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은행나무는 용문사에서 특별히 옆구리에 끼고 애지중지하는 이곳의 꿀단지이자 듬직한 밥줄 이다. 이 나무가 없었다면 지금의 용문사도 없었을지도 모른다. 우리나라 최대의 은행나무이자 동양 최대의 은행나무란 지위까지 지지고 있는 고품격의 나무로 높이가 무려 42m, 가슴높이 줄기둘레 14m, 가지퍼짐은 동쪽 14.1m, 서쪽 13m, 남쪽 12m, 북쪽 16.4m, 뿌리부분 둘레는 15.2m이다. 추정 나이는 약 1,100년을 헤아리며, 줄기 아래쪽에 큰 혹 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나무가 너무 큰지라 경내 어디서든지 그가 흔쾌히 보인다.
이 나무는 신라(新羅)의 마지막 자존심 마의태자(麻衣太子)가 신라의 재건을 꿈꾸며 경주(慶州) 를 버리고 금강산으로 가던 중에 심었다고 전한다. 신라가 935년 10월에 쿨하게 망했으니 태자 가 무리를 이끌고 여기까지 온 것은 적어도 935년 11월 정도 될 것이다. 그러면 나무의 나이와 대충 맞아 떨어진다. 허나 전설처럼 태자가 과연 이곳에 들렸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용문사가 10세기 초반에 양평함씨(양근함씨)의 지원으로 창건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 함씨(咸氏) 세력 이나 절에서 심은 것이 아닐까 싶다. 다른 전설로는 7세기에 활약하던 의상대사(義湘大師)가 꽂은 지팡이가 자라났다고 하는데, 이는 나무의 나이나 그 당시 상황을 봐도 전혀 있을 수가 없는 일이다.
조선 세종 때는 당상관(堂上官) 품계를 받아 정삼품송(正三品松)이라 불리기도 하며, 절이 수차 례 불타고 재건되기를 반복했으나 이 나무는 별탈없이 그 자리를 지켰다. 특히 사천왕전(四天王 殿)이 불탄 이후에는 절을 지키는 천왕목(天王木)으로 받들었다고 하며, 나라에 변고가 있을 때 마다 소리를 내어 세상에 알렸다고 전한다. 요즘 나라 돌아가는 꼬락서니를 보면 순 재변(災變) 투성이인데도 근래는 한번도 소리를 안낸 모양이니 참으로 이상하다. 너무 소리를 내서 이제는 낼 소리조차 없는 것은 아닐까?
1907년 왜군이 의병 토벌을 구실로 용문사를 불질렀는데, 이 나무만 타지 않았다고 하며, 왜정( 倭政) 때는 왜군이 나무를 자르려고 용을 쓰다가 벼락을 맞아 줄행랑을 친 적이 있었다고 한다. 그걸 증명하듯 그 당시의 도끼자국이 아련히 남아있어 우리의 아픈 역사를 비추게 한다.
은행나무는 녹음(綠陰)이 깃드는 여름에도 멋있고 시원하지만 아무래도 황금빛으로 물드는 늦가 을의 자태가 단연 으뜸이다. 바로 그 절정을 보려고 왔지만 너무 늦게 와서 은행잎은 커녕 굵은 가지만 남은 그의 앙상한 모습만 눈에 넣고 말았다. 아무리 잘나가는 나무라 해도 겨울의 제국 앞에서는 누구나 평등하다. 가지만 가련히 남은 모습은 누구나 같기 때문이다. (동백나무 등의 친겨울계 나무나 소나무, 향나무는 제외) 늦가을의 절정을 누리는 은행나무의 모습을 담지 못해 그 아쉬움을 달래고자 문화재청에 올려진 사진을 아래 첨부하니 안구정화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경내로 들어서기 전에 간략하게 용문사의 내력을 살펴보도록 하자.
