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향로산(향로봉)의 백미, 향로봉 정상에서 바라본 서쪽 방향 향로봉에서 가장 갑 풍경으로 추앙을 받는 현장이다. 산 밑으로 금강과 함께 내도리(앞섬 마을, 전도마을) 지역이 펼쳐져 있는데, 금강이 내도리 지역을 크게 감싸며 흘러가는 이른 바 물돌이 지형이다. 이렇게 크게 도는 물줄기를 어려운 말로 감입곡류라 하는데, 안동 하 회마을과 예천 회룡포가 대표적으로 거의 섬과 비슷한 모습이라 '도(島)'자를 붙이는 경우 가 많았다. (1388년에 이성계가 일으킨 위화도회군의 위화도는 단동 북쪽에 3면이 강에 접한 곳임, 절대로 압록강에 있는 섬이 아님) 금강이 내도리를 거의 350도 감싸며 흐르며, 서쪽 부리면 방향으로만 산줄기가 가늘게 이 어져 있는데, 그 부분만 파버리면 이곳은 완전 섬이 되버린다. 곡류..

1. 무주 향로산(향로봉) 북쪽 능선길 향로산(향로봉)은 해발 421.5m(또는 420m)의 뫼로 무주읍의 북쪽 지붕이다. 산의 모습이 마치 향로처럼 생겨서 향로봉, 향로산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는데, 노산, 상무산 등의 별 칭도 가지고 있다. 산 서쪽과 서북쪽에는 금강이 흐르고 있는데, 금강과 맞닿은 쪽은 경사가 급하며, 산 정상 에는 기우단이 있었고, 남쪽 봉우리(봉수정이 있는 봉우리)에는 봉수대가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 산에 안긴 명소로는 북고사와 칠암소가 있으며, 북쪽 자락에는 향로산자연휴양림이 넓게 자리하고 있다. 그리고 금강 너머로 예천 회룡포나 안동의 하회마을 비슷한 지형이 펼쳐져 있는데, 금강이 크게 굽이치는 곳으로 거의 350도가 금강에 접해있고, 서쪽에 아주 살짝 부리면으로 이어지는 산..

1. 북고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북고사 극락전의 주인장인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1657년에 조성된 조선 중기 불상이다. 그의 뱃속에서 나온 1736년 발원문과 1928년 중수 발원문에 의하면 1657년 4월에 만들기 시작해 5월에 완성을 보았으며, 처음에는 덕유산 운수암 극락전에 봉안했다가 1736년 경 월사(현 북고사)로 가져왔다. 그리고 그해 3월 21일 중수 개금을 위해 잠시 적상산 안국사 보월전으로 옮겨져 손질을 받 다가 경월사로 돌아왔고, 1928년 다시 개금을 받았다. 보통 아미타불은 좌우로 협시보살상을 두어 아미타3존상이나 아미타3존불을 이루기 마련 이나 이곳 아미타불은 원래부터 홀로 있던 것으로 보이며, 전라도에서 주로 활동했던 숭일 을 수화사로 하여 처영, 도잡 등이 조성했다. 목조 대좌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