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요염한 빛깔의 쇠소깍 효돈천 민물과 바다가 만나는 효돈천 하구에 자리한 쇠소깍은 좁은 협곡의 물줄기이다. 40~70만년 전에 화산이 뿜어낸 용암이 바다로 흐르면서 형성된 것이 효돈천으로 효돈천 일대에 차곡차곡 쌓인 조면암질 용암류가 오랜 세월 바다 파도의 태클과 바닷바람, 하늘이 내린 비 등을 고루고루 맞으며 지금의 쇠소깍이 이루어졌다. 쇠소깍 협곡의 길이는 320m 정도로 쇠소깍이란 이름은 효돈 지역의 옛 이름인 쇠둔(쇄둔)의 쇠(소) 와 웅덩이를 뜻하는 소, 그리고 강물이 바다로 흘러가는 하구 또는 끝부분을 뜻하는 깍이 합쳐져서 비롯된 것이다. 옛날에 용이 살았다고 해서 용연, 용소라 불리기도 했으며, 가뭄에 이곳에서 기우제 를 지내면 반드시 비가 왔다고 전한다. 현재 쇠소깍은 제주도의 주요 명..

1. 하효동 쇠소깍 해신당 쇠소깍 서쪽 숲에 자리한 해신당은 돌로 다진 길쭉한 제단이다. 하효동 지역 해녀들이 오랫동안 무 사안녕과 풍성한 어로를 기원하던 곳으로 음력 매월 3일과 8일에 제를 지냈는데, 이곳에 봉안된 해 신은 용녀부인(요왕또)으로 제단 옆에 높이 솟은 나무를 신목으로 삼고 있다. 2. 쇠소깍에 뜬 전통뗏목(테우) 효돈천 민물과 남해바다가 만나는 효돈천 하구에 자리한 쇠소깍은 320여m의 좁은 협곡이다. 협곡 사이로 수심이 깊은 푸른 물줄기가 흐르고 있어 예로부터 하효동 사람들이 바다로 나가는 포구로 사 용했는데, 지금은 지형적인 잇점을 살려 관광객을 상대로 전통뗏목과 카약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 여 단단히 재미를 보고 있다. 카약은 2~3명이서 카약용 배를 빌려서 알아서 배를 저어 뱃놀..

1. 효돈천의 비경, 쇠소깍 효돈천 하구에 자리한 쇠소깍은 320m 정도 펼쳐진 좁은 협곡으로 수심이 깊은 푸른 소(못)와 주름 진 높은 벼랑, 그리고 숲이 어우러진 달달한 경승지이다. 쇠소깍은 쉐소(쇠소)의 끝 또는 꼬리를 뜻하는 제주도 사투리로 쉐소는 '쉐둔의 소'를 뜻하며, '깍'은 꼬리나 끝을 의미한다. 쉐둔은 효돈천 하류 동네인 효돈동의 옛 이름으로 소를 모아 두던 곳이란 뜻 인데, 한자로 '우둔'이라 했다가 18세기 중후반에 효돈으로 이름이 갈렸다. 이곳은 바다와 한라산에서 내려온 민물이 어우러진 곳으로 한라산이 화산으로 한참 몸을 풀던 시절 용암이 지나가 효돈천이 생겨났으며, 상류에서 내려온 토사와 하천 물줄기, 거기에 거친 바닷바람까 지 하천 주변을 오랜 세월 쪼아대면서 지금의 쇠소깍이 형..

1. 하례로에서 바라본 효돈천과 한라산 (쇠소깍다리 남쪽) 울퉁불퉁한 현무암 회색 피부의 효돈천 너머로 한라산이 흐릿하게 시야에 들어온다. 효돈천은 한라 산 백록담에서 발원하여 한라산 동남쪽 자락과 영천악 주변을 거쳐 쇠소깍을 통해 바다로 흘러가는 13km에 하천으로 제주도에 아주 흔한 현무암 건천이다. 2. 효돈천 쇠소깍 북쪽 부분 쇠소깍다리 이남부터는 효돈천 협곡이 제법 깊어지고 물줄기도 그만큼 멀어진다. 저 주름진 협곡을 내려가야 비로소 효돈천의 수분을 만질 수가 있다. 게다가 쇠소깍 일대는 국가 명승 보호구역이고 협 곡 벼랑이 높고 울퉁불퉁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있다. 3. 효돈천 쇠소깍 동쪽을 지나는 하례로 쇠소깍 서쪽에는 제주올레길6코스가 지나는 2차선 쇠소깍로가 있고, 동쪽에는 1차선 크기의 ..

1. 효돈천 서쪽 산책로 (쇠소깍로) 효돈천은 한라산 백록담에서 발원하여 한라산 동남쪽 자락을 거쳐 남해바다로 흘러가는 13km에 하천이다. 선덕사와 효명사를 지나는 계곡이 효돈천의 최상류로 원앙폭포를 빚은 돈내코계곡도 효 돈천에 적지 않게 수분을 보탠다. (영천악 남쪽에서 이들 물줄기가 하나로 합쳐짐) 제주도는 현무암 피부라 물을 대부분 잡아먹는 습성이 있는데, 그러다보니 제주도의 하천과 계곡 상당수는 늘 메마른 모습을 보인다. 효돈천 역시 같은 처지로 상류 부분(돈내코 등)과 하류(효례교 ~쇠소깍) 부분 일부에 수분이 모여있다. 효돈천의 옛 이름은 영천천으로 이는 영천악(274m, 서귀포 상효동) 옆을 지나서 붙여진 것으로 보 인다. 조선 후기에 제작된 '조선지형도'에는 효돈천으로 나와 조선 후기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