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정독도서관 본관 (구 경기고등학교)북촌한옥마을의 한복판인 화동에는 서울 사람들의 오랜 지식 쉼터인 정독도서관이 있다. 화동은 화개동(花開洞)의 줄임말로 조선 때 과일과 화초를 관장하고 궁궐에 조달하던 장원서(掌苑署)란 관청이 있었다.정독도서관은 우리나라 최초의 중등교육기관인 경기고등학교가 있던 곳으로 1900년 10월 고종의 칙령으로 개교한 관립중학교에서 그 역사가 시작된다.이곳에는 갑신정변(1884년)을 일으켰다가 떨려난 김옥균과 서재필의 집이 있었으나 갑신정변 이후, 나라에서 싹 몰수했으며, 1900년 관립중학교 부지에 포함되면서 집은 사라졌다. 개교 때 지은 건물의 정면 삼각지붕 벽면에 태극기를 교차하여 그린 것으로 유명했으며 헐버트(Homer B. Hulbert. 1863~1949)가 잠시..

1. 동그랗게 누워있는 종친부터 우물국립현대미술관 서울(서울관) 자리에는 조선 왕실 관청인 종친부가 있었다. 종친부는 제왕의 어보와 영정을 보관하고, 제왕 내외의 의복을 관리하며, 왕족들의 관혼상제와 봉작, 벼슬 등의 인사문제, 기타 그들과 관련된 업무를 보던 관청이다. 처음에는 제군부라 했으나 1433년에 종친부로 이름을 갈았으며, 1864년에는 종부시와 합쳐졌고. 1894년 종정부로 개편되었다. 1907년 순종의 칙령으로 황실과 국가의 주요 문서를 보관하던 규장각으로 쓰였으며, 왜정은 이곳에 있던 서적들을 경성제국대학(서울대)으로 모두 옮겼다. 그리고 천한전(天漢殿), 아재당(我在堂)등 종친부에 딸린 건물 상당수를 부셔버리고 종친부의 중심 건물인 경근당과 옥첩당, 이승당(貳丞堂)만 남겨 망국 황실을 ..

1. 소격동 비술나무 2. 천도교 중앙대교당 3. 종친부 경근당 4. 천도교 중앙대교당 5. 천도교 중앙대교당 내부 6. 늦가을에 잠긴 천도교 중앙대교당 뜨락 은행나무 7. 관상감 관천대 8. 경우궁터 9. 계동궁터 10. 정독도서관 (구 경기고등학교) 11. 정독도서관 산책로 12. 화기도감터 13. 성삼문 집터 14. 중등교육발상지 15. 김옥균집터 16. 정독도서관 회화나무 17. 정독도서관에 있는 늙은 우물 19. 정독도서관 우물 피부에 새겨진 24자의 또렷한 글씨 20. 취운정터 21. 백록정터 22.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23. 경근당 옆 옥첩당 24. 종친부 이승당터 25. 종친부터 소나무 26. 종친부터 우물 27. 소격동 비술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