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인암에 안긴 조그만 절집, 보기와 달리 깊은 역사를 지닌 청련암(靑蓮庵)
▲ 사립문이 활짝 열린 청련암 |
사인암 옆구리에는 청련암이란 조그만 절집이 둥지를 틀고 있다. 이런 곳에 왠 절이 있나? 싶 을 정도로 좀 쌩뚱맞기도 한데 얼핏보면 근래 지어진 절로 생각하기 쉬우나 현실은 제법 오래 된 절이다.
청련암은 속리산 법주사(法住寺)의 말사(末寺)로 1373년(공민왕 22년)에 나옹대사(懶翁大師)가 창건했다고 한다. 허나 신빙성은 그리 없어 보이며, 임진왜란 때 파괴된 것을 1710년에 중창하 여 청련암이라 했다고 한다. 원래는 여기서 가까운 대강면 황정리 산28번지에 있었는데, 그 부근에 있었다는 대흥사(大興寺 )의 말사로 있었다. 허나 그 대흥사는 19세기 후반 의병(義兵)과 왜군과의 싸움에서 파괴되었 고, 1954년 소백산 공비토벌 작전으로 황정리 일대에 소개령(疏開令)이 내려지자 청련암도 부 득이 방을 빼야 되서 절의 대들보와 기둥을 들고 사인암 옆에 새롭게 터를 닦았다.
청련암은 두 눈에 쏙 넣어도 부담이 없는 조촐한 암자로 법당인 극락전과 옛 법당, 삼성각, 요 사 등이 전부이다. 2013년 4월 새 극락전을 만들어 법당으로 삼았으며, 옛날의 유물로는 18세 기에 조성된 목조보살좌상이 있다. 사인암을 든든한 후광(後光)으로 삼고 있어 사인암에 온 사람들은 무조건 절에 발을 들이기 마 련이다. 절을 거쳐야만 사인암의 뒷통수로 올라갈 수 있으며, 사인암과 청련암이 완전히 한 덩 어리가 되어 생사고락을 같이한다. 사인암 방문객이 늘면 자연히 절을 찾는 발길도 정비례할 수 밖에 없으니 정말 자리 하나는 잘 잡았다. (당시 주지승의 혜안이 참 놀라울 따름!) 사인암 이 건재하는 동안은 청련암은 결코 법등(法燈)이 마를 날이 없을 테니 말이다. |
▲ 청련암 경내와 사인암의 옆구리
▲ 청련암 극락보전(極樂寶殿)
|
경내로 들어서면 옛 법당 직전에 극락보전이 산듯한 모습으로 마중을 한다. 정면 3칸, 측면 2 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남쪽을 바라보고 있는데 2013년 4월에 지어진 아주 따끈따끈한 새 건물 로 경내 제일의 보물인 목조보살좌상을 품고 있다. 하지만 건물 내부를 살피지 않고 그냥 지나 쳐버려 목조보살좌상을 친견하지 못했다. 그냥 옛 법당에 계속 있는 줄 알았음 |
▲ 예전에 담은 청련암 목조보살좌상(木彫菩薩坐像) - 충북 지방유형문화재 309호
|
청련암 목조보살좌상은 원래 청련암 법당에 봉안되었던 아미타3존불의 구성원인 대세지보살상 (大勢至菩薩像)이다. 1954년 이곳으로 절을 옮기는 과정에서 그만 본존불(本尊佛)을 잃어버렸 으며, 관음보살상(觀音菩薩像)은 엉뚱하게 제천 원각사로 넘어가고 대세지보살상만 간신히 수 습하여 가져왔다. 그래서 협시불이 본존불로 출세하여 불단 중앙에 홀로 봉안된 것이다. 또한 그의 뱃속에서는 여러 복장(腹臟)유물이 나왔으나 근래 도난당하고 말았다. 불상에 입혀진 도금을 벗기고 새로 개금(改金)을 했을 때 목불(木佛)의 형태를 확인했으며 은 행나무로 조성된 것임이 밝혀졌다. 청련암의 옛 유물로 18세기 초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며, 그 시절 충청도 지역 불상 양식이 잘 반영되어 있다.
