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JXezH/btsL86AigAb/NTwBQ734cOKyqNl6HBz7z1/img.jpg)
1. 통영 미륵산 봉수대통영 미륵도의 대표 지붕인 미륵산(해발 461m), 그 미륵산 정상부의 동남쪽 바위 봉우리에 미륵산 봉수대의 흔적이 남아있다.이곳 봉수대는 부산 다대포에서 서울 남산(목멱산)까지 이어지던 제2봉수로의 일원으로 거제 가라산봉수대에서 신호를 받아 도산면 우산봉수대로 신호를 넘겼다. 신호는 보통 봉화불을 이용하나 날씨가 영 좋지 않거나 불을 피우기 힘들 때는 봉수대를 지키고 관리하는 봉수지기가 다음 봉수대까지 직접 달려가서 소식을 전했다. 봉우리 동남쪽 경사면에 약 5m 높이의 3단 석축을 쌓은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남아있으며, 북쪽 경사면에는 규모가 아리송한 석축의 흔적이 있다. 그리고 정상에는 경사면의 석축을 지지대로 삼아 만든 지름 7.5~7.8m 크기의 반원형 흔적이 있다.봉수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KhoGN/btsL8XI0g9j/L4txr4YjyPnDLaFhVM0lkK/img.jpg)
1. 하얀 눈에 뒤덮힌 공주목 관아 혜의당공주 도심인 중학동 웅진로 동쪽에 옛 공주 고을의 관아 건물인 혜의당이 있다. 혜의당은 공주목을 다스리던 공주목사(현 공주시장)가 공무를 보던 곳으로 아주 옛날부터 있던 것이 아닌 1896년에 지어졌다.고약했던 왜정 시절, 왜정에 의해 공주 관아 건물 대부분이 파괴되고 겨우 혜의당만 남았으며, 공주군청 건물로 개조되어 1928년까지 살아갔다. 이후 충남도립병원(현 공주의료원)이 이곳에 들어서면서 병원 의사들의 숙소가 되었고, 그로 인해 원형이 많이 손상되었다. 그러다가 1971년 병원 증축 과정에서 허무하게 사라지고 만다.1984년 황새바위 밑에 복원 재현했으나 1986년 화재로 무너졌으며, 살아남은 초석을 수습해 1993년 웅진동에 복원했다.이후 2010년 공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