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솔내음이 가득 서린 백련산 동쪽 능선길 (북쪽 방향)
2. 백련산 동쪽 능선 정상부에서 바라본 은평구 지역 (백련산 동쪽 전망대 뒷쪽)
회색빛 아파트 밭으로 무심히 변해가는 녹번동과 응암동 지역을 비롯해 은평구의 상당수 지역과 앵봉
산, 북한산(삼각산), 노고산 산줄기가 시야에 들어온다.
3. 백련산 동쪽 능선 정상부에서 바라본 녹번동과 북한산(삼각산) 산줄기 (백련산 동쪽 전망대 뒷쪽)
4. 백련산 삼각점 (백련산 동쪽 능선 정상부)
백련근린공원 바로 뒷쪽(동북쪽)에 자리한 백련산 동쪽 능선 정상부에는 삼각점과 문재인 전대통령이
기념 촬영을 했던 바위, 두 동강이 난 바위, 백련산 동쪽 전망대를 지니고 있다. 여기서 동쪽 전망대를
지나 동쪽으로 내려가면 통일로 허공에 걸린 산골고개 생태다리로 산골고개는 북한산(삼각산)과 백련
산을 이어주는 고개이자 서울에서 고양, 파주, 개성, 황해도, 평양, 관서지역(평안도), 요동반도로 넘어
가는 길목이다.
산골고개 생태다리를 통해 북한산 구역(북한산자락길, 탕춘대능선, 비봉능선, 북한산둘레길 등)까지
흔쾌히 접근이 가능하며, 산골고개를 사이에 두고 동쪽이 북한산 구역, 서쪽이 백련산 구역이다. (백
련산을 북한산의 일원으로 보기도 함)
5. 문재인 전대통령이 기념촬영을 했던 바위 (백련산 동쪽 능선 정상부)
백련산 밑 홍은2동에 살던 문재인 전대통령이 2017년 5월 여기서 기념 촬영을 했다. 바위의 이름은 아
직 없으나 여기서 바라보는 조망 맛이 아주 좋다.
6. 중간이 갈라진 가련한 바위 (백련산 동쪽 능선 정상부)
거북이나 물개처럼 생긴 바위가 앞쪽으로 기어가는 모습 같다. 그에게 주어진 이름은 없으나 바위 한
복판에 인위적으로 절단된 흔적이 있어 조금은 가련한 모습을 보인다. 그렇게 된 사연은 모르겠지만
풍수지리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왜정 시절에 백련산의 좋은 기운을 아작내고자 왜정이 절단했을
가능성도 있음)
7. 백련산 동쪽 능선 정상부에서 바라본 은평구 일대와 앵봉산, 노고산, 북한산(삼각산)
8. 백련근린공원 안내도
백련산 동쪽 능선이 서쪽으로 크게 휘어지는 홍은2동 주택가 뒷쪽에 백련근린공원이 닦여져 있다. 예
전부터 이곳 일대를 논골이라 불렀는데, 생태공원 스타일로 담백하게 꾸며진 작은 공원으로 다양한 꽃
과 수풀, 연못, 운동시설, 산책로, 쉼터를 지니고 있으며, 공원 북쪽 부분에 가수 성시경의 팬들이 나무
를 심어 조성한 성시경숲이 있다.
9. 백련근린공원 동쪽 산책로
10. 백련근린공원 동쪽 산책로 주변 (공원 동쪽 벼랑 윗쪽)
11. 공원 동쪽 벼랑 윗쪽에서 바라본 평화로운 모습의 백련근린공원 중심부
'서울 사진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평구의 남쪽 지붕인 백련산 정상부와 은평정, 백련산 서쪽 능선길 (백련산근린공원) (0) | 2023.07.25 |
---|---|
생태공원으로 조성된 홍은동 백련근린공원과 부드럽게 이어진 백련산 서쪽 능선길 (0) | 2023.07.20 |
은평구의 남쪽 지붕, 백련산에 들어서다 (홍은4거리에서 백련산 동쪽 능선까지) (0) | 2023.07.17 |
서울에서 4번째로 큰 공원이자 도심 속의 푸른 쉼터, 강북구 북서울꿈의숲 (칠폭지, 창녕위궁재사, 월영지, 청운답원, 전망대, 벽오산) (0) | 2023.07.02 |
북서울꿈의숲 아트센터, 전망대, 벽오산 (0) | 2023.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