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아차산 주능선 아차산3보루~아차산5보루 구간 (서울둘레길5코스)아차산4보루에서 아차산 주능선길(서울둘레길5코스, 깔딱고개~광나루역 4.6km)을 따라 남쪽으로 10여 분 가면 아차산 정상부를 이루는 아차산3보루에 이른다. 3보루를 지나면 아차산5보루까지 완만한 능선길이 펼쳐지는데, 능선길에 소나무 등 수목이 울창하며, 산길 좌우로 일품 조망이 따라다녀 두 망막을 제대로 호강시킨다. 2. 아차산5보루아차산5보루는 해발 267m 봉우리에 둥지를 튼 보루로 둘레 158m, 내부 면적은 1,818㎡ 정도이다. 봉우리를 활용해 보루를 다졌는데, 보루 성벽은 세월의 격한 흐름에 죄다 휩쓸려 사라지고 겨우 흔적 일부만 남은 실정이다. 북쪽 비탈면에 석축 일부가 남아있으나 보존을 위해 흙으로 덮었으며, 보루를 잡..

1. 아차산4보루 북쪽 치아차산4보루는 용마산과 망우산을 제외한 아차산 식구 보루 중 가장 북쪽에 자리해 있다. 잃어버린 땅을 제외한 우리나라(남한)의 고구려 성곽 유적 중 건물터와 성벽의 구조가 제대로 밝혀진 최초의 현장으로 의미가 아주 남다른 곳인데, 아차산~용마산~망우산 보루 중 거의 유일하게 성벽의 흔적이 조금 남아있었다.복원 이전 성벽의 최대 잔존 높이는 1.8m로 남벽과 동벽은 잘 다듬은 성돌을 이용한 탓에 그런데로 남아있었으나 북벽과 서벽은 훼손이 심해 남아있던 높이가 0.8m를 넘지 못했으며, 부정형의 석재를 사용해 조잡하게 축조되었다. 구리시가 4보루에 숨겨진 옛날 이야기를 풀고자 1997년부터 문화재청과 경기도의 도움을 받아 1998년까지 발굴조사를 벌였다. 하여 온돌과 배수로, 저수조..

1. 아차산 헬기장(제2헬기장)용마산5보루에서 용마산 북쪽 능선(아차산~용마산 주능선길)을 따라 남쪽으로 조금 가면 아차산 제2헬기장이라 불리는 너른 공터가 마중을 한다. 이곳은 해발 342m 고지로 아차산 일대에서 용마산 다음으로 높은 봉우리인데, 여기서 남쪽 길로 내려가면 아차산4보루를 3보루를 비롯한 아차산 구역으로, 서남쪽 길로 가면 용마산4보루와 용마산 정상부로 이어진다.서울둘레길5코스(깔딱고개~광나루역, 4.6km)가 이곳을 지나가며, 헬기장 주변으로 인공으로 다져진 석축 무리들이 있는데, 이들은 아차산 주능선을 따라 조성된 아차산장성의 흔적으로 여겨진다. 2. 'H'마크가 박힌 아차산 제2헬기장이곳은 아차산과 용마산, 망우산으로 이어지는 요충지이다. 보통 아차산에서 망우산 방향, 용마산에서 ..

1. 용마산 깔딱고개 북쪽 길 (서울둘레길4코스)깔딱고개는 이름 그대로 깔딱거릴 정도로 각박한 경사를 지닌 고개이다. 그렇다고 무지하게 험한 고개는 아니며, 용마산과 망우산 사이에 움푹 들어간 부분으로 면목동 사가정공원에서 올라갈 때 경사가 조금 있다. 하지만 그 거리는 짧아서 10~20분 정도면 충분히 고개 정상에 닿는다.이 고개는 망우산과 용마산 경계로 북쪽은 망우산과 망우역사문화공원, 남쪽은 570계단을 통해 용마산과 아차산, 서쪽은 사가정공원과 면목동, 그리고 동쪽은 시루봉으로 이어져 아차산 북부(용마산, 망우산)의 주요 요충지이다. 또한 서울둘레길4코스(화랑대역~깔딱고개, 7.7km)가 이 고개에서 서울둘레길5코스(깔딱고개~광나루역, 4.6km)로 간판을 바꾼다. 2. 깔딱고개 쉼터깔딱고개 쉼터..

