴 포룡정 현판 |
▲ 포룡정 동쪽에서 바라본 나무다리 |
포룡정은 1965년에
섬을 다시 재현하면서 지은 네모난 정자이다. 포룡이란 용을 품고 있다는 |
|
|
|
궁남지 남쪽에는
백제우물 유적이 누워있다. 우물은 보존 및 위험방지를 위해 흙과 잔디로 빼 |
|
|
|
궁남지와 서동공원 일대를 1시간 정도 둘러보고 공원 서쪽에 자리한 군수리사지(軍守里寺址)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연락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2년 5월 25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 본인의 다음(daum) 블로그 ☞
보러가기
* 본인의 네이버(naver) 블로그 ☞
보러가기
Copyright (C) 2022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충청남도 사진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안 광덕사 대웅전과 3층석탑, 석사자, 늙은 느티나무, 명부전 (0) | 2023.02.16 |
---|---|
호도나무의 고향, 천안 광덕사 들어서기 (일주문, 보호수 느티나무, 400년 묵은 광덕사 호도나무) (0) | 2023.02.14 |
충남 청양의 꿀명소를 거닐다 ~~ 우산, 우산성, 천장호, 천장호출렁다리 나들이 (우산슬로길, 소원바위) (0) | 2021.10.04 |
공주 석장리박물관과 구석기테마동산에 재현된 구석기 움집(막집) (0) | 2020.12.26 |
우리나라 구석기유적의 1번지 공주 석장리 구석기유적 (석장리박물관) (0) | 2020.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