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1950년대 불교 정화운동과 조계종 출범 (한국근대불교문화기념관 내부) 2. 불교 소송 서류 (1950년대 불교 정화운동) 대처승과의 법정 싸움에서 필요한 이승만 대통령의 유시(1~8차)와 불교 정화 관련 각종 자료를 모은 서류이다. 3. 불교사건 서증 사본(왼쪽)과 1956년에 작성된 총무원 일지, 한국불교승단 정화사(오른쪽) 4. 선학원 2층 법당 2층 규모를 지닌 안국동 선학원은 재단법인 선학원의 중심 건물로 1층은 한국근대불교문화기념관으 로 2층은 법당으로 쓰인다. 바로 2층 법당에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늙은 신중도(신중탱)가 있다. 5. 선학원 신중도 신중도는 위태천 등 호법신의 무리를 빼곡히 담은 탱화로 주로 법당이나 그에 준하는 중요한 건물에 봉안한다. 이 신중도는 선학원에서 가장 늙은 ..

1. 대한독립선언서 하와이 대한인국민회에서 발행한 것으로 3.1독립선언서와 대한민국 임시헌장 선포문, 임시헌장 10개 조, 대한민국 임시정부 선서문, 6개 정강이 담겨져 있다. 2. 선학원 현판과 만해 한용운 동상 해강 김규진(1868~1933)이 1922년에 쓴 선학원 현판이 높이 걸려있다. 그는 옛 선학원 건물에 걸려 있던 것으로 그 앞에 선학원의 중심 인물인 만해 한용운의 동상이 의연한 모습으로 자리한다. (선학원 현판 왼쪽에 '중앙선원' 현판이 있고, 오른쪽에는 '선불장' 편액이 걸려있음) 3. 불청운동 7, 8호(왼쪽 아래)와 회광 제2호(왼쪽 위), 왜정 종로경찰서가 경성지방법원 검사에게 보 낸 신간회 동정 보고서(오른쪽 위) 4. 신간회 동정보고서(윗쪽)와 만해 한용운의 피체자 기록표(아래쪽..

1. 안국동 선학원 한국근대불교문화기념관 (경허집과 만해 한용운 선생 약연보) 북촌의 한복판인 안국동 윤보선길에 재단법인 선학원의 중심지인 선학원 한국근대불교문화기념관이 자리해 있다. 1층은 선학원의 역사과 관련 유물을 머금은 한국근대불교문화기념관으로, 2층은 선학원 법당으로 쓰이고 있는데, 북촌이 나의 오랜 즐겨찾기 명소임에도 선학원은 이번에 비로소 첫 인연을 지었다. 그동안 선학원은 그저 현대 사찰로만 알고 있어서 큰 관심을 주지 않았는데, 그곳에 지방문화 재로 지정된 늙은 신중탱이 있다는 풍문을 듣고 그를 보고자 찾은 것이다. (신중탱은 2층 법당에 있음) 선학원은 고약했던 왜정 시절 친일성향의 사판계에 조직적으로 대응하고 민족불교 수호 및 독립운동 을 위해 부산 범어사의 경성포교당 포교사 남전, ..

1. 삼청동 칠보사 북악산(백악산) 그늘에 고즈넉하게 자리한 삼청동 주택가 북쪽 끝부분에 칠보사란 작은 현대 사찰이 숨 겨져 있다. 이곳은 재단법인 선학원 소속의 절로 삼청공원 종점(종로구 마을버스 11번 종점) 서쪽이자 뮤지엄한미 삼청본관 북쪽이며, 삼청동거리의 북쪽 끝이다. 내가 이곳을 찾은 것은 여기에 국가 보물로 지정된 늙은 불상을 보고자 함이다. 삼청동 골목(삼청로9길) 안쪽에 자리한 칠보사는 팔작지붕을 지닌 큰법당과 팔작지붕 요사, 범종각 등 건물 3~4동이 전부인 조촐한 절이다. 만해 한용운의 상좌인 춘성이 1932년에 창건해 삼각사라 했다고 하는데, 그는 1939년 광주군 성부산에 봉국사(현재 성남시 봉국사)를 세우면서 삼각사를 그곳에 통합시켰다고 한다. 하지만 봉국사는 조선 중 기부터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