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치악산 산주름에 고적하게 깃들여진 보문사 치악산 주능선 중간에 솟은 향로봉(1041m) 서쪽 자락 660m 고지에 보문사가 포근히 깃들여져 있 다. 이곳은 신라 경순왕 시절에 무착이 창건했다고 전하는데, 이를 입증할 기록과 유물은 없는 실정 이며, 창건 이후 조선 중기까지 적당한 사적도 전하지 않는다. 다만 경내에 고려 후기 것으로 보이는 청석탑이 전하고 있어 적어도 고려 중기 이후에 창건된 것으로 여겨진다. 1592년 임진왜란 때 파괴된 것을 중창했다고 하며, 그때 관세음보살을 봉안하고 신행결사도량으로 삼아 절 이름을 보문련사라 했다고 한다. 또한 이곳이 국형사(아랫고문절)의 위쪽이라 ‘웃고문절’이 란 별칭도 지니고 있었다. 1930년에 강상준이 중건하고, 1971년 주지인 이백련화가 중창하여 지..

1. 겨울에 잠긴 치악산 보문사 국형사에서 고문골길을 따라 30~40분 정도 오르면 해발 660m 고지에 자리한 보문사가 모습을 비춘 다. 치악산 주능선 중간에 솟은 향로봉(1,041m) 서쪽 자락에 외롭게 깃들여진 보문사는 신라 경순왕 시절에 무착이 창건했다고 전한다. 아마도 무착이 국형사와 같이 지은 모양이다. 하지만 이를 입증할 기록과 유물은 없으며, 창건 이후 조선 중기까지 적당한 사적이 전하지 않는다. 다만 경내에 고려 후기 것으로 보이는 청석탑이 전하고 있어 적어도 고려 중기 이후에 창건된 것으로 여겨진다. 1592년 임진왜란 때 파괴된 것을 중창했다고 하며, 그때 관세음보살을 봉안하고 신행결사도량으로 삼아 절 이름을 보문련사라 했다고 한다. 또한 이곳이 국형사(아랫고문절)의 위쪽이라 ‘웃고문..

1. 향로산(향로봉)의 백미, 향로봉 정상에서 바라본 서쪽 방향 향로봉에서 가장 갑 풍경으로 추앙을 받는 현장이다. 산 밑으로 금강과 함께 내도리(앞섬 마을, 전도마을) 지역이 펼쳐져 있는데, 금강이 내도리 지역을 크게 감싸며 흘러가는 이른 바 물돌이 지형이다. 이렇게 크게 도는 물줄기를 어려운 말로 감입곡류라 하는데, 안동 하 회마을과 예천 회룡포가 대표적으로 거의 섬과 비슷한 모습이라 '도(島)'자를 붙이는 경우 가 많았다. (1388년에 이성계가 일으킨 위화도회군의 위화도는 단동 북쪽에 3면이 강에 접한 곳임, 절대로 압록강에 있는 섬이 아님) 금강이 내도리를 거의 350도 감싸며 흐르며, 서쪽 부리면 방향으로만 산줄기가 가늘게 이 어져 있는데, 그 부분만 파버리면 이곳은 완전 섬이 되버린다. 곡류..

1. 무주 향로산(향로봉) 북쪽 능선길 향로산(향로봉)은 해발 421.5m(또는 420m)의 뫼로 무주읍의 북쪽 지붕이다. 산의 모습이 마치 향로처럼 생겨서 향로봉, 향로산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는데, 노산, 상무산 등의 별 칭도 가지고 있다. 산 서쪽과 서북쪽에는 금강이 흐르고 있는데, 금강과 맞닿은 쪽은 경사가 급하며, 산 정상 에는 기우단이 있었고, 남쪽 봉우리(봉수정이 있는 봉우리)에는 봉수대가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 산에 안긴 명소로는 북고사와 칠암소가 있으며, 북쪽 자락에는 향로산자연휴양림이 넓게 자리하고 있다. 그리고 금강 너머로 예천 회룡포나 안동의 하회마을 비슷한 지형이 펼쳐져 있는데, 금강이 크게 굽이치는 곳으로 거의 350도가 금강에 접해있고, 서쪽에 아주 살짝 부리면으로 이어지는 산..

1. 북고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북고사 극락전의 주인장인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1657년에 조성된 조선 중기 불상이다. 그의 뱃속에서 나온 1736년 발원문과 1928년 중수 발원문에 의하면 1657년 4월에 만들기 시작해 5월에 완성을 보았으며, 처음에는 덕유산 운수암 극락전에 봉안했다가 1736년 경 월사(현 북고사)로 가져왔다. 그리고 그해 3월 21일 중수 개금을 위해 잠시 적상산 안국사 보월전으로 옮겨져 손질을 받 다가 경월사로 돌아왔고, 1928년 다시 개금을 받았다. 보통 아미타불은 좌우로 협시보살상을 두어 아미타3존상이나 아미타3존불을 이루기 마련 이나 이곳 아미타불은 원래부터 홀로 있던 것으로 보이며, 전라도에서 주로 활동했던 숭일 을 수화사로 하여 처영, 도잡 등이 조성했다. 목조 대좌 위..

1. 무주읍내에서 북고사, 향로산으로 인도하는 수리재 고갯길 무주읍내 북쪽에는 향로산(향로봉, 421.5m)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다. 향로산에 깃든 북고 사를 찾으려면 수리재 고갯길을 넘어야 되는데, 수리재를 넘어 북고사입구에서 동쪽 북고 사길을 오르면 그 길의 끝에 북고사가 있다. 2. 수리재에서 바라본 무주읍내 (남쪽 방향) 칼처럼 솟은 뫼들 사이에 포근히 뉘어진 무주읍내가 평화롭게 시야에 들어온다. 3. 북고사입구에 자리한 석조관세음보살입상 수리재를 넘으면 북고사입구3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오른쪽 길(북고사길)로 들어서면 북 고사로 참하게 생긴 석조관세음보살상이 이곳까지 마중을 나왔다. 4. 북고사로 이어지는 1.5차선 크기의 북고사길 북고사입구에서 북고사길을 9~10분 정도 들어가면 향로산 북고사..
' 북한산둘레길 내시묘역길~마실길~구름정원길 나들이 ' ▲ 마실길에서 만난 은행나무숲길 ▲ 경천군 이해룡 사패지 송금비 ▲ 마실길 느티나무 여름이 막 기지개를 켜던 6월의 첫 무렵, 천하 둘레길의 성지(聖地)로 격하게 추앙받는 북한산둘레길을 찾았다. 이번 둘레길 산책은 북한산성입구에서 시작하여 내시묘역길, 마실길, 화의군묘역, 구름 정원길 북쪽 구간을 거쳐 불광2동에서 그 끝을 맺었다. 이미 여러 번 인연을 지은 곳이 지만 내 마음을 적지 않게 앗아간 곳 중 하나라 그 마음을 찾으러 다시 그들을 찾은 것 이다. 탐방밀도 1위(1㎢당 5만여 명)로 세계 기네스북에도 당당히 올라있는 북한산(삼각 산) 탐방객의 절반 정도가 둘레길 방문자라고 하니 그의 인기가 실로 어마어마하다. ♠ 북한산둘레길 내시묘역길 진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