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효사정에서 바라본 '조석견과 완성군 이귀정 묘역' 동작구 흑석동의 한복판이자 흑석시장 동쪽에 도시에 꽁꽁 둘러싸인 외로운 숲동산이 있 다. 바로 그곳에 조석견과 완성군 이귀정 묘역이라 불리는 오래된 무덤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완성군 이귀정(1454~1527)은 정종의 아들인 덕천군의 손자이다. 1506년 중종반정에 참여 해 익운공신이 되었으며, 완성군에 봉해졌다. 그의 후손들은 조선 중기 이후 소론파에서 크 게 활동했는데, 양명학을 연구해 강화학파를 이루기도 했다. 묘역 가장 윗쪽에는 완성군의 장인인 판관 조석견 부부의 묘가 있고, 그 밑에 완성군 부부묘, 그 밑으로 완성군의 2째 아들인 상산군 이계보, 상산군의 장남인 이억속의 묘, 이억손의 손 자인 이의의묘 등이 자리하고 있는데, 완성군의 장..

1. 효사정 서쪽 산책로 (심훈 문학길) 흑석동 효사정 정류장에서 효사정 서쪽 밑으로 이어지는 도보길이다. 길 북쪽에는 한강이 푸른 빛깔을 띄며 흐르고 있고, 남쪽에는 노량진과 국립서울현충원을 잇는 현충로가 펼쳐 져 차량들의 굉음이 두 귀를 끊임없이 때려댄다. 이 산책로에는 흑석동 출신의 문학가 심훈의 문학비와 학도의용군 현충비, 효사정 등의 명 소들이 있으며, 효사정은 산책로 동쪽에 솟은 강변 언덕 정상부에 자리하고 있다. 2. 학도의용군현충비 효사정 서쪽 밑에 학도의용군현충비가 자리하여 나그네의 옷깃을 잠시 여미게 한다. 6.25 시절 나라를 지키고자 책을 버리고 전쟁에 참가한 학도 의용군은 30만 명, 그중 직접 총을 들고 전방에서 싸운 사람은 5만 명 정도 된다. 전쟁에서 호국신으로 산화한 그들의..

1. 시육신묘의 어느 묘표(묘비) 사육신묘의 사당인 의절사 뒷쪽 숲에 사육신의 무덤이 있다. 박팽년과 성삼문, 유응부, 이개의 무덤을 비롯해 1978년 성역화 사업 때 추가로 넣은 하위지, 유성원, 이개의 가묘 등 모두 7기의 무덤이 있는데, 주인을 잃은 묘표 1기가 더 있어서 무덤이 1기 더 있던 것으로 여겨진다. 허나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으로 비석 피부가 크게 깎이고 글씨도 싹 지워지면서 묘표의 주인을 알 수 없게 되었는데, 박팽년, 성삼문, 이개와 같이 처단된 성승(성삼문의 부친)의 묘로 의심하기도 한다. 허나 비석이 말 을 해주지 않으니 정답은 딱히 없는 실정이다. 2. 솔내음이 그윽한 사육신묘 소나무숲길 3. 사육신묘 문인석 홀을 쥐어든 문인석 2기가 사육신묘 주변에 자리해 있다. 자세한 사..
' 국립 서울현충원, 동작충효길 산책 ' ▲ 국립현충원 6월 6일 현충일이 다가오면 거의 본능적으로 국립현충원(國立顯忠園, 국립 서울현충원)을 찾 는다. 그곳에 가족이나 친척이 있어서 가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애국심이 대단한 것도 아 니다. 다만 석가탄신일에는 그날 본능에 따라 절을 찾듯이 현충일에는 그에 어울리는 현충원 을 찾아 호국의 신으로 산화한 이들을 기리며 현충일의 분위기를 누리는 것 뿐이다. 현충원이 나라의 성스러운 공간이다 보니 나들이로 가는 것은 생각도 못할 뿐더러 그저 무덤 밖에 없는 재미없고 딱딱한 곳으로 여기는 사람이 많다. 서울에 살고 있어도 학생 시절 소풍 으로 간 것이 고작인 사람이 부지기수이며 그곳에 가자고 하면 거의 대부분 '현충원에 나들이를 가자고? 거기 뭐 볼 거 있어..
' 현충일 맞이 국립현충원(서울) 나들이 '▲ 호국지장사 지장전(지장보살입상)6월 6일 현충일이 다가오면 거의 본능적으로 국립현충원(國立顯忠園, 국립 서울현충원)을 찾는다. 그곳에 가족이나 일가친척이 있는 것도 아니요. 그렇다고 애국심 또한 대단한 것도 아니다. (애국심은 거의 없음) 다만 석가탄신일에는 그날 본능에 따라 절을 찾듯이 현충일에는그에 어울리는 현충원을 찾아 호국(護國)의 신(神)으로 산화한 이들을 기리며 현충일의 분위기를 누리는 것 뿐이다.현충원이 국가의 성스러운 공간이다 보니 나들이로 가는 것은 생각도 못할 뿐더러 그저 무덤밖에 없는 재미 없고 딱딱한 곳으로 여기는 사람이 지나치게 많다. 서울에 살고 있어도 학생시절 소풍으로 간 것이 고작인 사람이 부지기수이며 그곳에 가자고 하면 다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