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명동성당(명동대성당, 명동주교좌성당)의 뒷모습

명동 번화가 동쪽인 진고개 언덕에는 명동성당(명동대성당, 명동주교좌성당)이 고즈넉한 모습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 성당은 서울 및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성당이자 이 땅 최초의 성당 본당이며, 서울

사대문 내에 남아있는 성당 중 가장 늙은 존재이다. (약현성당과 원효로성당은 사대문 밖에 있음) 또

한 명동의 상징이자 백미같은 존재이며, 천주교 외에도 민주화운동과 민중들의 항쟁 장소로도 바쁘

게 살았다.

 

이 성당은 1898년에 지어졌다. 이곳은 천주교 신자인 김범우의 집이 있던 곳으로 1883년 블랑주교가

성당을 짓고자 '김가밀로'란 조선인 명의로 이 일대를 사들였다. 하지만 풍수지리에 따른 조선 조정과

의 갈등과 청일전쟁 등 여러 요인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1887년에 겨우 공사에 들어갔다. 허나 그

것도 여의치가 않았다가 1892년 파리외방전교회의 지원을 받아 1898년 5월 8일 드디어 완성을 보았다.

성당 건물은 코스트(E.J.G Coste, 고의선) 신부가 설계했으며, 많은 신자들이 무보수로 공사를 돕고

십시일반 공사비를 마련했다. 그렇게 성당 건축에 도움을 준 조선인 신자가 1,000여 명이며, 1898년

5월 29일 성모마리아를 수호성인으로 하여 축성식을 거하게 열었다.

 

그렇게 태어난 명동성당은 순수 고딕 스타일로 이 땅 최초의 벽돌 성당이다. 평면은 십자형이며, 본당

의 높이는 23m, 탑의 높이 46.7m, 성당 길이 69m, 너비 28m, 연건평 1,498평방미터에 이른다.

성당 건축에 쓰인 벽돌은 이 땅에서 만들어 충당했는데, 그 모양이 20여 종에 달한다. 붉은색 벽돌과

전통 재료인 전돌을 응용한 회색 벽돌 등 2가지 색의 벽돌을 썼으며, 내부가 고딕적인 분위기이나 구

조 체계와 공법은 로마네스크 양식에 가깝다고 한다.

 

명동성당은 처음에는 종현성당을 칭했다. 그러다가 왜정 때 명동 지역이 명치정이라 불렸고, 해방 이

후 가운데 '차'를 빼서 이곳 이름이 명동이 되었는데, 그 이름을 따라 명동성당으로 간판을 바꾸었다.

현재 이곳은 서울대교구 주교좌성당이며, 성당 북서쪽에 있는 천주교 서울대교구 역사관은 명동성당

에 딸린 예전 주교관으로 1890년에 지어졌다.

 

2. 지하묘역 성해실로 인도하는 동쪽 문

명동성당 뒷쪽 부분에는 지하묘역이 있다. 이곳에는 기해박해(1839년) 시절에 새남터에서 처단된 파

리외방전교회 선교사이자 제2대 교구장 앵베르(1796~1839) 주교와 샤스탕(1803~1839) 신부, 모방(

1803~1839) 신부, 김성우 안토니오(1795~1839), 최경환 프란치스코(1805~1839), 병인박해(1866년)

때 처단된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 푸르티에 신부와 프티니콜라 신부, 기해박해 때 처단된 에메렌시아

와 이름이 전하지 않는 사람 등 9명의 시신이 들어있다. 이중 기해박해 때 죽은 외국인 주교와 신부 3

명은 시신 일부만 있는데, 1901년 11월 2일 조선교구 제8대 교구장인 뮈텔 주교가 이곳에 봉안했다.

 

1991년 5월 29일 명동성당 축성 93주년을 기념해 지하묘역을 단장했는데, 유해 포장이 부식된 것을

새로 포장하여 바느질을 한 후, 봉인을 했다. 그리고 부식된 납관도 새로 교체해 모두 새 석관에 넣었

다. 그 석관들을 각 현실에 안치했고, 각 현실 입구에는 성인 및 치명자의 이름과 연대를 기록한 석판

을 두었다.

 

명동성당의 주요 성역과 같은 지하묘역 성해실은 예배를 하는 사람들로 늘 번잡하고 촬영 통제가 있어

서 내부 사진은 담지 않았다.

 

3. 지하묘역 성해실로 인도하는 서쪽 문

 

4. 명동성당의 두툼한 옆 모습 (서남쪽 부분)

 

5. 명동성당의 옆 모습 (서쪽 모습)

 

6. 명동성당 서쪽 문

 

7. 명동성당의 옆 모습 (북서쪽 모습)

 

8. 명동성당의 위엄 (북서쪽 모습)

명동성당 입구는 100번이 넘게 지나다녔지만 명동성당을 제대로 둘러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하지

만 가는 날이 통제된 날이라고 성당 사정으로 내부 접근이 통제되어 내부를 살피지 못했다. 그래서 나

중에 성당 내부도 싹 둘러볼 생각이다.

보통 지정문화재의 지위를 누리고 있는 늙은 성당들은 1층 예배공간만 개방할 뿐, 윗층과 종탑 부분

은 개방을 하지 않아서 올라간 적이 없다. 특히 명동성당이나 전주 전동성당처럼 키가 큰 성당들은 윗

층 부분이 무지하게 궁금하다.

 

9. 정면에서 바라본 명동대성당의 위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