보살상의 모습을 보면 마치 어린 동자가 관음보살의 탈을 쓰고 대신 앉아있는 것 같다. 동자와 같은 귀여움과 해맑은 미소가 진하게 드리워진 그의 표정은 너무 밝아 보는 이의 눈을 눈부시 게 하니 사인암과 청련암에 볼일이 있어 찾아온 화마(火魔)도 그의 표정 앞에서는 어찌할 바를 모르며 그냥 돌아갈 것이다. |
▲ 석불좌상과 옛 법당
|
극락전으로 쓰인 옛 법당은 법당의 품격과는 좀 거리가 있는 여염집 모습으로 새로운 극락보전 이 지어지자 법당에서 물러나 평범한 신세가 되었다. 현재 석가3존불이 봉안되어 있으며 목조 보살좌상은 새 극락보전으로 옮겨 청련암 중심 불상의 업무를 계속 수행한다. (이들 불상의 위 치는 절의 사정상 바뀔 수도 있음) 옛 법당 앞에는 조그만 석불좌상이 자리해 있는데, 원래 새 극락보전 자리에 있던 것을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
|
|
▲ 옛 법당에 봉안된 석가3존불 |
▲ 옛 법당에서 바라본 청련암 경내 |
▲ 물이 넘치는 연꽃무늬 석조(石槽) 사인암이 중생들에게 베푼 소중한 옥계수로 졸고 있는 바가지를 깨워 한가득 담아 들이키니 몸 속의 때가 싹 가신 듯, 몸과 마음이 시원해진다.
▲ 우탁의 탄로가(嘆老歌)를 머금은 표석
한손에 막대 잡고 또 한 손에 가시 쥐고 늙은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려터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
우탁은 늙음을 탄식하는 시를 여럿 남겼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탄로가이다. 아무리 발버 둥을 치며 피부와 건강에 힘써도 세월은 자꾸만 흐르고 자신도 강제로 늙어만 가니 정말 무서 운 시가 아닐 수 없다. 나는 30대의 끝 무렵을 달리고 있지만 탄로가의 시 앞에 무책임하게 나이나 처묵처묵하고 있는 내 모습에 정말 열불이 난다. 물론 나이는 강제로 먹는 것이니 거절을 해도 소용은 없다. 아직 까지는 젊다고 자부를 하지만 빛의 속도로 내달리는 세월 앞에서는 장사가 없다. 신선 세계의 하루는 인간 세상의 몇십~몇백년이라고 하는데 그 세계가 바로 우리가 사는 세계 같다.
|
▲ 탄로가 표석에서 바라본 남조천과 구름다리 단양은 소백산맥에 묻힌 산골이라 봄과 여름은 늦게 오고 겨울은 일찍 온다. 날은 조금씩 따스함이 더해지고 있으나 비록 힘은 잃었지만 아직까지는 겨울 제국의 세력이 적지 않게 남아있어 아직까지 제국의 눈치를 본다. 허나 곧 소쩍새가 울 때면 지긋지긋한 겨울을 완전히 떨쳐내며 다들 기지개를 켤 것이다.
