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운동의 영원한 성지 ~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유적(殉國遺蹟) 사적 299호
![](http://1.bp.blogspot.com/-La5Oyr20v_k/T1OtjstI5vI/AAAAAAAAAtw/0tJPHLJZ_fw/s1600/DSCN7332.jpg) ▲ 제암리 사건 현장에 세워진 3.1운동 순국기념탑 |
◆ 1919년 3.1운동의 시작 화성시 서남쪽 발안(향남)에 자리한 제암리는 3.1운동의 굵직한 성지의 하나이다. 그렇다고 서 울 탑골공원이나 천안 아우내(병천)처럼 독립만세를 외친 현장은 아니다. 왜정(倭政)이 격렬했 던 화성 지역 만세운동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잔악한 학살의 현장으로 이곳의 사연을 접 한 이 땅의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누구든 주먹이 부르르 떨리고, 치가 떨리는 강인한 복수감을 느끼게 될 것이다. 만약 3.1절 같은 날에 이곳을 찾은 왜인(倭人)이 있었다면 제암리 현장을 보고 격분한 이 땅의 사람들에게 제대로 밟혀 묵사발이 되거나 잘 다져진 고깃덩어리가 되어 해외로 반출되었을지도 모른다. 그때 내 심정도 당장 왜인 하나 아작내고 싶은 마음이었으니 말이다. 그만큼 이곳은 우 리에게는 통한과 오욕의 현장이다. 그리고 제3자인 외국 사람들도 캄보디아의 킬링필드(Killing Field)처럼 어찌 사람이 이럴 수 있냐며 놀라 넘어질 정도이니 잔인함의 종결지라 할 만 하다.
1910년 8월 동아시아의 오랜 약소국이자 태생부터 비리비리했던 조선이 왜국에 의해 강제로 막 을 고하면서 고난의 왜정(倭政) 시대가 시작되었다. 왜열도는 그 옛날 천하 최대의 해양대국을 일구었던 백제(百濟)와 철로 먹고 살던 가야(伽倻)의 지배를 받던 그들의 별채로 백제가 망한 이후 한반도와 분리되어 독자적인 공간으로 살아왔다. 그들은 다른 나라와 지역을 통치한 경험이 없어 초기에는 강경책이 중심이 된 무단통치(武斷統 治)로 이 땅을 다스렸다. 그래도 하나의 나라가 되었으면 조선 사람도 본토 백성처럼 잘 보살펴 주고 평등하게 대해주어야 마땅하건만 오랫동안 조선에 대한 컴플렉스가 강했고 자국 백성에게 도 제대로 된 선정(善政)을 펼친 적이 없으며, 눈에 거슬리면 무조건 칼질만 일삼는 무식한 개 념의 사무라이의 세상이라 그럴 그릇이 되질 못했다. 왜인 우선의 차별정책을 펼치고 가혹한 수 탈은 물론 토지까지 편법으로 막대하게 뜯어갔으며, 조선에 정착한 왜인들도 꼴에 지배층이라고 횡포와 오만을 부려 조선인들의 원성과 울분은 전 은하계를 뒤덮었다.
그렇게 피지배층으로 살던 조선 사람들은 1918년 미국(米國) 대통령 윌슨(Woodrow Wilson)의 민 족자결주의(民族自決主意, National Self-determination)를 듣고 암흑에서 만난 등대불처럼 커 다란 희망과 용기를 가지게 되었다. 민족자결주의란 쉽게 말하면 '각 민족은 각자 알아서 해라. 어느 민족이든 다른 민족의 간섭을 받을 수 없다'는 주장이다.
