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인왕산둘레길 탕춘대성능선에서 바라본 부암동과 평창동, 북악산(백악산), 형제봉능선서울 도심 속의 전원마을인 부암동과 평창동, 홍지동 지역과 백사실계곡(백석동천, 백사골)을 품은 북악산(백악산) 북쪽 자락이 상큼하게 시야에 들어온다. 2. 인왕산둘레길 탕춘대성능선에서 바라본 홍은동과 내부순환로, 홍제동 지역인왕산과 북악산(백악산)의 북쪽 품을 파고드는 내부순환로는 차량들로 늘 버벅거린다. 하여 차량들이 내는 소음이 여기까지 솟구쳐 산을 타는 나그네의 두 귀를 멍멍하게 만든다. 3. 인왕산 탕춘대성능선 바위길 (인왕산둘레길)바위 밑은 그야말로 천길낭떠러지라 조심해야 된다. 탕춘대성이 이곳을 지나가지만 워낙 천험 수준이라 바위 윗도리에는 거의 성벽을 쌓지 않았다. 4. 고된 세월에 완전히 초췌해진 인왕산..

1. 인왕산둘레길 서울미술관 뒷쪽 구간인왕산둘레길은 인왕산 허리에 둘러진 8.4km의 순환형 둘레길이다. 초기 인왕산둘레길은 윤동주문학관~황학정 구간이었으나 점차 구간을 늘려나가 지금에 이른 것으로 기존 인왕산둘레길과 여러 산길을 잇고, 길이 없는 곳에는 새롭게 길을 닦았다.이번 인왕산둘레길 나들이는 부암동주민센터에서 시작하여 서울미술관 뒤쪽, 인왕산 탕춘대성능선을 거쳐 홍제동까지 이동했다. 2. 늦가을 단풍 속을 거니는 인왕산둘레길 (서울미술관 뒤쪽 구간) 3. 철책 옆을 지나는 인왕산둘레길철책 안쪽은 석파정을 소유하고 있는 서울미술관 땅이다. 그래서 철책을 꽁꽁 둘러 미술관 영역과 자유 공간과의 경계를 긋는다. (석파정을 구경하려면 서울미술관을 꼭 거쳐야 되며, 미술관 입장료를 무조건 치뤄야됨, 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