1. 호암늘솔길 2. 호암산 잣나무산림욕장 3. 시흥동 탑골3층석탑 4. 호암산 치유의숲 5. 치유의숲 약수터 6. 호암산 호암늘솔길 7. 호암산 잣나무산림욕장 8. 호암산 호암늘솔길 9. 호암산폭포 이후 서울둘레길5코스 10. 호암산 신선길 약수터 11. 호암산 신선길 돌탑 12. 호암산 신선길 (서울둘레길5코스) 13. 호암산 신선길에서 시흥계곡으로 내려가는 길 14. 시흥계곡 15. 생태연못처럼 꾸며진 시흥계곡 16. 시흥계곡 하류 산책로 17. 시흥계곡 장승 18. 시흥동 탑골 향나무 19. 시흥동 탑골3층석탑

1. 낙성대 서쪽 서울둘레길5코스 (서울시 관악복합평생교육센터 남쪽) 서울둘레길5코스(관악산, 호암산코스)는 사당역에서 관악산 북쪽 자락, 삼성산 북쪽 자락, 호암산 자 락을 구비구비 돌아 석수역까지 이어지는 13.5km에 도보길이다. 구간 대부분이 산길로 관음사와 무 당골, 낙성대, 삼성산성지, 호압사, 호암산 잣나무산림욕장 등의 명소를 지나간다. 낙성대에 이른 서울둘레길5코스는 낙성대로를 건너 서울시 관악복합평생교육센터 남쪽에서 다시 산 길로 들어서 서남쪽으로 이어지는데, 고개를 하나 넘으면 바로 서울대이다. 2. 무성한 숲을 지나는 서울둘레길5코스 낙성대~서울대 구간 3. 연두연두 익어가는 숲 (서울둘레길5코스 낙성대~서울대 구간) 4. 잔디가 입혀진 너른 공간 (서울둘레길5코스 낙성대~서울대 구간..

1. 호암산(393m) 2. 성주암 대웅전 3. 호암산 북쪽 능선길 4. 삼성산과 관악산으로 인도하는 숲길 (신림로) 5. 관악산호수공원 석구상 6. 관악산호수공원의 중심인 호수 7. 관악산호수공원 자하정 8. 자하정과 호수 9. 호수를 순찰하는 오리 10. 삼성산 성주암 표석 11. 삼성산 성주암 대웅전 12. 성주암 대방 13. 성주암 11면관세음보살상 14. 성주암 대웅전 내부 15. 성주암에서 바라본 관악산의 위엄 16. 대웅전 뒤쪽 바위에 깃든 칠성탱과 산신탱, 약사여래상 17. 성주암 석조칠성탱 18. 석조산신탱과 석조약사여래좌상 19. 성주암5층석탑과 마니차 20. 티벳 글자가 새겨진 마니차 21. 성주암에서 호암산으로 이어지는 산길 22. 돌산 북쪽 산길 23. 서울둘레길5코스 약수사 윗쪽..
' 낙성대, 관악 강감찬축제, 서울둘레길5코스 늦가을 나들이 ' ▲ 낙성대 안국사 ▲ 낙성대3층석탑 ▲ 관악산 무당골 늦가을이 익어가는 매년 10월 중/하순에는 강감찬 장군의 유적인 낙성대에서 '관악 강참 찬축제'가 열린다. 관악구(冠岳區) 제일의 축제로 등극한 그의 명성을 나의 침침한 망막 으로 직접 확인하고자 축제 마지막 날인 일요일에 그곳을 찾았다. 내가 살고 있는 도봉동(道峰洞)에서 낙성대까지는 비록 같은 서울 하늘 밑이라고 하여도 완전 북쪽 끝에서 남쪽 끝이라 아무리 빠른 지하철로 가도 1시간 이상은 걸린다. 낙성대 역(2호선)에서 답답한 땅굴을 벗어나 낙성대로 가다가 문득 생각나는 곳이 있어 길을 동 쪽으로 조금 틀어 낙성대동 주택가로 들어섰다. 밀림 같은 주택가 한복판에 옛 낙성대터 (강감찬..

1. 강감찬 장군의 영정이 봉안된 낙성대 안국사 2. 13세기에 세워진 낙성대3층석탑 3. 관악산 무당골 (서울둘레길5코스) 4. 솔내음이 가득한 낙성대 옛터 (강감찬생가터) 5. 강감찬생가터 낙성대유허비 6. 강감찬 향나무 7. 낙성대공원에서 열린 관악 강감찬축제의 현장 8. 낙성대 안국사로 인도하는 숲길 9. 강감찬전시관 10. 강감찬이 지은 오언절구 양식의 시(왼쪽)와 강감찬의 일대기를 다룬 강감찬전 11. 낙성대 안국사 안국문 12. 낙성대 표석 13. 강감찬장군 사적비 14. 낙성대3층석탑 15. 낙성대3층석탑 1층 탑신에 깃든 '강감찬 낙성대' 6자 16. 낙성대 은행나무 17. 낙성대 안국사 18. 낙성대 안국사에 봉안된 강감찬 장군의 영정 19. 안국사에 들어있는 귀주대첩도 20. 거란군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