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촌동 은행나무와 딜쿠샤에서 '송월1길' 골목길을 타고 남쪽으로 3분 가면 길 왼쪽 높은 곳에 붉은 피부의 벽돌과 지붕, 그리고 담쟁이덩굴까지 멋지게 두룬 별장 같은 아담한 주택이 두 눈 을 부여 잡는다. 그 집이 바로 홍파동 홍난파 가옥이다.
이 집은 지상 1층, 지하 1층으로 지하라고는 하지만 가파른 경사에 자리한 탓에 서쪽과 남쪽이 바깥에 노출되어 햇볕을 보고 있으므로 거의 2층이나 다름이 없다. 이곳에는 원래 구한말에 양 기탁(梁起鐸)과 함께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를 창간하고 대한제국(大韓帝國)을 도와 항왜 (抗倭) 언론을 주도했던 영국 사람 '어니스트 베델'<Ernest Thomas Bethell, 1872~1909년, 한 국 이름은 배설(裵說)>의 집이 있었다. 배설은 1909년 5월, 37세의 짧은 나이로 심장병으로 세상을 떴는데, 그에게 원한이 깊던 왜국 은 쪼잔한 마음을 드러내며 그의 집을 강제로 밀어버렸다. 다만 토지는 몰수하지 않고 그의 부 인인 '메리 모드 베델'(Mary Maud Bethell)이 계속 가지고 있다가 1920년대 이후 매각한 것으 로 전한다.
1920년대 후반, 이 일대가 여러 지번으로 분할되었는데, 송월동과 홍파동 지역에는 독일 양이( 洋夷)들이 많이 서식해 그들의 주택이 많이 들어섰다. 홍난파 가옥도 바로 그 과정에서 1930년 대에 태어났다. 허나 그 집은 주인이 여러 번 바뀌어 집 자신도 정신이 없을 정도였는데, '불 놀이'를 쓴 시인으로 친일 행적이 요란한 주요한(朱耀翰, 1900~1979)의 부인, 최선복의 이름이 먼저 올라와있다. 그 다음에 들어온 사람은 홍어길(洪魚吉)로 단재 신채호(丹齋 申采浩)의 조카딸인 신수옥에게 장가들어 여기서 보금자리를 폈다. 그는 배화여학교 선생으로 수양동우회에서 활동했으며, 철 학박사로 서울에 철학연구사를 세웠던 한치진(韓稚振, 1901~?)이 다음 타자로 들어와 잠시 머 물렀다. 그는 1944년 왜정의 패망을 예견하는 시국답을 논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살기도 했다. 바로 그 다음에 들어온 이가 홍난파로 1935년 이 집을 사들여 말년을 보냈다. 그 연유로 홍난 파 가옥(홍난파의 집)이라 불리게 된 것이다. |
예전에는 집 앞에 마당이 있었으나 담장을 허물고 조그만 야외무대를 닦았으며, 1968년 4월 10 일에 난파기념사업회에서 세운 홍난파의 흉상이 옛 마당을 지킨다. 이 흉상은 김경승이 조각하 고, 김충현이 글씨를 썼으며, 윤석중이 흉상 기단(基壇)에 글을 새겼다. 또한 골목 쪽에는 담 장과 대문이 있었으나 지금은 담장 일부만 남았으며, 1층 현관을 통하여 가옥 내부로 들어서면 된다. 현재는 종로구청에서 관리한다.
