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광양 동백꽃 나들이 (백계산 옥룡사터, 동백나무숲) '

▲  동백숲에 둘러싸인 광양 옥룡사터


 

봄이 겨울 제국(帝國)을 몰아내고 하늘 아래를 파릇파릇 수놓던 4월 첫 무렵에 전남 광양(光陽)
땅을 찾았다.

아침 일찍 부산서부(사상)터미널에서 광양행 직행버스를 탔는데, 광양과 동광양(東光陽)으로 출
근이나 출장, 통학하는 사람들로 만석을 이룬다. 그렇게 자리를 몽땅 채우고 남해고속도로를 질
주해 섬진강휴게소에서 잠시 바퀴를 접고, 동광양을 거쳐 부산 출발 약 2시간 20분 만에 광양터
미널에 이른다.

광양 땅은 나와 지지리도 인연이 없는 곳으로 2001년 이후 10여 년 만에 와본다. 오랫동안 눈길
조차 주지 않아 미안한 마음이 가득 들지만, 서울과도 거리가 멀고 인연 또한 잘닿지 않으니 나
로서는 어찌할 도리가 없다. 그래도 이번에 옥룡사터와 동백림을 목표로 왔으니 광양 땅도 서운
함을 어느 정도 잊어 줄 것이라 믿는다.

터미널 바깥 시내버스 정류장(옛 광양역 앞)에서 옥룡 방면 시내버스를 타면 되는데, 마침 옥룡
면 논실로 가는 버스가 1분 뒤에 온다고 정류장 전광판에 뜬다. 읍내에서 추동 방면은 거의 50~
60분 간격으로 다녀 시간표를 따로 확인하지 않고 왔는데, 이처럼 시간이 딱 맞아떨어지니 이보
다 기쁜 것이 없다.
이윽고 논실로 가는 광양시내버스 21-3번이 들어와 활짝 입을 연다. 광양5일장의 영향으로 버스
는 오전부터 노공(老公)들을 가득 태워 만차의 기쁨을 누리며 읍내를 벗어나 옥룡면으로 달린다.

백운산 남쪽에 펼쳐진 옥룡면(玉龍面)의 산하를 가로질러 어느덧 추동에 이른다. 여기서 북쪽으
로 가면 옥룡사터 입구와 백운산자연휴양림이며, 동쪽으로 다리를 건너면 동곡계곡과 백운산(白
雲山)으로 이어진다. 나야 목적지가 옥룡사터이니 북쪽으로 길을 잡는다.


♠  옥룡사 동백나무숲 - 천연기념물 489호

▲  운암사 입구에서 바라본 백계산
(중앙에 보이는 금빛 물체가 운암사 약사여래불)

추동마을에서 북쪽으로 6분 정도 걸으면 운암사 입구이다. 여기서 동북쪽을 보면 금빛을 비추는
커다란 불상이 두 눈을 놀라게 하는데, 바로 그곳에 운암사가 있다. 그곳을 거쳐 동백림과 옥룡
사로 가도 되지만 나의 머리 속에는 운암사에 대한 정보가 없었다.

운암사 입구에서 5분 정도 올라가니 옥룡사터 입구이다. 여기서 이정표의 지시로 오른쪽으로 들
어서면 주차장과 해우소(解憂所)가 나오고, 그 뒤로 옥룡사터로 올라가는 오솔길이 나온다. 이
길은 수레가 마음 놓고 절터까지 들어갈 수 있게끔 잘 닦여져 있지만 중간에 볼라드를 설치하여
4발 수레의 통행을 막고 있었다. 어차피 절터까지 거리도 얼마되지 않고, 문화유산 보호 및 동
백림의 건강을 위해서라도 그렇게 하는 것이 100번 지당하다.

근래에 둘레길 유행에 따라 주차장에서 옥룡사터를 거쳐 백계산 정상 입구인 금목재까지 이어지
는 산길에 '도선국사 천년숲길(둘레길)'이란 이름을 붙었다. 옥룡사에 딱 어울리도록 말이다.


▲  봄에 완전 물들어진 옥룡면의 산하 (옥룡사터 입구 주변)
고요하고 목가적(牧歌的)인 시골 풍경에 속세에서 오염되고 상처받은 두 안구는
싹 정화되고 마음도 조금씩 평안을 누린다. 봄이 한참 붓질을 하고
지나간 천하는 싱그러운 녹색의 세상이다.

▲  옥룡사터 입구 주차장에서 만난 벚꽃

▲  순백의 아름다움으로 봄에게 보답하는 배꽃의 위엄
광양 땅이 오랜만에 찾은 나에게 보답 차원에서 봄꽃 구경을 시켜주는 모양이다.

