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봉황대 돌탑 (봉황루 주변) 일붕사 서쪽에는 봉황대라 불리는 멋드러진 바위 벼랑이 펼쳐져 있다. 옛날에 봉황이 날면서 울었 다고 하여 봉황대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는데, 기암괴석의 생겨 먹은 모습이 가히 장관이라 금강산 의 축소판이라 칭송을 받았다. 지역 선비들이 자주 찾던 명소로 왜정 초기에 의령 궁류면 3대 면장이었던 전형식(면장 재임시기 1916~1931)이 봉황대 중턱에 봉황루를 지었다. 여기서 지역 선비들이 자주 시화 모임을 가졌는데, 이후 여러 번 보수와 개량을 거쳤다가 2017년 4월 세월의 짧은 무게를 극복하지 못하고 폭삭 무너 지고 만다. 그래서 2018년 8월 의령군과 궁류면봉황대운동장유지관리위원회가 중수하여 지금에 이른다. 봉황루 앞에는 주름진 바위가 반석처럼 펼쳐져 있고, 그 끝..

1. 일붕사 용왕당과 약사전, 산령각 아랫쪽 맞배지붕 건물이 용왕과 약수터를 품은 용왕당, 그 바로 위가 약사여래의 공간인 약사전, 그 리고 윗쪽 벼랑 밑에 있는 1칸짜리 건물이 산신의 공간인 산령각이다. 2. 금동 피부를 지닌 석가여래상 일붕사는 크게 동굴법당이 있는 경내 중심부와 남쪽 산자락에 있는 서담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담 암은 일붕사의 부속 암자임) 일붕사에서 서담암으로 가려면 가파른 남쪽 산길을 7~8분 정도 올라가 야 되는데, 그 길목에 지붕에 자리를 닦은 금동석가여래상이 자리해 길을 인도한다. 3. 8각형 모양의 일붕사 관음전 4. 관음전에 깃든 관세음보살상의 황금 물결 금동 피부의 11면 관세음보살상을 중심으로 조그만 금동관세음보살상이 빼곡히 자리하여 가히 장관 을 이룬다. 5. 서..

1. 의령 일붕사의 자랑이자 대표 꿀단지, 대웅전(제1동굴법당) 일붕사는 천하 최대의 동굴법당으로 명성이 높은 현대 사찰로 커다란 동굴법당을 2개나 지니고 있 다. 제1동굴법당인 대웅전은 이곳의 대표 명소로 법당 내부 면적이 1,260평방미터(약 380평)에 이 르는데, 이곳이 천하에서 가장 큰 동굴법당으로 세계 기네스북에 등재되어 있다. 대웅전 문을 들어서 신발을 벗고 내부로 들어서면 되는데, 불단에 비로자나불과 노사나불, 석가여래 를 중심으로 좌우로 8대 보살이 봉안되어 있다. 동굴로 이루어진 법당 내부는 높이도 꽤 높고 공간도 넓어서 시원시원하며, 예불 수요가 상당해 사람들로 늘 북새통을 이룬다. 2. 제1동굴법당, 대웅전의 중심 존재들 지권인을 취한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석가여래와 노사나불이 좌우..

1. 의령 유곡천 (운계리 궁류시장~일붕사 구간) 유곡천은 벽계리 한우산(835m)에서 발원하여 벽계계곡, 벽계저수지, 일붕사, 궁류면, 유곡면을 거 쳐 신반천으로 흘러가는 25.8km의 하천이다. 의령군 관내에서만 흐르는 하천으로 신반천을 통해 낙동강으로 빠지며, 유곡천 주변은 숲이 무성하고 멋드러진 기암절벽이 많다. 2. 유유히 흘러가는 유곡천 (상류 일붕사 방향) 3. 봉황산 일붕사 일주문 봉황산(선암산, 528m) 북쪽 자락이자 유곡천 남쪽에 천하 최대의 동굴법당으로 유명한 일붕사가 포 근히 둥지를 틀고 있다. 일붕사를 품은 봉황산은 신라 29대 군주인 무열왕이 군사를 지휘했던 첫 요 새지로 신라 최고의 군부대를 봉황대라 불렀는데, 거기서 산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전한다. 신라 성덕왕(702~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