※ 은행나무로 유명한 양평 용문사의 굵직한 내력 용문산 남쪽 자락에 안긴 용문사는 913년 대경대사(大鏡大師) 여엄(麗嚴)이 창건했다고 전한다. 다른 설로는 신라의 마지막 군주, 경순왕(敬順王, 재위 927~935)이 친히 행차하여 세웠다고 한 다. 허나 당시 신라는 고려와 백제, 여러 지방세력에게 영토 대부분을 빼앗기고 간신히 경주 일 대만을 지키던 상황이었다. 그런 지경에 어찌 머나먼 용문산까지 와서 한가롭게 절을 짓겠는가? 게다가 그럴 재정도 없었다. 또한 양근(楊根)이라 불리던 양평 일대는 고려의 영역으로 양평함씨 세력의 본거지로 고려에 투 항한 그들이 신라의 떨거지 왕이 와서 설치는 것을 그냥 팔짱만 끼고 보고 있을 리도 없기 때문 이다. 아마도 은행나무를 마의태자가 심었다는 전설 때문에 그의 부왕(父王)이 등장한 듯 싶다. 그것 말고도 649년 원효대사가 창건하고 신라 후기에 도선국사가 중창했다는 설도 있으니 이 역 시 신뢰성이 없다.
절의 창건 시기를 알리는 최초의 기록은 조선 세조 때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용문사기(龍門寺 記)'와, 1493년 임사홍(任士洪, ?∼1506)이 쓴 '용문사중수기(龍門寺重修記)'가 있다. 이들 기 록에는 '신라 때 창건된 나라의 이름 있는 절','경기도의 이름 있는 절로 오래 되었다'고 쓰여 있을 뿐이며, 1927년 안진호(安震浩)가 쓴 '봉선본말사지(奉先本末寺誌)'와 권상로(權相老)의 ' 한국사찰전서'에는‘신라 신덕왕 2년(913)에 대경대사가 창건했다. 일설에는 경순왕이 친히 거 둥하여 절을 창건하고 손수 공손수(公孫樹)를 심었다고 하나 증명할 기록은 없다'라 되어있어 대경대사 창건설에 무게를 잔뜩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쨌든 용문사는 절 앞에 있는 은행나무를 통해 9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중에 창건된 후삼국시대 절은 확실하다. 절을 창건했다는 대경대사는 용문사 창건 10년 뒤인 923년에는 용문산 서북쪽이 자 양평함씨의 성지인 함왕혈(咸王穴) 인근에 사나사(舍那寺. ☞ 관련글 보기)를 세운 것을 보 면 양평함씨의 후원을 업은 승려가 분명하며, 그들의 지원에 힘입어 창건된 절이 확실하다.
창건 이후 1378년(우왕 4년) 정지국사(正智國師) 지천(智泉)이 개성 경천사(敬天寺)에 있던 대 장경(大藏經)을 가져와 대장전(大藏殿) 3칸을 지어 보관했다고 하며, 1395년 중창을 벌였다. 1447년(세종 29년)에는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모후(母后)인 소헌왕후(昭憲王后)를 위해 중수를 벌이면서 왕실의 원찰(願刹)이 되었고, 1457년(세조 2년) 왕명으로 절을 크게 불려 '동국(東國) 제일가는 사찰'이라 불릴 정도로 호황을 맞는다.
1480년(성종 11년)에는 처안(處安)이 중수를 하고 1890년 봉성(鳳城)이 신정익황후(神貞益皇后) 조씨<조대비(趙大妃)>의 지원으로 중창했고, 1893년 다시 중창을 했다. 봉성은 조대비에게 극진 한 예우를 받았는데, 1891년 대비의 권유로 양주 견성암(見聖庵)에서 용문사로 넘어왔다.
이렇게나 잘나가던 용문사는 1907년 왜군들이 용문산에 머물던 의병(義兵)을 토벌한다는 이유로 불을 지르면서 그 영화로움은 순식간에 한줌의 재가 되고 만다. 이때 같은 산에 안긴 사나사와 상원사(上院寺)도 불타고 말았다.