▲  옥룡사 동백나무숲 바로 직전 (수레의 통행을 막는 볼라드의 위엄)

주차장에서 별로 급하지 않은 오르막길을 7분 정도 가면 속인(俗人)들의 농가가 끝나면서 푸르
게 우거진 동백나무 숲이 진하게 모습을 드러내 마음을 설레게 한다. 혹여 건방진 수레의 발길
을 막고자 길 가운데를 버티고 선 철기둥(볼라드)을 지나면 본격적인 동백나무 숲에 들어서게
된다.


▲  옥룡사 동백나무숲길 (1)
동백나무와 속인들의 경작지가 숲길을 사이에 두고 팽팽히 경계를 이룬다.

▲  옥룡사 동백나무숲길 (2)

▲  옥룡사 동백나무숲길 (3)
이제 완전하게 동백나무 숲에 들어섰다. 친겨울 성향이 강한 동백은 겨울부터
4~5월까지 순홍(純紅)의 아름다움을 드러낸다.

▲  옥룡사 동백나무숲길 (4)

▲  옥룡사 동백나무숲길 (5) - 옥룡사터를 코 앞에 둔 지점

옥룡사터를 넓은 바다의 외딴 섬처럼 꽁꽁 둘러싼 옥룡사 동백나무숲은 백계산(白鷄山) 남쪽 자
락에 자리한다. 옥룡사터 주변과 운암사 북쪽까지 펼쳐진 이 숲은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동백나
무 군락지로 옥룡사를 세운 도선국사(道詵國師)가 땅의 기운이 약한 것을 보완하고자 비보풍수(
裨補風水)의 일환으로 동백을 심어 숲을 조성했다고 전한다.
허나 도선대사 시절만큼 오래된 동백나무가 하나도 남아있지를 않아 그가 과연 조성했는지는 의
문이다. 하지만 이곳을 메운 동백은 100년에서 수백 년 이상 묵은 것들로 초창기 동백들이 계속
후손을 뿌린 것으로 보이며, 계속해서 씨를 주변에 내려 보내 7,000여 그루의 나무가 15만㎡의
장대한 숲을 이루었다. 나무의 높이는 5~6m, 줄기는 20~40cm에 이른다.
남부지방 사찰 동백나무숲의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어 '광양 옥룡사 동백나무숲'이란 이름으로
천연기념물 489호
의 지위를 얻었으며, 산림청에서 정한 제7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함께
나누고픈 1,000년의 숲'으로 선정되어 아름다운 공존상(우수상)을 받기도 했다.

우리나라 동백숲의 성지(聖地)로 동백이 전성을 누리는 3~4월에는 아름다움이 절정을 이루어 속
인들의 눈과 마음을 완전히 앗아가 돌려줄 생각을 않는다. 제아무리 어여쁜 미녀라 한들 순홍의
동백 앞에서는 두 다리 달린 동물에 불과할 것이다.


▲  옥룡사터 샘터

동백나무 숲을 지나면 옥룡사터가 모습을 드러낸다. 그 절터 밑에는 약수터가 있어 이곳을 찾은
속인들의 갈증을 해소시켜준다. 백계산이 베푼 약수로 네모난 석조(石槽)에는 언제나 물이 넘쳐
흐르는데, 가뭄 때도 마르지 않는다고 한다.
이 샘터는 옛 옥룡사의 샘터로 근래에 정비되었으며, 옛날 광양고을의 사또가 즐겨 마셨다고 전
한다. 그만큼 물맛이 좋다는 뜻인데, 동백의 향기나 기름이 첨가되서 그런 것일까? 허나 마셔보
니 딱히 다른 맛은 없어 보이며, 옛날에는 약수에서 숯가루가 많이 나왔다고 한다.


▲  연꽃들의 와신상담(臥薪嘗膽)의 현장 - 옥룡사터 연못
동백의 향연이 끝나면 연꽃이 그 자리를 대신해 9월까지 화려한 연(蓮)의 향연을 펼친다.
그 이후에는 늦가을의 향연이 펼쳐지고, 그것이 끝나면 바로 동백의 시대가 열린다.
옥룡사터는 1년 내내 대자연이 베푸는 향연(饗宴)의 장인 것이다.


