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정정공 이변 묘 (덕수이씨묘역)

관악산 북쪽 자락이자 낙성대 서북쪽 산자락에 정정공 이변을 중심으로 한 덕수이씨묘역이 포근히
둥지를 틀고 있다.

묘역 가장 윗쪽에 이변과 부인 양성이씨묘가 자리해 후손들의 묘역을 굽어보고 있는데, 이변(1391
~1473)은 이순신 장군의 5대조가 된다. 1419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박사가 되었고, 1427년 사
역원판관이 되었으며, 1467년 세조로부터 궤장을 하사받았다. 그리고 1472년에 영중추부사가 되었
다.

 

그는 명나라 말(한어)에 능통해 명나라 외교에서 통역을 전담했는데, 참으로 한심한 것이 집안에서
도 가족들에게 우리말 대신 명나라 말을 쓰게 했고, 심지어 친구와 만날 때도 명나라 말로 인사를 하
고 떠들었다고 전한다.

 

1473년 고금의 명현과 절부의 행적을 명나라 말로 번역한 훈세평화를 저술했으며, 바로 그해 82세
로 사망했다. 그가 죽자 성종은 크게 슬퍼해 조회를 잠시 중단했으며, 이곳 일대를 하사해 무덤을 쓰
게했다. 하여 이곳에 이변과 그의 아들, 손자, 후손들의 유택이 주렁주렁 들어섰으며, 이순신 장군도
1년에 1~2회 이곳을 찾아 참배를 했다고 전한다.

 

2. 이여달의 전부인 죽산안씨묘

오래된 지붕돌 묘표와 상석, 혼유석, 망주석 1쌍을 지니고 있다.

 

3. 이여달의 전처인 죽산안씨묘와 그 뒷쪽에 자리한 이여달, 전주이씨 내외묘, 그리고 제일 뒤쪽 높은
곳에 자리한 이변, 양성이씨 내외묘

 

4. 이여달묘

이여달은 통훈대부 진해현감을 지낸 인물로 생몰시기는 전하지 않는다. 무과에 급제하여 1623년 5월
진해현감으로 부임해 2년 남짓 진해 고을을 다스렸으며, 그 외에 행적은 딱히 전하는 바가 없다.

이여달묘는 이여달과 후처인 전주이씨의 합장묘로 상석과 혼유석, 망주석 1쌍을 지니고 있으며, 근래
마련된 검은 피부의 묘표가 무덤 주인을 알려준다.

 

5. 이여달과 전주이씨 묘표

 

6. 이한정과 파평윤씨의 합장묘

검은 피부의 지붕돌 묘표와 망주석 1쌍, 상석, 혼유석을 지니고 있는데, 상석과 혼유석을 빼고 모두
근래에 새로 달아놓았다.

 

7. 이한정, 파평윤씨 묘표

 

8. 이효조, 행주기씨의 늙은 묘표

이효조는 이변의 아들이자 이거의 아버지로 이순신 장군의 고조부가 된다. 통훈대부, 통예원 봉예 등
을 지냈으며, 부부의 쌍분과 늙은 묘표, 지붕돌 묘표, 상석, 혼유석, 문인석 1쌍을 지니고 있다.

 

9. 이효조 묘

 

10. 이거, 임피진씨 지붕돌 묘표

이거(?~1502)는 이변의 손자이자 이효조의 아들로 이순신 장군의 증조부이다. 자는 '자미'로 생원시
를 거쳐 생원이 되었고 1480년 식년시 문과에 을과 6등으로 급제했다. 1482년 경연청 설경, 1483년
홍문관 박사와 경연사경, 1484년 경연검토관, 홍문관수찬을 지냈으며, 1484년 암행어사로 경기도 지
역을 시찰해 과천현감 최급을 탐관오리로 잡아서 봉고파직시켰다.

1486년 1월 승의랑 사간원정언, 1487년 이조좌랑, 1491년 7월 통덕랑으로 승진해 수사헌부장령이
되었으며, 1493년 종진부전첨을 거쳐 1494년 세자시강원보덕으로 세자인 연산군의 스승이 되었다.

 

연산군 즉위 초에는 통훈대부로 승진, 장악원정지제교 겸 승문원판교, 한학교수를 역임했으며, 춘추
관편수관으로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1497년 1월 정3품 통정대부로 승진해 순천도호부사가 되
었으며, 1499년 7월 임기만료로 행호군이 되었고, 이후 병조참의가 되었다.

 

11. 이거묘

 

12. 덕수이씨 묘역 밑에 자리한 이변 신도비

하얀 피부의 귀부와 파리도 미끄러질 정도에 매끄러운 피부를 지닌 검은 비신, 그리고 현란한 무늬의
이수를
지닌 잘생긴 비석으로 이곳 묘역의 주인공이자 덕수이씨의 중시조인 이변을 기리고 있다.

 

덕수이씨 후손들은 묘역 밑에 조촐하게 공원을 만들어 덕수공원으로 삼았으며, 공원과 묘역 상당수
를 속세
에 쿨하게 개방하고 있어 자유롭게 관람이 가능하다. 무덤 봉분들이 근래 밑도리에 호석이 둘
러지는 성형을
받았고, 근래 세운 석물도 여럿 있으나 이변, 이거, 이효조묘는 조성 당시(15~16세기)
석물들이 많아서 그 시
절 무덤 양식과 무덤 석물 변천사를 살펴보는데 좋은 자료가 되어준다.

게다가 이순신 장군의 조상 묘역이니 그 의미도 조금은 남다르다. 하여 지방문화재의 자격이 충분하
나 아직
까지 비지정문화재에 머물러 있다.

 

13. 봄이 달달하게 내려앉은 덕수공원 (덕수이씨묘역 입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