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덕포진 '가'포대 2. 덕포진 '나'포대 3. 평화누리길1코스 대명항~덕포진 구간 (북쪽 방향) 4. 평화누리길1코스 대명항 시작점 5. 평화누리길1코스 대명항~덕포진 구간 6. 남쪽에서 바라본 덕포진 '가'포대 7. 덕포진 '가'포대 8. 덕포진 '가'포대에서 바라본 강화해협 (초지대교, 초지진 방향) 9. 덕포진 '가'포대 10. 덕포진전시관 11. 덕포진 '나'포대 12. 덕포진 '나'포대에서 바라본 강화해협 (덕진진, 광성보 방향) 13. 덕포진 '다'포대 14. 덕포진 파수청터 15. 손돌묘 16. 덕포진 돈대터 17. 덕포진 돈대터에서 바라본 강화해협 손돌목과 광성보 용두돈대 18. 덕포진 돈대터에서 바라본 강화해협 (덕진진, 초지항 방향) 19. 덕포진 돈대터에서 바라본 강화해협과 초지..

1. 덕포진 다포대 덕포진에 있는 3개에 포대 중 가장 북쪽에 자리한 포대로 강화해협(염하)을 향해 작게 입 을 벌리고 있다. 이들 포대는 토성을 쌓고 그 안에 여러 공간을 숨겨두어 포좌를 설치했는 데, 바깥을 향해 작게 창을 내어 그곳으로 화포를 쏘았다. 2. 토성처럼 둘러진 덕포진 다포대 (손돌묘, 돈대터 방향) 3. 풍년예감, 덕포진 다포대에서 바라본 신안리 들녘 4. 덕포진 다포대의 포좌(포대시설) 토성 안쪽에 포대 공간을 만들고 조그만 창을 내어 그것을 통해 화포를 쏘았다. 토성 안쪽 에 이렇게 위장을 해놓았기 때문에 바깥에서는 잘 눈에 띄지 않는다. 5. 강화해협을 향해 작게 입을 연 덕포진 다포대 6. 덕포진 다포대 안쪽 7. 덕포진 다포대에서 바라본 강화해협과 초지대교 8. 덕포진 가포대 ..

1. 덕포진 파수청터 김포 덕포진은 신미양요(1871년) 때 심하게 파괴되었다. 이후 고약했던 왜정을 거치면서 완전히 주저앉았고, 그로 인해 그 이름과 존재는 산산히 흩어지고 만다. 1970년대 후반 김기송씨(김포시 문화관광해설사)는 덕포진 해안에 있던 손돌묘 진혼제에 참여했다가 지역 사람들로부터 세월의 저편으로 사라진 덕포진 포대에 대한 이야기를 들 었다. 하여 지역 노인들의 고증을 토대로 손돌묘 주변을 싹 조사하여 고된 세월에 지쳐 쓰 러져 있던 덕포진의 흔적을 건지게 되었다. 1980년에 이르러 정부에서 본격적으로 발굴조사를 벌였는데, 그때 땅속에 묻혀있던 파수 청터을 건졌다. 이 건물터는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로 여겨지는데, 맞담처럼 둘러진 석벽 을 지니고 있었으며 발굴 당시 7개의 포탄과 ..

1. 김포 덕포진 가포대 강화해협 동쪽 김포 땅에 자리한 덕포진은 조선 선조 때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는 해안 포 대이다. 강화해협 서쪽인 강화도에는 해안을 따라 진, 보, 돈대 등 방어시설이 즐비하나 김포 쪽은 덕포진과 문수산성이 전부인데, 덕포진은 강화해협 너머로 광성보, 덕진진과 마주보고 있으며, 그들과 함께 강화해협 손돌목을 지켰다. 덕포진은 강화에 소속되어 있다가 1666년 통진 관할로 변경되었는데, 1682년 강화부 주 진으로 승격되어 영종도와 안흥진을 관리했다. 1866년 병인양요 때는 프랑스 애들 함대 와, 1871년 신미양요 때는 미국 애들 함대와 처절하게 격전을 치렀으며, 그때 크게 파괴 되었다가 왜정을 거치면서 덕포진의 존재는 거의 사라지고 만다. 1980년 발굴조사를 벌여 땅속에 잠들..

1. 평화누리길1코스(염하강철책길) 대명항 시작점 평화누리길1코스는 대명항(대명포구) 북쪽에서 강화해협(염하)을 따라 문수산성 남문까지 이어지는 14km의 도보길이다. 대부분의 구간이 염하 옆구리를 따라 이어지며 철책이 둘러 진 해변길과 낮은 언덕길이 주류를 이룬다. 그리고 염하 너머로 덕진진과 광성보, 갑곶진 등 강화도 동쪽 해안이 쭉 시야에 들어와 가는 길도 그리 심심치는 않다. 이번 나들이는 대명항 북쪽에 있는 덕포진을 보고자 찾은 것으로 대명항에서 평화누리길1 코스를 통해 덕포진으로 접근했다. 그 길을 1km 정도 가면 덕포진이 마중을 하면서 자연히 덕포진 경내로 들어서게 된다. 2. 평화누리길1코스 대명항 시작점에 설치된 귀여운 조형물들 3. 철책을 따라 펼쳐진 평화누리길1코스 대명항~덕포진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