민족자결주의를 전해들은 한용운(韓龍雲)과 손병희(孫秉熙) 등의 조선 지식인 및 종교지도자 33 명은 거국적인 독립만세를 계획하고 서울 인사동에 있던 태화관<太華館, 명월관(明月館) 소속의 요리집>에서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를 낭독했다. 그런 다음 2월 28일 조계사 뒤쪽에 있던 천도 교(天道敎) 소속 보성사(普成社)에서 4시간 동안 비밀리에 21,000매를 인쇄하여 전국에 뿌렸으 며, 바로 다음날 탑골공원과 종로를 중심으로 역사적인 3.1만세운동을 전개했다. 숨죽여 지내던 조선 사람들은 독립에 대한 열망과 그동안 왜정과 친일파에 쌓인 격분과 분노를 마음껏 표출하며<거기에 고종(高宗) 황제의 붕어(崩御, 제왕의 사망)도 한몫함> 너도 나도 태극 기를 쥐어들고 거리로 쏟아져 나와 독립만세를 부르니 왜정은 그야말로 발칵 뒤집혔다. 단세포 인 왜정은 회유를 할 생각은 하지 않고, 무조건 몽둥이와 칼, 총을 들고 진압에 나섰다. 이렇게 조선 민중과 왜군/왜경(倭警, 친일 조선 경찰 포함)은 이리저리 뒤엉켜 난장판이 되었고, 뚜껑 이 뒤집힌 왜군/왜경은 잔인하게 진압을 했다. 그리고 많은 이들을 마구잡이로 잡아가 고문을 하고 옥에 가두었다. |
![](https://t1.daumcdn.net/cfile/blog/195AB94F4F53A87A0F) ▲ 독립만세를 부르는 화성 사람들 (순국기념관 기록화)
|
◆ 화성 지역에서 벌어진 독립만세운동의 처절한 몸부림 화성 지역에 만세 운동이 일어난 것은 서울보다 4주가 늦은 3월 하순이다. 제암리 사람인 안정 옥(安政玉)과 안종린(安鍾麟)은 3월 10일 서울에서 독립선언서와 격문(檄文)를 입수하고 고향으 로 내려와 만세 운동을 계획하여 3월 26일 화성시 서부인 사강, 서신 지역 주민 1,000여명과 만 세 운동을 벌였다. 이때 왜경과 충돌하면서 왜인 순사부장 노꾸찌 등을 몽둥이와 돌로 죽여버렸 다.
한편 안정옥과 백낙열, 이정근 등은 발안 5일장이 서는 3월 30일에 다시 독립만세 운동을 벌이 기로 했다. 그래서 그날 정오 이정근의 '대한독립만세' 선창을 시작으로 시위를 전개했으며, 순 식간에 800명(또는 1,000명)이 호응하여 발안경찰주재소로 몰려갔다. 독립만세의 물결에 왜경은 총을 발포해 진입을 막았으며, 군중은 돌을 던져 저항을 했다. 그들이 주재소 코앞에 이르자 염통이 쫄깃해진 왜경은 칼을 휘둘러 이정근과 김경태 등 3명이 피를 흘리고 죽었다. 그 장면을 본 민중들은 더욱 성난 파도라 들이쳐 경찰주재소와 우체국, 왜 인 소학교(小學校)를 불태우고, 왜인 가옥에 돌을 던지니 왜인 43명이 목을 붙잡고 청북면 삼계 리로 줄행랑을 쳤다. 이 사건으로 많은 시위자들이 체포되어 혹독한 고문을 받았다. 또한 4월 1 일과 2일에는 개죽산 봉화를 신호로 인근 진례산, 천덕산, 당제봉, 쌍봉산, 보금산에서 봉화 시 위를 벌였다.
화성 일대의 시위가 생각 외로 격렬하게 이어지자 수원, 화성 지역 관리들은 총독부에 살려달라 고 징징거렸다. 그러자 경기도 경무부(警務部)에서 헌병과 보병 수십 명을 파견하여 4월 2일부 터 화성 지역을 돌면서 시위 주모자와 가담자를 잡아들이니 안그래도 성난 민중을 더욱 들쑤신 꼴이 되었고 그 과정에서 4월 3일 만세운동이 벌어진다.
4월 3일 장안면과 우정읍(조암) 주민 2,000명이 모여 독립만세를 부르며 장안/우정면사무소 건 물을 불지르거나 파괴하고 화수리 경찰주재소를 공격했다. 왜경이 총을 발포하면서 3명이 죽고, 2명이 부상했는데, 이에 격분한 군중은 총을 쏘던 왜인 순사 가와바다 등을 돌과 몽둥이, 농기 구로 때려죽였다.