▲ 사인암의 뒷통수로 오르는 계단길
|
어떻게 경사도 꽤 각박한 사인암 뒷통수에 감히 건물을 올릴 생각을 했을까? 청련암 주지승의 기발한 생각<사인암 입장에서는 좀 고달프겠지만>으로 궁색한 자리를 극복하여 좁게나마 터를 다지고 삼성각을 지어 속세를 향해 계단을 늘어뜨렸다. 이로 인해 사인암이 삼성각을 업고 있 는 모습이 되었다. 삼성각으로 인도하는 계단은 보기와 달리 상당히 거칠고 고르지가 못해 오르락내리락 할 때 주 의가 필요하다. 예전에는 삼성각 뒤쪽을 통해 사인암 정상으로 오를 수 있었으나 사인암의 건 강과 안전 문제로 출입이 통제되어 있으니 애써 오르지 않도록 하며 사인암에 왔다면 삼성각에 꼭 올라가보도록 하자. 이곳을 지나쳤다면 사인암의 거의 절반을 놓친거나 다름이 없다. |
▲ 사인암 뒤쪽 바위 틈에 둥지를 튼 푸른 머리의 삼성각(三聖閣) 이 건물은 예전 칠성각(七星閣)으로 산신(山神)과 독성(獨聖, 나반존자), 칠성(七星)이 봉안되어 있다.
|
|
|
▲ 삼성각 중앙에 자리한 칠성탱과 석가불 |
▲ 삼성각 독성탱 |
|
◀ 삼성각 산신탱 |
▲ 삼성각 우측 바위에 새겨진 기하학적인 바위글씨 '퇴장(退藏)'
|
사인암의 명성이 멀리 우주 밖까지 전해진 것일까? 너무 유별나게 휘갈겨진 글씨가 바위 피부 에 새겨져 있어 그 정체에 대해 고개를 갸우뚱하게 한다. 허나 그는 외계인의 글씨가 아닌 한 자의 일종인 전서체(篆書體)로 쓰인 '退藏(퇴장, 스스로 물러나 숨는다)'이란 글씨로 조선 전 기에 판교종사<判敎宗師, 불교 교종(敎宗)의 우두머리>를 지낸 운수의 낙관으로 추정될 뿐 확 실한 것은 없다. |
▲ 삼성각 맞은편 낭떠러지 위에 중생들이 쌓아올린 조그만 돌탑들이 그들의 소망을 머금으며 조촐하게 보금자리를 이룬다. 이곳은 막다른 바위로 바로 밑이 벼랑이니 조심하기 바란다.
▲ 삼성각 북쪽 벼랑
▲ 삼성각에서 바라본 계단 밑부분과 청련암
|
이렇게 1시간 동안 사인암과 청련암 세트를 둘러보고 정든 단양 땅에서 퇴장하여 경북 문경 땅 으로 넘어갔다. 처음에는 예천 명봉사(鳴鳳寺)에 가려고 했으나 전날부터 여러 곳의 절을 들린 상태라 후배는 다른 데로 가자고 정색을 한다. (절을 좋아하는 후배임) 그래서 어디로 갈까 궁리하다가 천하의 마지막 주막으로 명성이 높은 예천 삼강주막(三江酒幕) 을 둘러보고 속리산 동쪽 자락에 안긴 여러 폭포를 탐방하기로 했다. 본글은 분량상 여기서 끝~~! 이후 내용은 별도의 글에서 흔쾌히 소개하도록 하겠다.
※ 단양 사인암 찾아가기 (2017년 8월 기준) ① 단양까지 * 동서울터미널에서 단양행 직행버스가 1시간 간격으로 떠난다. * 서울 청량리역에서 단양행 열차가 1일 8~9회 떠난다. (양평, 원주 경유) * 안산, 원주, 청주, 영주, 안동, 대구(북부)에서 단양행 직행버스 이용 * 부산 부전역, 태화강역, 경주역, 영천역, 안동역에서 청량리행 중앙선 무궁화호 열차 이용 * 대전역, 오송역, 청주역에서 영주행 무궁화호 열차 이용 (1일 2회 운행)
② 현지 교통 * 단양시외터미널 건너편이나 부근 고수대교 종점, 단양역 입구(단양역3거리 북쪽)에서 사인암 방면 군내버스 이용 (1일 14회 운행, 대강 경유)
③ 승용차 (주차장 있음) * 중앙고속도로 → 단양나들목을 나와서 우회전 → 장림4거리에서 좌회전 → 사인암(청련암)
* 사인암 소재지 -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사인암리 산27 (청련암 ☎ 043-422-1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