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도심과 가까운 고즈넉한 산사, 돈암동 흥천사 '
▲ 흥천사 전경
흥겨운 석가탄신일(부처님오신날, 4월 초파일)을 며칠 앞둔 어느 평화로운 봄날, 돈암동 |
♠ 흥천사 입문 |
|
흥천사입구(돈암2동 주민센터)에 이르니 장대하게 솟은 느티나무가 시원한 그늘을 내밀며 반 |
|
|
|
느티나무를 지나면 잘 닦여진 길이 나타난다. 도로 차단봉이 설치된 지점 쯤에 흥천사의 정문 |
|
|
|
|
|
|
|
서울 시내 한복판인 돈암동 산자락에 둥지를 튼 흥천사는 '삼각산(북한산) 흥천사'를 칭하고 |
|
|
|
▲ 흥선대원군이 쓴 흥천사 현판 |
▲ 흥천사 극락보전 |
4. 신흥사에서 다시 태어난 흥천사, 다시 정릉과 이웃이 되다. |
♠ 흥천사 대방과 명부전 |
|
경내 핵심부를 가리며 동북쪽을 바라보고 앉은 대방은 경내에서 가장 큰
집으로 특이하게 'H' |
|
|
|
▲ 대방 정면에 걸린 흥천사 현판 |
▲ 대방 우측의 옥정루(玉井樓) 현판 |
|
|
▲ 대방 좌측의 서선실(西禪室) 현판 |
▲ 대방의 다른 이름, 만세루 현판 |
|
|
|
|
▲ 종각(鐘閣) |
▲ 오세창 선생이 남긴 종각 현판 |
|
|
대방 서쪽에는 명부전이 자리해 있다. 동남쪽을 향하고 있는 이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
|
|
|
명부전에는
지장보살(地藏菩薩)을 중심으로 도명존자(道明尊者), 무독귀왕(無毒鬼王)이 석조 |
|
|
지장보살 좌우에 자리한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
▲ 사자상과 금강역사상, 사자도 |
|
|
|
▲ 명부전 시왕상과 시왕도(서울 지방유형문화재 423호) |
|
시왕을 머금은 시왕상은
패널에 오려 붙인 형식으로 1/3왕과 5/7/9왕, 2/4왕, 6/8/10왕이 한 |
|
|
|
명부전 가운데 칸 문
위쪽에는 시커먼 피부의 길쭉한 나무 상자가 걸려있으니 그가 비로자나 |
|
|
|
극락보전 서쪽에는 관세음보살상이 있는 바위로 인도하는 계단이 있다. 그 계단의 끝에
구멍 |
♠ 흥천사의 보물 창고,
극락보전(極樂寶殿) |
대방 뒷쪽에는 흥천사의 법당인 극락보전(극락전)이 대방의 뒷꽁무니를 뚫어지라 바라보고 있 |
|
영친왕<英親王, 영왕(英王) 1897~1970>은 고종의 7번 째 아들로 1901년에 흥천사를 방문해
글 |
|
극락보전 내부는 그야말로 화려함의 극치를 보이고 있다. 불단에는 목조여래좌상(아미타여래) |
|
|
|
극락보전 보물 중 가장
백미(白眉)는 복잡하게 생긴 금동천수관음보살좌상이 아닐까 싶다. 연 |
|
지장시왕도는 1867년에 의운자우(義雲慈雨)가 그렸다. 푸른 두광(頭光)과 연두색 신광(身光) |
|
현왕도는 덥수룩한 검은 수염을 휘날리는 제왕 모습의 염라대왕(현왕)이 그의 부하들을 거느 |
|
신중도는 호법신(護法神)들의 무리를 정신없이 담은 법당 지킴이용 탱화이다. 그림 상단에는 |
|
극락9품도는 화면을 9개로 나누어 극락세계의 구품(九品)을 그린 것으로 고양시 흥국사(興國 |
|
천룡도는 신중도의 축소형 탱화로 위태천과 천룡팔부(天龍八部)가 담겨져 있다. 1898년 용담 |
|
이름도 생소한 도량신도는 삼보(三寶)의 도량을 지키는 도량신을 머금은 그림이다. 도량신은 |
|
♠ 흥천사 마무리 |
|
극락보전 우측에 자리한
용화전은 막연히 56.7억년 후에나 온다는 미륵불(미륵보살)의 거처이 |
|
|
|
장엄등은 큰 연등으로 저녁이 되면 스스로를 불사르며 몸을 환하게 밝힌다. 그것이
연등과 장 |
|
|
|
대방 서쪽에는 갈색 피부를 지닌 관음전이 있다. 대방 정도의 큰 집으로 일반적인 사찰 기와 |
|
|
|
|
|
|
|
만세루 신중도는 관음전의 신세를 지켜 그곳을 지키고 있는데, 제석천과 범천, 위태천 등 온 |
|
|
|
제석천도 역시 대방에서
넘어온 것으로 제석천이 중심이 된 신중도의 간단 버전이다. 제석천 |
|
|
|
명부전 뒷쪽 언덕에는 독성각과 북극전이 있다. 이들은 경내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으로 |
|
|
|
▲ 비닐막을 씌운 북극전(北極殿) |
▲ 북극전의 주인, 칠성탱 |
북극전은 인간의 수명을 관장한다는 칠성(七星)의 보금자리로 귀에 많이 익은 칠성각(七星閣) |
|
|
|
▲ 칠성탱 옆에 자리한 산신탱과 산신상 |
▲ 독성각(獨聖閣) |
북극전과 나란히 자리한 독성각도 앞에 비닐막을 씌워 기도 공간을 늘렸다. 1칸짜리 맞배지붕 |
|
|
|
▲ 색채가 선명한 독성상과 독성탱 |
▲ 흥천사에서 적조사로 올라가는 길 |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1년 2월 18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21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서울 사진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가탄신일 기념 산사 나들이, 아차산 영화사 (영화사 미륵석불입상, 영화사에서 먹은 공양밥) (0) | 2021.06.06 |
---|---|
도봉산에 숨겨진 명소들 ~~ 귀록계산 바위글씨, 방학동사지, 북한산둘레길 방학동길, 윗무수골 나들이 (쌍둥이전망대, 자현암) (0) | 2021.03.28 |
서울의 동쪽 지붕, 아차산 나들이 (상부암 석보살입상, 아차산생태공원, 서울둘레길, 아차산성, 온달샘석탑) (0) | 2021.02.04 |
망우산 북쪽 능선에 자리한 망우산3보루와 망우산2보루 (망우산 정상 조망대) (0) | 2021.01.03 |
망우산 자락에 깃든 서울시립공동묘지, 망우리공원 (망우리묘지, 송촌 지석영선생묘) (0) | 2021.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