1909년 취운(翠雲)이 큰방을 다시 짓고, 1938년 태욱(泰旭)이 대웅전과 어실각, 노전, 칠성각, 기념각, 요사 등을 중건하며 다시 재흥을 꿈꾸었으나 6.25전쟁으로 상당수가 불타고, 대웅전과 관음전만 간신히 남았다. 1983년 범종각과 지장전을 중건했고, 끊임없이 불사(佛事)를 벌여 지 금에 이른다.
경내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관음전, 지장전, 삼성각, 독성각 등 약 10동의 건물이 있으며, 경 내에 깃들여진 고색의 향기는 죄다 흩어져 사라지고 말았다. 허나 1,100년 묵은 은행나무와 정 지국사탑비, 금동관음보살좌상 등의 문화유산이 있어 절의 오랜 내력을 가늠케 한다.
용문사는 용문산과 한덩어리로 오래 전부터 수도권 유명 관광지로 명성을 누렸다. 특히 중앙선 전철이 뚫린 이후에는 더욱 그렇다. 용문사는 등산객과 관광객들로 늘 북새통을 이루어 아늑하 고 적막한 산사의 향기를 누리는 것은 조금은 힘들 듯 싶다. 다만 은행나무 아래쪽에 전통다원 이란 찻집이 있어 산사에서의 차 1잔의 여유를 누릴 수 있다. 또한 용문산 등산로 길목에 있어 절을 둘러보고 상원사나 윤필암터, 용문산 정상까지 오를 수 있으며, 근래에는 템플스테이를 운 영하면서 산사 체험을 누릴 수 있다.
동양 최대라는 은행나무의 아름다움과 용문산의 삼삼한 숲이 어우러진 산사로 한번은 안기고 싶 은 그런 절집이다.
※ 용문사 찾아가기 (2012년 11월 기준) * 용문행 중앙선 전철(용산~용문)을 타고 용문역 하차(30분 간격), 중앙선과 환승이 가능한 전 철역은 용산역(1호선), 이촌역(4호선), 옥수역(3호선), 왕십리역(2/5호선, 분당선), 회기역(1 호선), 상봉역(7호선, 경춘선), 망우역(경춘선)이다. * 동서울터미널에서 용문 경유 홍천 방면 직행버스 이용 → 용문 정류장에서 용문터미널이나 용 문축협까지 도보로 이동(터미널은 10분 정도, 축협은 5분)하여 용문사행 군내버스 이용 * 용문터미널(군내버스만 정차)과 용문역에서 용문사행 군내버스가 거의 50~60분 간격으로 다닌 다. (휴일에는 30~50분 간격으로 운행) * 승용차로 가는 경우 ① 서울 → 홍천 방면 6번 국도 → 용문사나들목을 나와서 331번 지방도 → 용문사주차장 ② 중부고속도로 → 하남나들목 → 팔당대교 → 6번 국도 → 용문사나들목을 나와서 331번 지방 도 → 용문사주차장
★ 용문사 관람정보 * 입장료 : 어른 2,000원 (30인 이상 단체 1,800원) / 청소년과 군인 1,400원 (30인 이상 1,200 원) / 어린이 1,000원 (30인 이상 800원) * 주차비 : 승용차 3,000원 / 버스 5,000원 * 용문사 템플스테이는 주말에 하는 1박 2일 프로그램과 평일에 자유롭게 머무는 휴식형 프로그 램이 있다. 참가비는 어른 5만원, 학생(대학생 포함) 4만원. 자세한건 ☞ 용문사 홈페이지 참조 또는 전화로 문의요망 (☎ 031-775-5797) * 용문사에서 상원사까지 산행 1시간, 장군약수가 있는 운필암은 2시간 30분 정도 걸리며, 정상 까지는 3시간 정도 잡으면 된다. 운필암을 거쳐 사나사나 연수리 방면으로 내려갈 수 있다. * 소재지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625 (☎ 031-773-37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