집 지붕은 다른 서양인 선교사의 집보다 경사가 가파르고, 거실에는 양옥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벽난로가 있다. 현관과 이어지는 복도를 사이로 서쪽에 거실을, 동쪽에 침실을 두었으며, 거실 밑에는 지하실을 두어 공간을 알뜰하게 활용하던 서양 주택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2007년에 홍난파 기념관 및 소공연장으로 손질하고자 보수 공사를 벌여 1층에 있던 침실 2개를 하나로 합쳤으며, 음향시설 등을 달아 50명 규모의 공연장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의 유품과 자 료를 전시하여 기념관의 역할을 하도록 했고, 지하에는 시청각실을 만들었다. |
우리 귀에 무척 익은 홍난파, 그 자는 누구일까? 홍난파(洪蘭坡, 1898~1941)는 1898년 4월 10일 경기도 화성시 남양(南陽)에서 태어났다. 본명 은 홍영후(洪永厚)로 난파는 일종의 호가 되며, 본관은 남양홍씨이다. 왜정 때 매우 잘나갔던 음악가이자 우리 현대 음악의 중추적인 존재로 '봉선화','성불사(成佛寺)의 밤','옛 동산에 올 라' 등으로 유명하다.
5살에 서울로 올라와 1912년 YMCA 중학부에 들어갔으며, 음악에 자꾸 손과 마음이 가면서 내면 에 숨겨진 자신의 소질을 알게 된다. 그래서 1913년 우리나라 최초의 음악전문학교인 조선정악 전습소(朝鮮正 樂傳習所) 서양악과에 입학하여 1년 동안 김인식(金仁湜)에게 바이올린을 배웠 으며, 1918년 창가 '야구전'을 작곡, 발표하고 왜열도로 건너가 동경음악학교에 진학, 음악과 문학, 미술을 배우며 문예의 꿈을 키웠다. 그러다가 1919년 유학생들이 벌인 독립운동에 가담 하면서 학업을 그만두고 귀국했다.
귀국하여 경성양악대 제1회 연주회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바이올린 연주 자란 기록을 세웠다. 대한매일신보 기자로도 잠깐 일하다가 1920년 '처녀혼'이란 첫 작품을 냈 는데, 봉선화는 처녀혼 첫머리에 나오는 애수(哀愁)라는 곡명으로 발표된 것이다. 1922년에는 서울 연악회(硏樂會)를 창설해 음악 교육에 나섰으며, 1925년 우리나라 최초의 음 악 잡지인 '음악계(音樂界)'를 창간했다. 그리고 1926년 다시 왜열도로 넘어가 동경고등음악학 교를 졸업하고 동경신교향악단 단원으로 활동했다.
1929년 '조선음악백곡집'과 '조선동요백곡집'을 발표하고 1933년에는 '조선가요창작곡집' 등의 작품을 냈으며, 현제명(玄濟明)과 함께 '봄노래'를 발표했다. 그 외에 바이올린독주곡인 '애수 의 조선','동양풍의 무곡','로망스' 등이 있고, '관현악곡 즉흥곡','관현반주 붙은 즉흥곡',' 명작합창곡집','특선가요선집' 등을 냈는데, 그는 우리나라 선율의 요소를 작곡에 반영해 서정 적인 분위기를 그려내고자 했다. 그의 의도는 그의 평론에서도 잘 나타나며, 1930년대 이후 우 리나라 현대 음악 창작의 패턴을 정립한 음악가로 널리 찬양을 받았다.
1931년 바이올린을 더 배우고자 미국으로 넘어가 셔우드(Sherwood)음악대학을 다녔으며, 1933 년 졸업 기념으로 독주회를 가지고 귀국했다. 그리고 경성보육학교와 이화여자전문학교에서 음 악을 가르치고, 1936년 경성방송 현악단 지휘자 및 빅터레코드의 양악부장을 지냈으며, 이영세 (李永世)와 난파트리오를 조직해 실내악 활동에 나서기도 했다. 또한 1938년 경성음악전문학교 교수로 활동하면서 '음악만필'을 냈으며, '백마강의 추억' 등 14곡의 가요를 나소운(羅素雲)이 란 예명으로 발표했다.