시위대의 성난 파도에 잔뜩 발작한 왜경은 치졸한 복수전을 다짐하고 4월 4일 왜군 30명으로 만 세운동의 진원지인 화수리를 공격해 1명을 죽이고, 가옥 수십 채를 모두 불태웠다. 또한, 4월 5 일 새벽 3시에는 진원지의 하나인 수촌리를 공격해 천도교 전교실과 감리교 예배당을 비롯해 민 가 38호를 불태우고 마을 주민 8명을 다치게 했다. 이에 발끈한 민중은 그날 오전에 발안장터에 서 만세운동을 벌였으며, 왜경이 그들을 진압하고 70여 명을 잡아 고문을 했다. 그리고 4월 7일 에도 시위군중 130여 명을 잡아 고문했으며, 정순영 등 13명은 2~10년 동안 감옥에 갇혔다. |
![](http://4.bp.blogspot.com/-yxCwOS_rBek/T1OtJ9T4wWI/AAAAAAAAAsY/ptXxc7Vw1EM/s1600/DSCN7304.jpg) ▲ 제암리 사건 때 숨진 23인이 묻힌 거룩한 무덤
|
◆ 왜정의 잔인한 뒷끝 (제암리, 수촌리 사건) 4월 13일 발안 지역 치안 유지를 위해 중위 아리타도시오(有田俊夫)가 보병 79연대 왜군 11명을 데리고 발안에 내려왔다. 그는 발안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한 제암리와 이화리 주모자를 모두 죽 이기로 작정하고 바로 그날 사사까(佐板)의 안내를 받아 우정면 이화리(일월동)를 공격해 김태 경 선생과 하인을 죽이고, 그의 집을 불질렀다. 그리고 20여 명을 잡아갔다. 그리고 4월 15일, 군인 11명과 사사까, 그리고 조선인 순사보 조희창을 길잡이로 삼아 제암리를 찾았다. 사사까는 3월 30일 발안 장터 만세시위 때 군중의 공격으로 목을 붙잡고 도망친 왜인으 로 정미소를 운영하고 있었다. 군중들에게 보기 좋게 털린 것을 보니 지역 사람들에게 꽤나 진 상을 부렸던 모양이라 그는 그날의 앙갚음을 위해 길잡이를 자처했다.
제암리에 이른 왜군은 조희창과 사사까를 통해 훈시할 내용이 있다면서 40세가 넘는 마을 남자 들은 모두 교회로 모이라고 했다. 마을 사람들은 어리둥절했고, 다른 마을에서는 바로 총질하고 불지르고 하더니만 여기서는 교회로 모이라고 하니 그들의 의중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듯 싶 다. 그래도 몇몇은 의심이 들어 나오지 않자, 일일이 집을 찾아다니며 15세 이상은 모두 나오라 고 했다. 사람들이 교회 앞에 모이자 사람들의 키를 재어 총길이보다 작은 아이는 돌려보내고 큰 사람만 교회 안으로 들여보내 모두 앉게 했다. 아리타가 교단 앞에 서며 훈계를 가장한 헛소리를 좀 하더니 뜬금없이 기독교의 가르침이 무엇 인가를 물었다. 이에 안씨(안종후로 추정됨)가 일어나 '성서는 인간 상호간에 친밀하게 지낼 것 과 신을 경건하게 섬기고 받드는 것, 그리고 신은 최후의 심판을 가르치고 있다' 답을 했다.
