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하얀 눈에 뒤덮힌 공주목 관아 혜의당

공주 도심인 중학동 웅진로 동쪽에 옛 공주 고을의 관아 건물인 혜의당이 있다. 혜의당은 공주목을

다스리던 공주목사(현 공주시장)가 공무를 보던 곳으로 아주 옛날부터 있던 것이 아닌 1896년에 지

어졌다.

고약했던 왜정 시절, 왜정에 의해 공주 관아 건물 대부분이 파괴되고 겨우 혜의당만 남았으며, 공주

군청 건물로 개조되어 1928년까지 살아갔다. 이후 충남도립병원(현 공주의료원)이 이곳에 들어서면

서 병원 의사들의 숙소가 되었고, 그로 인해 원형이 많이 손상되었다. 그러다가 1971년 병원 증축 과

정에서 허무하게 사라지고 만다.

1984년 황새바위 밑에 복원 재현했으나 1986년 화재로 무너졌으며, 살아남은 초석을 수습해 1993년

웅진동에 복원했다.

이후 2010년 공주 관아 자리에 있던 공주의료원이 웅진동으로 흔쾌히 이전되면서 공주 관아 복원 계

획을 수립, 2021년에 혜의당을 그의 원래 자리로 가져오면서 무려 50년 만에 제자리로 돌아오는 기쁨

을 누리게 된다. 혜의당 현판은 1697년 충청도관찰사를 지낸 민진후(숙종의 왕후인 인현왕후의 오라

버니)의 글씨를 모아서 만들었다.

 

혜의당 옆에는 근래 복원된 5칸짜리 건물이 있으나 현재 혜의당과 그 건물이 이곳의 전부이다. 아직

까지 공주목 관아 복원은 느린 속도로 현재진행형이며, 그러다 보니 아직은 많이 썰렁하다.

 

2. 관찰사 이익보사적비

혜의당 옆에는 지붕돌을 지닌 늙은 비석이 있다. 눈을 뒤집어쓴 이 비석은 충청도관찰사 및 공주목사

를 지냈던 이익보(1708~1767)의 비석으로 그는 약 2년간 공주목사로 있으면서 공산성에 있는 공북

루를 중수하고 벽허정을 세웠으며, 백성들을 위한 빈민구휼과 공평과세, 억울한 옥사 방면 등의 업적

을 남겼다.

그의 공을 기리고자 공주 백성과 관리들은 1752년 공주 금강변에 이 비석을 세웠으며, 비문은 노사수

가 썼다. 이후 1874년 금강 홍수로 비석이 손상되면서 고쳐 세웠으며, 지역 사람들은 매년 정월에 비

석 앞에서 제사를 지냈다고 전한다.

 

1980년대 초에 이익보의 후손(연안이씨)들이 이 비석을 가져가는 일이 발생했다. 자세한 사연은 모르

겠으나 그렇게 강제로 떠난 비석은 이익보의 선조인 월사 이정구 묘역(경기도 가평군)으로 옮겨졌는

데, 2024년 공주시에서 공주문화원 70주년 특별기념사업 '문화유산 제자리 찾기' 프로젝트를 추진하

면서 후손들을 설득해 그해 10월 26일 이곳으로 가져왔다.

물론 이곳이 비석의 제자리는 아니다. 그렇다고 금강변에 다시 세우기도 애매하다. 하여 이익보가 공

주목사 시절 머물렀던 혜의당 옆에 특별히 자리를 마련해 그를 안착시켰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