이렇게 우리나라 현대 음악 발전에 크게 공헌을 하며, 주옥같은 작품으로 민중의 마음을 달랬 던 그였지만 그의 말년은 그 초심을 잃으며 추악의 나락으로 떨어졌다. 친일파로 노선을 바꾸 며 민중의 뒷통수를 제대로 쳤던 것이다. 1937년 독립운동단체인 수양동우회 회원이라는 이유로 검거된 이후, 그해 4월 조선총독부 학무 국(學務局)에서 결성한 친일 단체인 '조선문예회'에 가입하여 왜정 정책에 동조하기 시작했다. '국민총력조선연맹'의 문화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내선일체를 강조하였고 '지나사변(支那事變)과 음악','희망의 아침' 등 친일 성향의 악취나는 작품을 발표하면서 끊임없이 왜정을 찬양했다. 허나 다행히도 하늘이 보우하사 변절한지 4년 만인 1941년 8월 30일 43살의 나이로 죽었다.
그가 마지막 4년 동안 보여준 속절없는 친일 행적은 20~30대 시절에 일구어낸 온갖 업적과 공 로에 제대로 똥칠을 하기에 충분했다. 50년도 채우지 못한 그 짧은 인생, 무슨 영달을 더 누려 보겠다고 그 추잡함을 보였던 것일까? 그것만 아니었다면 참 착했을 것을 심히 좋지 않은 뒷끝 을 보이고 말았다. 왜정 시절 이 땅의 나약한 지식인들의 끝없는 변절과 방황, 그도 결국 그 재능과 인격 때문에 나락의 길인지도 모르고 바로 앞에 놓인 꿀에 속아 악마의 유혹에 넘어갔던 것이다. 그래도 다 행히 해방 이전에 한참 나이로 자체 폐기가 되었으니 나라와 민중을 배신하고 친일을 벌인 그 대가는 톡톡히 받은 것으로 보면 될까? 그렇게 홍난파에게 실망한 대중을 위로해 본다. 내 학 창시절에 봉선화부터해서 그의 노래가 음악책과 문학책에 지겹도록 실려 참 머리 아프게 했는 데, 그의 친일 행적은 나의 마음까지도 심히 아프게 만든다.
그런데 홍난파 가옥에서 다루고 있는 그의 일생과 그곳에서 배부하는 홍난파 자료, 그리고 홍 난파 흉상 기둥에는 친일 행적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오로지 찬양 일색이다. 심지어는 '우리 는 홍난파 선생님에게 신세를 너무 많이 졌습니다~~ 홍난파 선생님은 우리들의 영원한 고향이 며 우리는 홍난파 선생님의 후손입니다'라는 식의 암을 유발하는 해괴망측한 구절도 있다. 종로구청의 실수인지 아니면 난파기념사업회의 장난인지는 모르겠으나 지나친 찬양은 오히려 역겨움과 정신건강 해악만 가져올 뿐이다. 홍난파가 어떤 인물인지는 내가 직접 겪어보질 않아 서 판단하기는 어려우나 그도 개념이 있다면 후학들의 이런 말장난에 지하에서 눈물을 머금을 것이다. 기릴 것은 기리고 깔 것은 과감히 까는 것이 서로에게 좋다.
홍난파의 후학들이 세운 난파기념사업회는 1968년 난파음악상을 제정해 매년마다 적당한 음악 인을 골라 상을 주고 있다. 상을 받은 이는 정경화, 정명훈, 금난새, 조수미 등 이름 3자만 들 어도 거의 알법한 인물인데, 2013년에 일대 이변이 생겼다. 수상자로 선정된 작곡가 류재준씨 가 수상을 거부했던 것이다. 거부 사유는 친일파의 이름으로 된 상을 받기 싫다는 것이다. 그 의 업적은 인정하나 실수 또한 거대하다며 그의 친일행적을 꼬집은 것이다. 그의 개념찬 행동에 천하 사람들은 많은 찬사를 보냈고, 난파기념사업회는 그냥 음악가로서의 홍난파를 기리고 상을 줄 뿐이라며 말도 안되는 변명만 늘어놓다가 오히려 욕만 죽어라 얻어먹 었다.