답을 들은 아리타는 뭐라 씨부렁거리면서 교회를 나갔고, 바로 날카로운 구령을 외치자 왜군은 교회를 봉쇄하고 창문을 통해 총질을 가하면서 석유를 끼얹고 불을 질렀다. 교회에 갇힌 사람들 은 우왕좌왕하며 빠져나가려고 했으나 총에 맞아 쓰러지고, 홍순진을 비롯한 3~4명이 교회를 탈 출했으나 홍순진은 도망치다가 사살되고, 안상용으로 추정되는 인물은 집으로 피했다가 들켜서 살해되었다. 겨우 노경태만 필사의 각오로 산을 넘어 목숨을 구했을 뿐이다. 또한 바람이 세게 불면서 교회 밑에 있는 집들에 옮겨 붙었고, 위쪽 집들은 왜군이 일일이 불을 질렀다. 마을에 불이 난 것을 보고 달려온 강태성의 아내 김씨는 왜군에게 참살되었고, 홍원식 의 부인은 총을 맞고 죽었다. 이 사건이 바로 왜정의 잔악무도함을 천하에 알린 제암리 학살사 건으로 하나하나 체포하고 처리하기가 귀찮은지 교회에 몰아넣고 한꺼번에 몰살을 시킨 것이다. 그것도 모자라 울부짖는 여인들까지 죽이면서 마을 사람 태반을 학살했다. 오로지 교회에서 유 일하게 탈출한 노경태와 전동례만 살아남았으며, 마을 주민 23명이 죽고, 마을 가옥 33채가 잿 더미가 되었다. 이때 불의의 죽음을 당한 23명은 다음과 같다.
안정옥(安政玉), 안종린(安鍾麟), 안종악(安鍾樂), 안종환(安鍾煥), 안종후(安鍾厚), 안경순(安 慶淳), 안무순(安武淳), 안진순(安珍淳), 안봉순(安鳳淳), 안유순(安有淳), 안종엽(安鍾燁)·안 필순(安弼淳), 안명순(安明淳), 안관순(安官淳), 안상용(安相鎔), 조경칠(趙敬七), 홍순진(洪淳 晋), 김정헌(金正憲), 김덕용(金德用), 강태성의 부인 김씨·홍원식의 부인 김씨 등 23인 |
![](https://t1.daumcdn.net/cfile/blog/114CBA494F53A89003) ▲ 고주리 사건을 재현한 디오라마
|
제암리에서 잔인하게 일을 처리한 왜군은 가까운 고주리로 쳐들어가 만세운동에 가담한 김흥열 과 그의 가족 6명(모두 남자임)을 모두 뒷간으로 끌고가 칼로 잔인하게 죽이고, 노적가리에 시 신을 얹혀 태워버렸다. 김흥열의 9살짜리 아들인 김덕기는 그 광경을 보고 분연히 뛰쳐나와 '나 만 살면 뭐하나. 나도 죽여라' 왜군에게 달려들었다. 왜군 하나가 구두발로 차면서 울타리 밑 도량으로 굴러 떨어졌으나 다시 일어나 덤비는 것을 김 흥열의 형수가 급히 나와 그를 치마 폭에 감추어 목숨을 건졌다. 이 사건을 고주리 사건이라고 부르는데, 제암리 사태와 같은 날에 일어났기 때문에 제암리 사건에 포함시키기도 하며, 화성시 에서는 이 둘을 묶어 제암리/고주리 사건이라 부르기도 한다. 고주리 사건에 격분한 마을 사람들은 산에서 봉화를 올리며, 왜정에 항의를 하는 한편 김흥열 일가의 죽음을 애도했다.
4월, 1달 동안 화성 일대에서 왜정이 벌인 무자비한 진압에 가옥 329채가 화재를 입었고, 46명 의 사망자와 22명의 부상자, 그리고 442명이 검거되었다. 그리고 다시는 참가하지 않겠다는 서 약을 받고 1,202명을 방면했다.
