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하얀 눈에 뒤덮힌 공주목 관아 혜의당공주 도심인 중학동 웅진로 동쪽에 옛 공주 고을의 관아 건물인 혜의당이 있다. 혜의당은 공주목을 다스리던 공주목사(현 공주시장)가 공무를 보던 곳으로 아주 옛날부터 있던 것이 아닌 1896년에 지어졌다.고약했던 왜정 시절, 왜정에 의해 공주 관아 건물 대부분이 파괴되고 겨우 혜의당만 남았으며, 공주군청 건물로 개조되어 1928년까지 살아갔다. 이후 충남도립병원(현 공주의료원)이 이곳에 들어서면서 병원 의사들의 숙소가 되었고, 그로 인해 원형이 많이 손상되었다. 그러다가 1971년 병원 증축 과정에서 허무하게 사라지고 만다.1984년 황새바위 밑에 복원 재현했으나 1986년 화재로 무너졌으며, 살아남은 초석을 수습해 1993년 웅진동에 복원했다.이후 2010년 공주..
1. 청원(청주) 두루봉동굴 유적 사진 청원 두루봉동굴 유적은 이 땅의 대표적인 구석기유적으로 꼽힌다. 이곳 역시 손보기 교수의 손을 거쳤는데, 석장리유적과 연천 전곡리유적, 단양 수양개유적만큼 중요한 곳임에도 발굴 이후 방치되어 크게 망가지고 만다. (석회암 광산으로 계속 쓰이면서 동굴 유적이 거의 아작났음) 2. 청원(청주) 두루봉 동굴 유적 안내문 3. 청원 두루봉동굴 유적 연구자료와 거기서 나온 뼈 예술품(사슴 정강이뼈) 4. 단양 상시 바위그늘유적 사진 이곳에서는 처음으로 구석기 사람의 뼈가 나왔다. (단양에는 매포읍 상시 바위그늘유적 외에 수양개유적, 금굴 유적 등의 구석기 유적이 있음) 5. '파른'이 무슨 뜻? 손보기 교수는 '파른'이란 호를 썼다. '파른'은 파란색을 뜻하는데 그 사연은 ..
* 공주 석장리 선사유적지 (석장리박물관) 금강 북쪽에 자리한 석장리 유적은 우리나라 구석기 유적의 1번지이다. 즉 이 땅에서 처음 발견되고 우리 손을 거친 구 석기 유적이다. 이곳이 처음 발견된 것은 1964년 봄으로 미국인 대학원생 엘버트모어(Albert Mohr)와 그의 부인 샘플( L.L Sample)이 부산 동삼동 조개더미 유적을 발굴하고 금강을 찾아 석장리 강변을 살펴보던 중 무너진 층에서 뗀석기 를 찾았다. 그것이 석장리 유적의 첫 세상 데뷔였다. 그는 연세대학교 사학과 손보기 교수와 그해 5월 21일 석장리를 다시 찾아 쌓임층이 무너진 곳에서 석기를 여럿 찾았고, 발굴허가를 정식으로 얻어 그해 11월 11일 연세대대학원 사학과에서 발굴조사를 시작했다. 하여 1965년부터 1974년까 지 연..
' 계룡산 나들이 (남매탑, 삼불봉, 천진보탑) ' ▲ 삼불봉에서 바라본 천하 계룡산 동쪽에 자리한 동학사(東鶴寺, ☞ 글 보러가기)를 둘러보고 홍살문 부근에 자리를 잡 아 속세에서 사온 김밥과 계란으로 점심을 때웠다. 고작 김밥 2줄과 계란 2개를 먹었지만 포 만감의 행복이 잔잔한 파도처럼 밀려와 우리를 희롱하려든다. 허나 우리는 그들의 희롱을 물 리치고 남매탑으로 서둘러 길을 재촉했다. 동학사에서 남매탑까지는 거의 40분 거리이다. 처음에는 경사도 완만하고 길 옆에 계곡도 흐 르지만 탑과 한발자국 가까워질 수록 각박한 속세살이처럼 경사가 힘겨워진다. 계곡 역시 어 디로 마실을 갔는지 보이지도 않는다. 인간으로서의 쓸데없는 자존심을 곱게 접어 하늘로 날려버리고 자연에 순응하며 묵묵히 길을 오르다보면 보..
' 계룡산 동학사(東鶴寺) '겨울의 제국이 스르르 그 기운이 다해가던 2월 하순 평일에 후배와 계룡산을 찾았다. 중악(中嶽)이라 불리며 신성시되오던 계룡산의 맑은 정기를 듬뿍 받고 싶은 마음에서였다. 저번 주만 해도 날씨가 겁나게 추웠는데, 이번 주는 은근히 포근하여 두꺼운 잠바에 의지할 필요가 없었다. 그래도 뫼에 오르면 좀 추우니 1단계 낮은 잠바와 장갑을 갖추어 길을 떠났다.서울고속터미널에서 유성행 고속버스를 타고 1시간 40분을 달려 대전(大田)의 부도심인 유성(儒城)에 이른다. 여기서 대전시내버스 107번(대전역~동학사)을 타고 다시 20분을 내달려 계룡산의 동쪽 관문인 동학사 종점(학봉리)에 이른다. 휴일 같으면 등산객들로 북새통을 이루겠지만 평일의 한복판이라 사람들은 별로 없다. 계룡산그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