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무등산 뒷쪽에 깃든 호남 가사문학의 성지,
광주 환벽당, 취가정, 담양 식영정 '
![]() |
|
▲ 환벽당 |
|
![]() |
![]() |
▲ 취가정 |
▲ 식영정 |
겨울 제국이 한참 위엄을 떨치던 새해의 첫 무렵, 덜 추운 날을 가려서 호남 가사문학의 |
♠ 사촌 김윤제의 별서로 송강 정철이 그의 후광을 받으며 몸을 일으켰던 곳 |
|
광주호의 동쪽 끝이자
광주와 담양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충효교 남쪽 언덕에 환벽당이 살짝 |
|
|
|
용소는 송강 정철(松江
鄭澈, 1536~1593)이 우연한 물놀이로 사촌 김윤제(沙村 金允悌, 1501~ |
|
|
|
![]() |
![]() |
▲ 활짝 열린 환벽당 정문(대문) |
▲ 환벽당으로 인도하는 돌계단이 |
|
|
환벽당은 충효동(충효마을)
출신인 사촌 김윤제가 1540년대에 지은 별서(別墅, 별장)이다.
그 |
|
![]() |
![]() |
▲ 서남쪽에서 바라본 환벽당 |
▲ 환벽당의 뒷모습 |
환벽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방 2칸과 마루를 지니고 있다. 처음에는 정 |
|
![]() |
![]() |
▲ 글씨가 몸을 푸는 것 같은 |
▲ 활짝 열린 방문과 주인이 가고 없는 |
|
|
환벽당을 받쳐들고 있는
석축 밑에는 3단으로 이루어진 화계(花階)와 네모난 연못이 누워있다 |
|
|
♠ 김덕령 장군의 원통한 넋을 기리고자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정자 |
|
담백한 풍경의 환벽당을 둘러보고 동남쪽으로 향하는 '환벽당길'을 3분 정도 들어가면 취가정 |
|
|
|
취가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방 1칸과 툇마루를 지니고 있다. 6.25때 파 |
|
![]() |
![]() |
▲ 송운회가 쓴 취가정 현판의 위엄 |
▲ 취가정 상량문(上樑文) |
|
|
|
♠
석천 임억령의 별서이자 정철이 지은 성산별곡의 무대 |
|
환벽당과 쌍벽이자 콤비를 이루고 있는 식영정은
1560년에 김성원이 장인인 석천 임억령(林億 |
|
|
|
![]() |
![]() |
▲ 장서각(藏書閣)과 고직사(庫直舍) |
▲ '송강 정철 가사의 터' 비석 |
![]() |
![]() |
▲ 태극마크가 그려진 성산사 정문(삼문) |
▲ 성산사(星山祠) |
성산사는 석천 임억령, 서창 조흡, 정철의 5대손으로 1721년부터 식영정을 지켜온 소은 정민 |
|
|
|
![]() |
![]() |
▲ 보면 볼수록 정감이 넘치는 식영정의 뒷모습 |
|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연락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2년 12월
15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 본인의 네이버(naver) 블로그 ☞
보러가기
* 본인의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 ☞ 보러가기
Copyright (C) 2022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p data-ke-size="size16">
'광주 사진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무등산 증심사, 약사암, 천제단, 봉황대 (0) | 2024.10.21 |
---|---|
광주 환벽당과 취가정, 담양 식영정 (0) | 2022.12.19 |
광주 무등산 옛길3구간, 충효동, 광주호 겨울 나들이 (풍암정, 원효계곡, 충효동요지, 충효동왕버들군) (0) | 2022.01.14 |
광주의 남쪽 변두리, 대촌동~칠석동 봄맞이 나들이 (괘고정수, 고씨삼강문, 칠석동은행나무, 고싸움놀이) (0) | 2020.03.27 |
광주 칠석동은행나무, 고싸움테마공원 (0) | 2013.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