◆ 제암리 사건 이후 미국인 선교사인 언더우드와 테일러가 4월 5일에 일어난 수촌리 사건을 조사하고자 자동차를 타 고 가던 중, 우연히 제암리 학살 현장을 목격하고 경악을 금치 못했다. 그때가 제암리 사건 다 음 날인 4월 16일이었다. 거기에 제암리 교회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노경태가 서울에 올라가 증언을 하면서 4월 18일 스 코필드(F.W Scofield) 선교사가 단독으로 제암리와 수촌리를 찾아 현장을 조사했고, 이후 여러 차례 발걸음을 해 현장 뒷수습을 하며 부상자를 도왔다. 그리고 사건 보고서를 캐나다와 미국에 있는 가족들에게 보내 '끌수 없는 불꽃'이란 책으로 왜국의 만행을 천하에 알렸다. 또한 감리교 수원지방 감리사(監理師)였던 노블(M.W Noble)은 미국영사관에 왜정의 만행을 조사 하라고 압력을 가했으며, 그의 아내는 제암리로 내려가 복구 작업을 도왔다.
하지만 그들 선교사는 조선의 독립만세운동에는 관심이 없었고 오로지 왜정의 기독교인 탄압에 관심이 컸기 때문에 단순히 제암리 기독교인의 만세운동에 대한 왜정의 만행이라고만 알려졌다. 허나 제암리에서 죽은 23명 가운데, 천도교인이 11명, 기독교인이 10명이며, 고주리는 6명이 천 도교 지도자 가족이다. 그러니 한쪽 종교로 치우친 것이 아닌 두 종교가 서로 연대한 것으로 봐 야 되며, 통역 과정에서 잘못 전달된 내용도 조금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왜정은 제암리와 수촌리 사건에 대해 시위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생긴 우발적인 행동이라고 일축했다. 진압을 하는 과정에서 왜인과 왜경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이에 뚜껑이 뒤집힌 왜경과 왜군이 크게 무리를 했다는 것이다. 허나 제암리 사건은 그냥 생각 없이 벌인 것이 아닌 계획된 것이다. 마을에 들어와 마을 사람들을 교회로 집합시킨 것도 그렇고, 마을 사람들의 명단도 이 미 파악하고 있었으며(사람들이 다 안오자 가가호호 찾아가 불렀음) 사건을 지휘한 아리타 중령 은 그들을 교회에 몰아넣어 한꺼번에 처리하기로 머리통 속에 이미 계산을 한 상태였다. 또한 교회를 빠져나온 3~4명도 철저히 잡아 죽였으니, 퇴로까지 미리 계산을 한 모양이다. |
![](https://t1.daumcdn.net/cfile/blog/1442734F4F53A87D34) ▲ 현재 이전의 제암리교회의 모습 (2001년 3월 1일 철거됨)
|
◆ 제암리교회의 역사와 23인의 피를 바탕으로 태어난 제암리 3.1운동 순국유적 제암리교회는 1905년 사랑방 예배를 시작으로 문을 열었다. 이후 초가로 바뀌었으며, 1919년 제 암리 사건 때 불탄 것을 1938년에 다시 지었다. 1965년 제암리 사건을 들은 왜국 목사 오야마 레이지는 대학생을 이끌고 제암리를 찾아 참배했으며, 당시의 만행을 대신 사죄했다. 그리고 귀 국하여 모금을 벌여 제암리교회에 보냈는데, 애당초 모금 목표액은 1,000만엔이었으나 그 금액 을 채우지 못했다. 어쨌든 왜인이 보낸 돈으로 1970년 위의 사진으로 중수를 했는데, 교회 건물 은 3을, 중앙에 뾰족 솟은 아치탑은 1을 상징한다고 한다. 그러니까 교회가 온몸으로 3.1운동을 상징한다.
허나 왜인들의 성금으로 만든 탓에 부정을 탔는지 나중에 부실공사로 판정되어 2001년 3월 1일 에 때려부셨고, 그 자리에 정부 지원금 36억원을 들여 지금의 교회와 기념관을 만들었다. 제암 리 사건 당시 교회는 순국기념관 앞에 자리한 순국기념탑 자리에 있었다.
