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부안 죽막동유적 수성당적벽강 해안 언덕 정상에는 수성당과 죽막동 유적이 깃들여져 있다. 이곳은 변산반도 서쪽 끝으로 서해바다를 향해 크게 기지개를 켜고 있는데, 1992년 발굴조사를 벌여 2~3세기에서 7세기 사이에 사용된 것으로 여겨지는 제사용 토기와 금속 유물, 도자기 등을 건졌다.아주 먼 옛날(삼국시대) 적벽강 해안 정상에서 제사를 지냈는데, 제사가 끝나면 제기와 기증 받은 물품을 땅에 묻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곳에서 열린 제사의식에는 바다 건너의 여러 나라 사람들도 참여해 예물과 제물을 바친 것으로 여겨진다. 하여 이곳이 그 시절 서해바다의 성지 같은 곳이거나 무역항 주변으로 파악된다.이 지역에는 어부들의 안전을 지켜주고 물고기가 많이 잡히도록 도와주는 개양할머니의 전설이 전해오고 있으며..

1. 부안 적벽강 해변 (적벽강 북쪽 해변)격포리 북쪽에는 적벽강이라 불리는 기묘한 모습의 벼랑 해변이 있다. 이곳은 격포해수욕장 남쪽에 있는 채석강처럼 중생대 백악기 시절에 만들어졌다고 하는데, 호수 퇴적물 위로 화산이 분출해 용암이 흐르면서 빚어졌다고 한다.적벽강은 해안 벼랑이 붉은 피부를 띄고 있어서 붙여진 것으로 페퍼라이트, 주상절리, 단층, 돌개구멍 등 다양한 지질구조를 지니고 있다. 또한 적벽강 해안 언덕 정상부에는 수성당이란 늙은 마을 제당 유적이 있으며, 그 주위로 유채꽃밭도 닦여져 있는 등, 볼거리도 넉넉하다. 또한 변산마실길3코스(성천항~격포항, 7km)와 서해랑길47코스(변산해변 정류장~격포항, 14.3km)가 이곳을 지나간다. 2. 서해바다의 거친 파도를 즐기는 반석형 해변과 바위섬..

1.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군락적벽강 해변과 수성당에서 격포해변으로 넘어가는 길목에 후박나무 군락지가 있다. 이곳은 적벽강에서 동남쪽으로 200m 정도 떨어진 해안 절벽으로 후박나무들이 무리를 지어 녹색빛을 드러내고 있는데, 변산마실길3코스(성천항~격포항, 7km)와 서해랑길47코스가 이곳을 지나간다.후박나무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남부지방 섬과 해안지역에서 주로 뿌리를 내리고 있다. 가지는 둥글고 털이 없으며, 잎은 긴 타원형이다. 꽃은 5~6월 사이에 황록색으로 피며, 열매는 이듬해 7월에 익는다. 남부지방에서 흔한 후박나무이지만 이곳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큰 이유는 여기가 후박나무 북방 한계선이다. 즉 이 땅의 후박나무 중에서 가장 북쪽이다. 2. 푸르게 익은 후박나무들후박..

1. 변산마실길3코스(적벽강노을길) 마포리 구간변산마실길3코스는 성천항에서 격포항으로 이어지는 7km의 도보길이다. 서해랑길47코스(격포항~변산해변 정류장, 14.3km)와 길을 공유하는데, 하섬전망대와 마포리 구간은 해안 언덕길과 벼랑길, 그리고 변산해변로를 고루고루 거쳐서 간다. 2. 대나무 숲길을 지나는 변산마실길3코스 3. 한겨울 속을 지나는 변산마실길3코스 4. 서해바다 너머로 보이는 하섬 (진여 입구)하섬과 이곳 사이에는 '진여'라는 곳이 있다. 진여는 썰물 때만 잠깐씩 모습을 드러내는 갯벌로 멋모르고 들어갔다가 고립 또는 바다에 꼬르륵 잠겨 사망한 사람들이 많았다. 그래서 부안군과 부안해경은 진여를 통제구역으로 삼아 사람들의 접근을 막는다. 만약 통제 지시를 어기고 들어갈 경우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