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평화누리길1코스(염하강철책길) 대명항 시작점
평화누리길1코스는 대명항(대명포구) 북쪽에서 강화해협(염하)을 따라 문수산성 남문까지
이어지는 14km의 도보길이다. 대부분의 구간이 염하 옆구리를 따라 이어지며 철책이 둘러
진 해변길과 낮은 언덕길이 주류를 이룬다. 그리고 염하 너머로 덕진진과 광성보, 갑곶진 등
강화도 동쪽 해안이 쭉 시야에 들어와 가는 길도 그리 심심치는 않다.
이번 나들이는 대명항 북쪽에 있는 덕포진을 보고자 찾은 것으로 대명항에서 평화누리길1
코스를 통해 덕포진으로 접근했다. 그 길을 1km 정도 가면 덕포진이 마중을 하면서 자연히
덕포진 경내로 들어서게 된다.
2. 평화누리길1코스 대명항 시작점에 설치된 귀여운 조형물들
3. 철책을 따라 펼쳐진 평화누리길1코스 대명항~덕포진 구간
철책 너머로 보이는 수분은 강화해협(염하)이다. 염하는 강화도와 김포 사이를 가르며 흐
르는 물줄기로 겉으로 보면 강처럼 보이나 실상은 갯벌을 지닌 바다이다. 염하는 예민한
군작전구역이라 몇몇 포구를 제외하고 대부분 구간이 휴전선처럼 철책이 둘러져 있어 바
다 접근은 어렵다. 그나마 평화누리길, 강화나들길, 여러 문화유적 등으로 염하 해변길이
상당수 속세에 해방되서 그렇지 얼마전까지만 해도 아무나 발도 들일 수 없던 비싼 곳이
었다.
4. 평화로운 모습의 평화누리길1코스 대명항~덕포진 구간
염하를 따라 이어진 철책이 평화로운 모습의 다소 옥의 티가 되고 있다. 허나 이는 이북과 가
까운 이곳의 특성상 어쩔 수가 없다. 나중에 남북이 통일이 되고 이곳이 전방 역할에서 벗어
나면 그때야 비로소 철책이 모두 걷어질 수 있다.
5. 덕포진 남쪽 평화누리길1코스 철책길
6. 드디어 모습을 드러낸 덕포진 (덕포진 가포대)
덕포진은 강화해협(염하) 동쪽에 자리한 포대 유적이다. 강화도 구역인 염하 서쪽에는 덕
포진과 광성보, 갑곶진 등 포대 유적이 줄줄이 이어져 있으나 염하 동쪽인 김포 구역에는
덕포진과 문수산에 구축된 문수산성이 전부로 이곳 덕포진은 조선 중기인 선조(재위 1567
~1608) 시절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처음에는 강화에 속해 있다가 1666년 통진 소속으로 변경되었으며, 1682년 강화부 주진
으로 승격되어 영종도와 안흥진을 관장했다. 자연 지형을 이용해 토성 비슷한 모습으로 포
대를 구축했는데, 염하 서쪽 맞은편에 자리한 덕진진, 광성보와 함께 염하 손돌목 일대를
지켰으며, 1866년 병인양요 때는 프랑스 잡것들과, 그리고 1871년 신미양요 때는 미국 잡
것들과 포격전을 치루던 현장이기도 하다.
왜정을 거치면서 터만 겨우 남은 것을 1980년 발굴조사를 벌여 포대 3곳과 돈대터, 파수청
터를 건졌으며, 포대터에서는 1874년에 제조한 중포 1문, 소포 2문, 포탄이 나왔다. 파수청
은 장대 겸 포에 쓰일 불씨를 보관하던 창고로 여기서는 건물 주춧돌과 화덕자리, 상평통보
등이 출토되었다.
문수산성을 제외하면 염하 동쪽 김포 구역에서 유일한 포대 유적으로 포대 3곳(가포대, 나
포대, 다포대)을 복원하면서 사적공원으로 달달하게 꾸몄으며, 염하 건너편으로 강화도 지
역인 덕진진, 광성보 등이 시야에 들어온다. 그리고 덕포진 북쪽에는 손돌목의 유래가 된 손
돌의 묘가 있고, 평화누리길1코스가 덕포진 내부를 경유하여 북쪽(문수산성)과 남쪽(대명
포구)으로 흘러간다.
7. 덕포진 가포대
덕포진은 3개의 포대를 지니고 있는데, 고된 세월에 지쳐 쓰러져있던 그들을 일으켜 세우
면서 편의상 가나다순으로 가포대, 나포대, 다포대라 이름을 지었다.
가포대는 덕포진 남쪽에 자리한 포대로 토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안에 7개의 포대를
닦고 남쪽을 향해 작게 문을 내었다.
8. 숲내음이 진한 덕포진 숲길 (나포대 방향)
9. 서쪽에서 바라본 덕포진 가포대
자연 지형을 이용해 토성을 쌓고 그 안에 7개의 포대를 두어 남쪽으로 작게 문을 내었다. 포
대 북쪽에는 숲이 싱그럽게 펼쳐져 있어 아주 예술적인 산책로가 되어준다.
'수도권 사진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포 덕포진 파수청터와 손돌묘, 돈대터, 손돌목 (0) | 2022.11.17 |
---|---|
김포 덕포진 가포대와 나포대, 평화누리길1코스 덕포진 구간 (0) | 2022.11.14 |
한여름 산사 나들이, 안성 고성산 운수암 (무양성) (0) | 2022.08.30 |
광주 남한산성, 장경사, 개원사 봄맞이 나들이 (남한산 망월사, 지수당, 연무관) (0) | 2022.04.01 |
고양 대자동, 최영장군묘, 고양동누리길 겨울 나들이 (대자산, 경안군 및 임창군묘, 성녕대군묘) (0) | 2022.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