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늦여름 산사 나들이, 문경 운달산 김룡사 '
▲ 문경 김룡사
여름 제국이 서서히 내리막을 보이던 8월의 끝 무렵. 문경(聞慶)에 있는 운달산
김룡사를 |
|
♠ 김룡사 숲길, 해우소 |
|
김룡사 주차장(종점)에서 김룡사로 이어지는 숲길을 10분 정도 가면 홍하문 현판을 내건 일주 |
|
|
|
|
일주문을 지나 5분 정도 가면 김룡사입구 3거 |
|
요즘 전국적으로 둘레길과 온갖 도보길이 크게 |
|
|
솟을대문처럼 생긴 보장문은 김룡사의 2번째 문이다. 하지만 굳이 그의 밑도리를 지날 필요는 |
|
|
|
보장문을 들어서 오른쪽을 보면 고색에 깃든 맞배지붕 건물이 있다. 모습도 단촐하고 요상한 |
|
|
|
|
|
▲ 범종의 보금자리, 범종각(梵鍾閣) |
▲ 부처를 지키는 사천왕(四天王)의 |
|
|
|
|
▲ 하얀 피부를 드러낸 석조 사천왕상 |
|
▲ 운달산의 넉넉한 마음이 담긴 연꽃 석조(石槽) |
|
절에 왔으니 약수 한 모금은 마셔야 되겠지. 굳이 목이 마르지 않더라도 경내에 샘터가 있으 |
♠
김룡사 대웅전 주변 |
|
보제루는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2층 건물로 교육이나 설법(說法)을 하는 강당(講堂) |
|
|
|
보제루 옆구리를 통해
경내 중심부로 들어섰다. 뜨락을 중심으로 정면에 법당인 대웅전이 남 |
|
|
|
대웅전 뜨락 우측에
자리한 설선당은 예전 향응각(凝香閣)으로 경흥강원(慶興講院)이라 불리 |
|
|
|
▲ 조각이 아름다운 서쪽 노주석(露柱石) |
▲ 단촐한 모습의 동쪽 노주석 |
뜨락 남쪽에는 이쁘게
조각된 돌기둥 2기가 사람들의 시선을 붙잡는다. 그들의 정체는 노주석 |
|
|
고약했던 왜정 때
조성된 탓에 혹시 왜왕(倭王 |
▲ 서쪽 노주석에 새겨진 글씨들 |
|
|
|
남쪽을 바라보고 선
대웅전은 2중으로 된 석축 위에 높이 들어앉아 있다. 정면 3칸, 측면 3칸 |
|
|
|
영산회상도는 석가여래가
설법하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비단 바탕에 그려진 탱화로 높이 5.2 |
|
|
|
▲ 측면에서 바라본 대웅전의 위엄 |
▲ 종무소와 선방의 역할을 하는 해운암 |
|
|
1703년에 제작된 김룡사 영산회괘불도는 국가 보물 1640호로
지정된 비싼 몸이다. 비싼 만큼 |
|
|
♠ 김룡사 마무리 |
|
해운암 뒷쪽에는 고색이 제법 느껴지는 2층짜리 맞배지붕 건물이 있다. 그는 절의 살림살이와 |
|
|
|
응진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석가여래와 그의 열성제자인 16나한의 보금 |
|
|
임진왜란 때 파괴된 것을 다시 지었다고 하며
|
▲ 응진전 석가3존상 |
|
|
|
▲ 응진전 석조십육나한좌상 일괄 - 경북 지방유형문화재 512호 |
|
응진전 식구 중
16나한상과 제석천 2구, 사자(使者) 2구가 '석조십육나한좌상 일괄'이란 이름 |
|
|
|
|
|
▲ 극락전 아미타불과 아미타후불탱 |
▲ 상선원(上禪院) |
상선원은 이름 그대로
윗 선원으로 성철 등 많은 선승(禪僧)들이 머물던 곳이다. 허나 지금은 |
|
|
|
경내 동쪽 산자락에는
석불입상과 3층석탑이 숨겨져 있다. 경내에서 그곳까지는 산길이
살짝 |
|
|
|
|
|
▲ 소나무숲에 자리한 석불입상 - 경북 지방문화재자료 655호 |
|
김룡사 경내에서 가장 구석진
곳에 석불입상이 고적하게 자리해 있다. 8각형 기단 위에 연화 |
|
|
|
이렇게 김룡사를
둘러보니 1시간 반 정도가 정말 훌쩍 가버렸다. 나름 꼼꼼하게 봤다고 여겼 |
|
|
|
김룡사를 나와서
부속암자도 둘러보려고 했으나 버스 시간이 임박해 그만 발길을 돌렸다. 여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연락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2년 8월 26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 본인의 다음(daum) 블로그 ☞
보러가기
* 본인의 네이버(naver) 블로그 ☞
보러가기
Copyright (C) 2022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경상북도 사진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곡호국평화기념관 호국전시실 내부 (총쏘기 체험코너, 6.25관련 사진들) (0) | 2023.01.24 |
---|---|
경북 지역의 대표적인 6.25 전시 기념관, 칠곡호국평화기념관 (낙동폭포, 호국전시관) (0) | 2023.01.22 |
신라 왕릉의 백미급 무덤, 경주 괘릉 (경주 원성왕릉) (0) | 2022.07.14 |
봉화 닭실마을, 석천계곡, 청암정 여름 나들이 (충재박물관) (0) | 2021.08.26 |
우리나라 3대 용문사의 하나이자 화려한 늙은 윤장대로 유명한 예천 용문사 (용문사 성보박물관) (0) | 2021.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