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거창 거열산성건흥산 정상부에 자리한 거열산성은 산 밑에서 성곽이 보이지 않게끔 산의 지세와 능선의 기복을 이용하여 다진 산성이다. 성벽은 자연석과 잘 다듬은 돌을 이용해 지형에 따라 3~9m 높이로 쌓았으며, 성곽 둘레는 약 1,115m, 폭은 아랫부분은 7m, 윗부분은 4m 정도이다.워낙 늙은 산성이라 대부분 무너지거나 헝클어진 것을 근래 남쪽 성곽 일부를 복원 정비했는데, 주변에는 성벽에 쓰였던 돌덩어리와 건물 기와조각이 많이 남아있으며, 성내에는 여러 건물터와 군사훈련터 등이 남아있다. 현재 이 산성은 거열산성이란 이름으로 살아가고 있다. 신라 중기에 신라가 쌓은 것으로 여겨지는데, 663년에 신라 장수인 김흠순과 천존이 백제부흥군이 머물던 거열성을 점령하고 700여 명을 죽였다는 기록이 있다..

1. 건계정 윗쪽에서 바라본 건계정계곡거창 지역 제일의 경승지로 추앙을 받는 건계정과 건계정계곡을 둘러보고 건흥산 정상부에 깃든 거열산성을 보고자 건계정 뒷쪽 산길을 올랐다. 산길을 오르면서 건계정계곡(거창 위천)을 잠시 돌아보는 여유를 부렸는데, 이 경치 좋은 곳과 또 인연이 닿을지는 장담할 수 없다. 내가 거창에 살면 모르겠지만 그것도 아니니 말이다. 하여 이곳과 마지막 인연이라는 심정으로 이곳 풍경을 실컷 두 망막에 담아두었다. 2. 태극기가 펄럭이는 건계정 뒷쪽 전망대건계정계곡이 잘 바라보이는 곳에 나무데크 전망대와 쉼터를 닦았다. 그리고 천하 제일의 국기인 태극기까지 심어두어 잠시 나라와 관련된 망중한에 잠기게 한다. 3. 건흥산 산길 (건계정에서 거열산성으로 올라가는 길)거창읍의 대표 지붕인 ..

1. 거창 위천 송정교 동쪽 구간 (거창 읍내 방향)위천은 거창 읍내의 대표 젖줄이다. 거창군 북상면 농산리에 있는 성천(월성천)과 소정천 합류 지점에서 거창읍을 거쳐 황강까지 흐르는 내를 위천이라 부르는데, 원래 윗내라 부르던 것을 세월을 타면서 위천이 된 것으로 여겨진다. 위천이란 이름을 가진 내가 경북에 많아서 이를 구분하고자 '거창 위천'이라 부르고 있는데, 건흥산 남쪽 밑이자 건계정 옆구리를 흐르는 위천을 건계정계곡이라 부르며, 지역 피서지와 경승지로 나름 바쁘게 살아간다. 2. 거창 위천 송정교 밑 (건계정 방향) 3. 건흥산 등산로 안내도건흥산(573m)은 거창 읍내의 대표 지붕으로 거열산성이라 잘못 전하는 늙은 산성 유적을 품고 있다. 건계정에서 올라가는 산길은 그런데로 완만하나 건계정계..

1. 거창 상림리 석조보살입상상림리 석조보살입상은 거창군청에서 서쪽으로 1.4km 떨어진 곳에 있는 석불이다. 건계정과 거열산성을 보러가던 중에 잠시 인연을 지었는데, 그는 거창 지역에서 대표적인 늙은 석불(보살상)로 추앙을 받는 존재이다. 이 보살상은 화강암으로 다진 3.5m 높이의 존재로 연꽃(복련)이 새겨진 8각의 연화대좌에 서 있다. 이 부근에 건흥사란 절이 있었다고 전하고 있어 그 절에서 애지중지하던 보살상으로 여겨진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보계가 솟아 있으며, 보관은 없어진 상태이다. 양감이 줄어든 얼굴에는 작고 가는 눈, 다문 입이 표현되어 있으며, 어깨는 각이 져 있고, 신체는 장방형으로 보살상 특유의 유연성은 부족해 보인다. 가슴에 장식된 목걸이와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천의는 매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