1982년 정부에서는 전동례 할머니의 증언으로 제암리 사건 현장을 발굴하여 23위의 유해를 발견 했으며, 그들의 조끼 단추와 당시 왜군이 지닌 것으로 보이는 동전과 병 등이 출토되었다. 유해 가 다시 빛을 본 자리에는 표석을 세우고, 합동장례식을 거행해 그들의 넋을 위로했으며, 서쪽 산자락에 무덤(23인 순국묘지)을 마련해 그곳에 모두 봉안했다. 또한 발굴이 이루어진 그해에 제암리 현장을 사적 299호로 지정해 3.1운동의 성역으로 삼으면서 순국기념탑과 무덤을 비롯해 23인 상징조형물, 순국기념관, 3.1정신교육관을 갖추었고, 유적 주 변을 공원으로 꾸며 3.1정신을 되새기며 잠시 발걸음을 멈춰 쉬어갈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었다. |
![](https://t1.daumcdn.net/cfile/blog/153DDE4F4F53A8802A) ▲ 당시의 참혹함을 고스란히 전해주는 제암리 사건 현장 출토 유물들 마을 사람들의 유물은 물론 왜군이 지닌 동전과 병도 여럿 나왔다.
|
◆ 3.1운동의 의의와 결과 약 2달에 걸쳐 벌어진 3.1만세운동은 200만이 동참한 천하 최대급의 시위였다. 비폭력적으로 진 행된 한계로 독립의 뜻을 이루지 못했고, 왜정의 무자비한 진압으로 사상자가 속출했다. 솔직히 '대한독립만세! 왜는 물러가라!' 함성을 목이 터지라 외친다고 왜국이 이에 쫄거나 감동해 순순 히 물러날 리는 더군다나 없다. 1875년부터 어떻게 공을 들여 먹은 땅인데, 그렇게 시위만 한다 고 스스로 물러가겠는가. 그렇다고 시위군중이 무장을 하여 폭력적으로 나섰으면 어땠을까? 그 럼 조선 전토는 거대한 전쟁터가 되었을 것이다. 아무리 간도(間島)와 중원대륙에서 독립군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어도 그 수는 적다. 조선에서도 왜정에 대항할 비밀 군대나 의병도 거의 없 으며, 왜군을 상대하기에는 한없이 부족하기만하다. 게다가 시위에 참여한 인파에 학생, 어린이 , 노인, 여인들도 많으니 효과적인 전투력은 기대하기 힘들다. 그래서 비폭력으로 전개해 조선 민중의 뜻을 천하에 알린 것이다. 물론 곳곳에서 무력충돌이 발 생해 왜경이나 왜인, 친일 경찰/지주 등이 다량으로 맞아죽었으며, 화성 발안이나 조암처럼 경 찰주재소와 우체국, 학교를 공격해 불지르는 상황도 많이 발생하기도 했다.
3,1운동으로 단단히 홍역을 치룬 왜국은 조선 민중의 저력에 크게 겁을 먹었다. 왜인들은 강자 가 협박하면 무조건 엎드려 꼬랑지를 살랑살랑 흔들지만 조선은 그게 아니었던 것이다. 그저 단 순했던 왜는 조선을 몰라도 너무 몰랐다. 그리고 그런 시위와 항쟁이 계속 일어나면 왜국도 하 등 좋을 것이 없다. 아무리 총칼로 밀어버려도 전력(戰力)을 비롯한 국력 손실이 적지 않게 발 생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급히 회유책과 조선인 대우를 내건 문화통치(文化統治)로 통치 노선을 변경했다. 또한 3.1운동은 중원대륙 민중에게도 크게 영향을 주어 5.4운동이 일어났으며, 인도의 간디도 3.1운동을 모델로 삼아 영국을 향해 비폭력항쟁을 전개했다.