근래에 들어 민족문화연구소는 홍난파 가옥의 이름을 변경하자며, 이곳에 살았던 여러 인물의 삶과 흔적을 더듬을 수 있는 공간으로 하자고 제안했다. 또한 안내문을 수정하고 가옥 내부의 공간 구성을 바꾸는 방안을 종로구에 제시했다. 비록 홍난파가 이곳에 쓸데없이 오래 살긴 했 어도 그 작자를 너무 치켜세우는 것은 좋지 않다. 그러니 홍난파 유물은 크게 줄이거나 갖다버 리고 독립운동을 했던 한치진과 홍어길을 기리는 공간으로 삼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물론 홍난파도 음악에 공이 적지 않으니 쥐꼬리만큼 기려주자. 또한 집 이름은 지역 이름만 따 서 '홍파동 가옥' 또는 '홍파동 근대 가옥'으로 바꾸는 것이 적당해보인다.
가옥 내부를 둘러보려고 현관을 기웃거렸으나 이미 관람시간은 끝난 상태. 그래서 다음을 기약 하며 발길을 돌리고 말았다.
※ 홍난파 가옥 찾아가기 (2016년 12월 기준) * 지하철 5호선 서대문역(4번 출구)에서 직진하면 정동4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왼쪽 송월길로 들어서 5분 정도 가면 한양도성이 보이면서 4거리가 나오는데, 여기서 오른쪽 송월1길로 진 입하여 월암근린공원을 지나면 그 공원의 끝에 홍난파가옥이 있다.
★ 홍난파 가옥 관람정보 (2016년 12월 기준) * 관람시간 : 평일 11시부터 17시까지 (11~3월은 16시까지) / 주말, 공휴일은 휴관 * 관람비 없음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홍파동2-16 (송월1길 38) (☎ 070-8112-7901) |
홍난파가옥 남쪽에는 월암근린공원이 자리해 있다. 여기서 남대문(숭례문)과 사직터널 윗쪽에 서 끊긴 한양도성이 짧게나마 모습을 비추는데 그 성곽 밑에 월암(月巖)근린공원이 넓게 자리 를 닦았다.
이곳 성곽은 근래에 복원된 탓에 피부가 온통 하얗고, 성곽 밑도리에 고색의 때를 머금은 성돌 이 일부 끼어있을 뿐이다. 그래서 오래된 도성(都城)의 무게감보다는 대충 얹힌 촬영세트장이 나 모조품처럼 가볍게 보인다. 상황이 이리 우울하게 된 것은 왜정이 사직터널부터 남대문 사이에 성곽을 아주 철저하게 뭉개 버렸기 때문이다. 성곽이 가고 없는 자리에는 집과 건물이 가득 들어찼는데, 도성 복원 계획으 로 이 일대를 밀어버리면서 땅 속에 묻힌 성돌이 다시금 햇살을 보게 되었고, 성곽을 복원하면 서 그들을 끄집어내 성돌의 역할을 부여했다. 그리고 숨통이 크게 트인 성곽 서쪽에는 공원을 닦아 휴식처로 삼았는데, 월암이란 이름은 인근에 숨겨진 '월암동(月巖洞)' 바위글씨에서 비롯 되었다. 성곽 안쪽에는 서울기상관측소와 서울복지재단, 서울시 교육청이 자리해 있으며, 그 동쪽에는 경희궁(慶熙宮)이 오욕의 세월을 견디며 자리를 지키고 있다.
성곽 북쪽은 주택들이 첩첩하게 들어차 재개발을 하지 않는 이상은 복원이 거의 어렵다. 사직 터널까지 200m 정도만 다시 이으면 되는데, 현실의 벽 앞에 어림도 없는 것이다. 그리고 남쪽 또한 건물과 도로 등으로 손을 대기가 거의 불가능한 실정, 허나 도성 복원 계획은 끊어진 성 곽이 모두 이어지는 그 순간까지 끈기를 가지고 추진된다고 하니 내 생애 언젠가는 반드시 복 원이 마무리 될 것이라 믿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