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응봉산 정상 주변에서 바라본 천하 (남쪽 방향) 개나리의 노란 물결 너머로 중랑천과 한강, 서울숲, 강남구, 대모산, 그리고 차량들로 늘 버벅거리는 용비교와 두모교, 강변북로가 두 망막에 들어온다. 응봉산은 개나리 명소로도 무지하게 유명하지만 도심과 한강 조망, 야경 조망 명소로도 크게 두각을 보이고 있다. 2. 응봉산 정상 주변에서 바라본 천하 (서쪽 방향) 한강과 중랑천, 두모교, 강변북로, 동호대교, 한남대교, 옥수동, 금호동, 강남구, 서초구, 우면산, 관악 산, 동작구 지역이 시야에 들어온다. 3. 응봉산 서쪽 능선길 (서쪽 방향) 4. 응봉산 정상에서 바라본 중랑천과 한강, 서울숲, 성수동, 강남구 지역 5. 응봉산 정상, 응봉산정 응봉산 정상(해발 95m)에 있는 응봉산정은 8각형 2층..

1. 응봉산 정상, 응봉산정 서울의 대표 개나리동산인 응봉산 정상(해발 94m, 또는 95m)에 팔각형 2층 정자인 응봉산정이 높 이 자리해 천하를 굽어본다. 이곳은 도심 개나리 명소와 한강 조망, 도심 야경 명소로 고루고루 명성 이 자자한데, 특히 개나리가 온 산을 뒤덮는 3월 말~4월 초가 이곳의 극성수기이다. 2. 응봉산 정상에서 바라본 동쪽 방향 바로 밑에 응봉동 지역을 비롯하여 중랑천과 성수동, 화양동, 광진구 지역, 멀리 아차산~용마산 산줄 기까지 시야에 들어온다. 3. 응봉산 정상에서 바라본 응봉산 서쪽 능선과 금호동, 옥수동, 한남동 지역 4. 개나리나무로 가득한 응봉산 서쪽 능선 개나리는 거의 사라지고 겨우 일부만 살아남아 그들의 막바지 향연을 이어간다. 개나리 전성기에 맞 춰서 성동구는..

1. 용비교에서 응봉산 능선으로 이어지는 나무데크 계단길 (용비교 방향) 응봉산 능선으로 올라가는 계단길 주변으로 개나리나무와 벚꽃이 가득해 봄 기운을 크게 돋군다. 응 봉산은 서울에서 아주 유명한 개나리동산으로 개나리 필 무렵이 되면 응봉산 개나리축제가 성황리에 열린다. 허나 개나리는 벚꽃처럼 금방 지기 때문에 시기를 잘 맞춰 가야 노란 개나리의 향연을 제대 로 누릴 수 있다. 2. 응봉산 서쪽 능선에서 바라본 중랑천 하류와 서울숲, 성수대교, 그리고 한강 3. 응봉산 정상으로 인도하는 서쪽 능선길 응봉산 능선길 좌우로 개나리나무들이 가득 우거져 있다. 응봉산은 원래부터 개나리동산은 아니었고 평범한 무명급의 동네 뒷산이었는데, 1990년대 이후 산이 허약해져 모래흙이 자꾸 흘러내리자 그 대 책으로 20..

1. 늦가을이 진하게 깃든 매봉산 숲길 2. 버티고개역(6호선)에서 매봉산, 서울숲남산길로 인도하는 산길 3. 매봉산 서쪽 능선길 4. 매봉산 유아동네쉼터 숲길 5. 매봉산 서쪽 자락 오솔길 6. 매봉산 서쪽 자락에서 바라본 관악산과 삼성산 6-1. 매봉산 서쪽 자락에서 만난 돌탑 7. 매봉산 서쪽 자락 숲길 8. 매봉산 서쪽 자락에서 만난 큰 바위 9. 매봉산 서쪽 자락 숲길 10. 단풍 숲에 묻힌 매봉산 정상 서쪽 밑 11. 매봉산 정상부, 응봉산정 12. 매봉산 정상에서 바라본 천하 (성동구, 광진구, 한강,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등) 13. 매봉산 정상에서 바라본 천하 (옥수동, 한강,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등) 14. 매봉산 정상에서 바라본 천하 (강남구, 서초구, 동작구, 우면산, 관악..
' 서울 개나리의 성지, 응봉산 봄나들이 (살곶이다리) ' ▲ 봄티가 물씬 풍기는 응봉산 ▲ 응봉산 꼭대기 응봉산정 ▲ 살곶이다리 겨울 제국이 저물고 봄이 무럭무럭 익어가던 4월의 첫 무렵, 일행들과 성동구 한복판에 자리한 응봉산(鷹峯山)을 찾았다. 서울숲을 먼저 둘러보고 중랑천에 걸린 용비교를 통해 그날의 주인공이나 다름 없는 응 봉산의 품으로 들어섰는데, 응봉산은 응봉역(경의중앙선)이나 금호동 독서당로, 용비교 에서 접근하면 편하다. ▲ 용비교 동측에서 바라본 응봉산의 위엄 (그 밑에 경의중앙선과 중랑천이 있음) ♠ 응봉산 둘러보기 ▲ 용비교에서 바라본 중랑천(中浪川)과 응봉교 용비교 밑을 흐르는 중랑천은 경기도 동두천과 양주, 의정부, 서울 동북부 지역의 물을 모두 모아 한강으로 보내는 긴 하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