중원대륙의 허접 고대소설인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를 보면 공명 제갈량(孔明 諸葛亮)의 남만 (南蠻)정벌 이야기가 나온다. 제갈량은 유비(劉備)가 세운 촉(蜀)나라의 승상(丞相)으로 남만이 군사를 일으켜 후방을 위협하자 손수 군사를 이끌고 남만을 정벌했다. 그는 우수한 전술과 군사력으로 남만군을 격파하고 남만의 우두머리인 맹획을 7번 잡아 7번 풀 어준 이른바 칠종칠금(七縱七擒)을 벌이며,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남만 백성과 지배층을 위로하 고 그들을 다독거린다. 결국 맹획을 비롯한 남만 지배층과 백성들은 눈물을 흘리며 제갈량에게 진심으로 항복하면서 잠시나마 촉나라의 믿음직한 속국(屬國)이 된다. 물론 삼국지정사에는 225 년 제갈량이 남만을 치고 가을에 돌아왔다는 내용 뿐이고, 연의에서 나오는 부분은 나관중(羅貫 中)을 비롯한 할일 없는 문인들이 지어낸 것이지만 침략전쟁으로 다른 나라와 민족을 점령한 나 라들에게 적지 않게 귀감이 되는 내용이다. 제갈량이 저렇게 공을 들여 자기네 편으로 만들었지 만 남만은 얼마 안가 촉에 반기를 들고 말았으니, 왜국과 같은 무단통치는 어련하겠는가?
끝으로 한심하게도 다른 나라도 아닌 우리나라에서 뉴라이트를 비롯한 뇌에 주름잡힌 꼴통 집단 들이 3.1운동을 폭동이라고 주장해 논란이 대단하다. 물론 왜국의 입장에서 보면 폭동이나 우리 입장에서 보면 우리의 권리를 되찾고자 벌인 정당한 시위이다. 왜정이 제갈량처럼 했으면 모를 까? 제갈량의 발톱의 낀 때만도 못한 것들이 크게 잘못을 했으니 그런 일이 발생한 것이다. 그 러니 폭동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제발 입좀 다물었으면 좋겠다. 하늘도 저런 것들에게 벼락 을 내려야지 그렇게 벼락을 아껴서 뭐하려고 하는지 모르겠다.
※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유적 찾아가기 (2014년 3월 기준) ① 수원역 경유 제암리까지 * 지하철 1호선, 분당선 수원역(6번 출구, AK플라자)을 나와서 오른쪽으로 가면 2줄로 이루어진 수원역 버스정류장이 있다. 거기서 발안으로 가는 32, 33번 시내버스를 타고 우림아파트에서 하차, 내린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에 보이는 제암4거리에서 오른쪽(서쪽)으로 10분 정도 가면 제암리 유적 입구로 여기서 오른쪽으로 6~7분 가면 제암리 유적이다. <또는 발안3거리(바다마 트)에서 내려서 길 건너편에서 33-1번 시내버스를 타면 제암리(제암리유적입구)까지 가지만 대신 향남지구로 빙 돌아서 감> * 수원역(9번과 10번 출구 중간)에서 조암행 직행버스를 타고 제암리 하차, 도보 5분 ② 직행버스 이용 * 수원터미널과 서수원터미널에서 조암행 직행버스를 타고 제암리 하차 * 서울 사당역(4번 출구)에서 조암행 직행버스(20~30분 간격)를 타고 발안마을주공아파트 하차, 버스가 간 방향으로 4분 정도 가면 제암4거리로 여기서 오른쪽으로 국도를 따라가면 된다. ③ 승용차 이용 * 서해안고속도로 → 발안나들목을 나와서 발안 방면 좌회전 → 제암리 유적 * 수원 → 발안 방면 43번 국도 → 제암4거리 → 제암리 유적
★ 제암리 3.1운동 순국유적 관람정보 (2014년 3월 기준) * 관람비와 주차비 없음 * 관람시간(순국기념관) : 9시 ~ 18시 (입장은 17시까지) 순국기념관 외에 23인 순국묘지와 야 외에 있는 조형물은 시간에 관계없이 관람 가능 * 순국기념관 쉬는 날 - 매주 월요일 / 설날과 추석, 1월 1일 * 문화유산해설사가 상주하고 있어 친절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제암리 392-2 (제암길 50, ☎ 031-369-1663) * 화성 제암리 순국기념관 홈페이지는 아래 사진을 클릭한다.
|
![](http://3.bp.blogspot.com/-hZiVFZNnXvk/T1OtdM5SP-I/AAAAAAAAAtY/H23FHDB5AS0/s1600/DSCN7326.jpg) ▲ 23인 상징 조형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