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산골고개에 닦여진 산골고개생태연결로(생태다리) 통일로가 지나는 산골고개는 홍은동과 녹번동을 이어주는 고갯길로 고개 서쪽은 백련산, 동쪽은 북 한산(삼각산)이다. 은평구 지역과 고양시, 파주시, 양주시 서부 지역(장흥면)에서 서울 도심을 빠르 게 이어주는 고갯길이라 차량 통행이 오지게 빈번한데, 1972년 고갯길 확장으로 고개가 크게 깎였다. 이후 은평구에서 통일로로 분단된 산골마을과 양쪽 산줄기를 잇는 생태다리 건설을 추진하여 2015 년 4월에 완성을 보았으니 그 생태다리가 바로 산골고개 생태연결로이다. 그의 혜성 같은 등장으로 백련산에서 북한산(삼각산), 탕춘대능선까지 도보 접근이 한결 쉬워졌으며, 산골고개 동쪽 산자락에 북한산자락길 등 여러 산길이 새로 닦이거나 손질되었다. (3호선 녹번역 2..

1. 백련산 정상부, 은평정 백련산은 은평구와 서대문구 사이에 자리한 해발 215m의 뫼로 남쪽 자락에 안긴 백련사에서 그 이름 이 비롯되었다. 조선 때는 왕족과 사대부들이 여기서 매를 날리며 사냥을 했는데, 그 현장인 매바위가 산자락에 있어 '응봉'이란 별칭을 지니게 되었다. 그 매바위는 부암동 붙임바위, 인왕산 선바위 등과 함께 서울의 이름 난 바위로 명성을 누렸으나 1970년대 이후 개발에 눈이 뒤집힌 동네 사람들이 무식하게 폭파시키는 만 행을 저지르면서 어이 없이 사라지고 말았다. 백련산은 통일로에 접한 동쪽 능선을 빼면 산세가 거의 완만하며, 흥은4거리에서 동쪽 능선, 백련근린 공원, 은평정(백련산 정상)을 거쳐 백련산근린공원까지 환상적인 능선길이 이어져 있다. 동쪽 능선 정 상부에서 산골고..

1. 평화로운 모습의 백련근린공원 (공원 동쪽 벼랑 윗쪽에서 바라본 모습) 백련산 동쪽 능선이 서쪽으로 크게 휘어지는 홍은2동 논골에 백련근린공원이 뉘어져 있다. 다양한 장 미들이 뿌리를 내린 장미정원과 연못, 쉼터, 성시경숲을 지닌 상큼한 생태공원으로 공원 서쪽과 남쪽 은 주거지에 접해있고, 북쪽과 동쪽은 백련산 숲에 접해있다. 백련산에는 백련근린공원과 백련산근린공원 등 2개의 공원이 있는데, 백련근린공원은 홍은2동에 닦 여진 아랫 사진의 공원이며, 백련산근린공원은 백련산 서쪽 능선 일대와 백련사 주변에 씌워진 공원 이다. 2. 백련근린공원의 조그만 연못 녹음에 잠긴 수풀과 수초들이 생태연못의 분위기를 그려낸다. 3. 백련근린공원 산책로 4. 백련근린공원 동쪽 벼랑 대자연이 오랜 세월을 두고 빚은 잘생..

1. 솔내음이 가득 서린 백련산 동쪽 능선길 (북쪽 방향) 2. 백련산 동쪽 능선 정상부에서 바라본 은평구 지역 (백련산 동쪽 전망대 뒷쪽) 회색빛 아파트 밭으로 무심히 변해가는 녹번동과 응암동 지역을 비롯해 은평구의 상당수 지역과 앵봉 산, 북한산(삼각산), 노고산 산줄기가 시야에 들어온다. 3. 백련산 동쪽 능선 정상부에서 바라본 녹번동과 북한산(삼각산) 산줄기 (백련산 동쪽 전망대 뒷쪽) 4. 백련산 삼각점 (백련산 동쪽 능선 정상부) 백련근린공원 바로 뒷쪽(동북쪽)에 자리한 백련산 동쪽 능선 정상부에는 삼각점과 문재인 전대통령이 기념 촬영을 했던 바위, 두 동강이 난 바위, 백련산 동쪽 전망대를 지니고 있다. 여기서 동쪽 전망대를 지나 동쪽으로 내려가면 통일로 허공에 걸린 산골고개 생태다리로 산골..

1. 백련산 초록숲길 안내도 (백련산 홍은4거리 기점) 백련산은 서대문구(홍은동)와 은평구(녹번동, 응암동) 사이에 자리한 해발 215m의 조촐한 뫼이다. 오 래간만에 찾은 이번 백련산 나들이는 홍은4거리에서 시작하여 백련산 동쪽 능선, 백련근린공원, 백련 산 서쪽 능선, 백련산 정상을 경유하여 백련사로 내려갔는데, 백련산에 둘러진 초록숲길은 5.43km의 도보길로 백련산 주능선(동쪽 능선, 서쪽 능선)과 백련산 정상, 홍제천 천변길을 경유한다. 2. 백련산으로 인도하는 나무데크 계단길 (홍은4거리 기점) 홍은4거리 기점은 시작부터 각박한 계단길이 나타나 은근히 숨을 차게 한다. 이곳은 급한 경사와 벼랑 을 극복하여 길을 낸 것으로 쉼터 정자만 지나면 길은 다소 유순해진다. 3. 백련산 동쪽 자락에서 만..

1. 봉산 정상, 봉산 봉수대 2. 백련산에서 바라본 은평구 지역과 북한산(삼각산) 3. 백련산 능선길 4. 수국사에서 봉산 능선으로 이어지는 산길 5. 수국사 서남쪽 산자락에 자리한 체육시설과 쉼터 6. 봉산 능선길 (서울둘레길7코스) 7. 봉산 봉화정 8. 봉산 능선에서 남쪽으로 내려가는 능선길 (서울둘레길7코스) 9. 봉산 정상, 봉산 봉수대 10. 봉산 정상 조망대 11. 봉산 정상에서 바라본 망월산과 향동동 지역 12. 봉산 정상에서 바라본 은평구 북부 지역과 북한산(삼각산) 13. 봉산 정상에서 바라본 은평구 지역과 서대문구 지역 14. 봉산 정상, 봉산 봉수대 15. 수국사 서남쪽 산자락 쉼터와 운동시설 16. 백련산 동남쪽 능선에서 바라본 홍은동과 홍제동 지역, 인왕산, 안산 17. 백련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