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서빙고동 부군당 반포대교 북단 서쪽인 서빙고동 주택가 속에 부군당이란 늙은 기와집 사당이 있다. 이곳은 서빙고 사람들이 마을 안녕과 수호를 위해 세운 제당으로 15세기 말~16세기 초에 지어졌는데, 처음에는 이곳 서쪽인 용산 미군 부대 자리에 있었다. 1910년대 초에 왜정이 그 자리에 훈련장을 만들면서 지금 자리로 강제로 옮겨졌으며, 1635년에 사당을 고쳐지은 내용을 머금은 기문과 1927년 중수기까지 잘 남아있어 이곳 부군당의 오랜 내력 을 알려준다. 부군당은 서울 지역에 많이 나타나는 마을 제당으로 제사를 지내는 제당과 제사를 준비하는 제물 청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깥에는 기와담장을 두르고 남쪽애 맞배지붕 대문을 두었는데, 제당은 1 칸짜리 맞배지붕 집으로 작은 크기이며, 내부에는 부군당의 ..
' 도봉산 봄나들이 (천축사, 마당바위, 포대능선) ' ▲ 도봉산 마당바위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 스마트폰으로 보실 경우 꼭 PC버전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가급적 컴퓨터 모니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를 권함) 봄이 막바지 전성기를 누리던 5월 첫 무렵에 이웃 동네 방학동(放鶴洞)에 사는 후배와 우 리 동네 뒷산이자 서울 북쪽 지붕인 도봉산(道峯山, 740m)을 찾았다. 도봉산은 집에서도 잘 보이는 꽤나 가까운 존재임에도 북한산에 오랫동안 마음이 기울면서 많이도 소홀했던 곳이다. 하여 도봉산에 안긴 천축사와 미답지 여러 곳을 지울 겸, 도봉산의 섭섭한 마음도 풀어줄 겸해서 간만에 그의 품을 찾았다. 햇님이 하늘 높이 걸린 13시에 집을 나서 서울시내버스 142번(도봉산↔방배동)을 타고 불 과 네 정거장 거..
' 도봉산 회룡사, 회룡골 나들이 ' ▲ 회룡사 동자상 ▲ 회룡사 극락보전 ▲ 석굴암 석굴 봄이 한참 절정을 이루던 5월 첫 무렵에 20년 이상 숙성된 오랜 친구와 도봉산 회룡사를 찾았 다. 집(도봉동)에서 의정부로 가는 서울시내버스 106번(의정부 가능동↔종로5가)을 타고 북쪽으로 15분 정도를 달려 회룡역에서 두 발을 내린다. 우선 회룡역 인근 편의점에서 조촐하게 삼각김 밥, 음료수를 사들고 아파트단지를 지나 도봉산의 품으로 들어섰다. 회룡역 서쪽 동네는 20년 전까지만 해도 거의 시골이나 다름 없었는데, 이제는 인구 40만을 지닌 의정부(議政府)시내의 일부가 되어 건물과 주택, 아파트가 즐비하다. 호원동 주거지를 어느 정도 지나면 도봉산의 일품 계곡으로 꼽히는 회룡골(회룡사 계곡)이 모 습을 드러내..
* 보도각 백불(옥천암 마애좌상)을 든든한 밥줄로 삼은 홍은동 옥천암 옥천암의 창건시기는 전해오는 것은 없으나 1868년에 명성황후의 명으로 승려 정관이 관음전을 세워 천일 기도를 올렸다는 기록이 있다. 1927년 칠성각과 관음전을 짓고, 1932년에 큰방 6칸과 요사 3칸을 고쳤으며, 이후 계속 불사를 벌여 지금의 모습을 이루게 되었다. 옥천암은 관음도량을 칭하고 있으며, 홍제천변에 자리해 있고 절 뒤에 북한산이 있다. * 4월 초파일을 맞이하여 외출을 나온 옥천암 괘불 * 옥천암의 든든한 밥줄, 옥천암 마애좌상 (보도각 백불) 고려 때 조성된 거대한 마애불로 조선 후기에 호분을 입혀 하얀 불상(백불)이 되었다. 영험하기로 명성이 자자하여 태조 이성계와 흥선대원군의 부인인 부대부인민씨가 기도를 올렸다...
' 호남의 오랜 중심지 ~ 전주 나들이 (전주한옥마을 명소들) '▲ 한벽청연의 현장, 전주 한벽당(寒碧堂)큰바람이 일고 구름은 높이 날아가네위풍을 해내(海內)에 떨치며 고향에 돌아왔네.내 어찌 용맹한 인재를 얻어 사방을 지키지 않을소냐 * 한나라를 세운 유방(劉邦)이 항우(項羽)를 정벌하고 고향인 패(沛)로 돌아와 승전 연회 에서 즉흥으로 지어 부른 대풍가(大風歌), 태조 이성계가 전주 오목대 연회에서저 시를 읊었다.천길 높은 산에 비낀 돌길을 홀로 다다르니 가슴에는 시름이여청산에 깊이 잠겨 맹세턴 부여국(夫餘國)은누른 잎 휘휘 날려 백제성(百濟城)에 쌓였네9월 바람은 높아 나그네 시름 깊고 백년의 호탕한 기상, 서생은 그르쳤네하늘의 해는 기울고 뜬구름 마주치는데하염없이 고개 돌려 옥경(玉京, 개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