♠  도선국사가 창건하여 머물던 유서 깊은 고찰, 지금은 동백나무 속에
터만 남아 옛날의 영화를 아련히 들려주는 백계산 옥룡사(玉龍寺)
- 사적 407호

광양의 듬직한 진산(鎭山)인 백운산(1228m), 그의 남쪽을 이루고 있는 백계산(505m) 서남쪽 자
락에 동백숲에 감싸인 옥룡사터가 조용히 웅크리고 있다. 옥룡사는 864년에 도선국사(827~898)
가 창건한 것으로 그가 세운 것이 100% 확실한 천하에 몇 안되는 절로 의미가 대단한 곳이다.

그는 동리산 태안사(泰安寺, ☞ 관련글 보러가기)를 찾아가 혜철대사(惠徹大師)에게 선종(禪宗)
을 배웠고, 운봉산(雲峯山)과 태백산(太白山)에 들어가 불도를 닦다가 백계산에 들어오게 되었
다. 이곳에 오니 풍경이 그야말로 그윽한지라 '지네가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형국이요, 닭이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이라 극찬하며 여기서 평생 머물기로 작정하고 864년에 옥룡사를 짓고 정
착했다. 그리고 스스로를 옥룡자(玉龍子)라 칭하며 절 이름도 옥룡사라 했는데, 여기서 34년을
머물다가 898년 71세의 나이로 입적했다.
그가 열반에 들자 신라 효공왕(孝恭王)은 요공선사(了空禪師)란 시호를 내렸고, 고려 태조(太祖
) 왕건의 스승이었던 인연 탓에 숙종(肅宗, 재위 1095~1105)은 대선사(大禪師)에 왕사(王師)의
호를 추가했다. 그리고 인종(仁宗, 재위 1122~1146)은 선각국사(先覺國師)로 추봉(追封)했으며,
의종(毅宗, 재위 1146~1170)은 그의 비석까지 세웠다.

도선이 이곳에 들어왔을 때 절터에는 연못이 있었는데, 그 안에 9마리(또는 2마리)의 용이 살고
있었다. 그는 이곳에 절을 세우고자 하니 다른 곳으로 가라고 요구했다. 그러자 용 8마리는 <2
마리 전설에서는 황룡(黃龍)이 응해줌> 별말없이 응하려고 했으나 백룡(白龍)이 크게 반발하며
대들자 열받은 도선이 활을 쏘아 그의 왼쪽 눈을 맞추니 (또는 지팡이로 두들겨 팼다고 함) 백
룡은 인근 구룡소(九龍沼)로 도망쳤다. (다른 전설로는 용 9마리가 이곳에 머물며 인근 백성들
을 괴롭히자 도선이 그들을 몰아냈다고 함)
이들 전설을 통해 옥룡사 자리에는 토착신앙이나 다른 종교가 들어와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걸
도선이 들어와 그들과 일종의 싸움을 벌여 그 자리를 차지하거나 그들을 설득하여 불교의 일원
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백룡으로 상징되는 존재가 비협조로 일관하자 일종의 폭력으로 그를 강제
로 추방시킨 것으로 보인다. 그걸 적당히 전설로 다듬어서 창건설화로 삼은 것이다.

용을 몰아낸 도선은 연못을 메우고자 속세에 안질(眼疾)을 널리 퍼뜨렸다. 그리고 연못에 숯 한
덩이를 넣고 그 물로 눈을 씻으면 낫는다는 이야기를 퍼뜨리자 사람들이 몰려와 숯을 넣고 눈을
씻으면서 금세 연못이 메워졌다고 하며, 바로 그 자리에 옥룡사를 세웠다는 것이다.
이 전설은 당시 무척이나 혼란스러웠던 신라 후기 상황을 이용해 창건 시주를 하면 복을 받는다
는 식으로 말을 퍼뜨려 얻은 재원으로 창건한 것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숯을 넣어 눈을 씻는다
는 것은 시주금이나 집을 지을 때 땅 속에 묻는 숯을 제공하면 도선이 법문을 주거나, 예불 관
련 의식을 제공하거나, 절을 하고 소망을 빌었다는 뜻으로 보면 될 듯 싶다. 참고로 예전 옥룡
사 샘터에서 숯가루가 종종 섞여 나왔다고 한다.

그렇게 옥룡사를 세운 도선은 차밭을 일구어 차(茶)를 참선 수행에 사용토록 했고, 절터의 기운
이 약한 것을 채워주고자 동백나무를 심어 숲을 조성했다고 한다. 또한 그가 이곳에 머물며 명
성을 떨치자 많은 사람들이 몰려와 제자 되기를 청했으며, 이때 '옥룡사파(玉龍寺派)'란 지파(
支派)까지 생겨났다고 한다. 사람들이 얼마나 몰려왔는지 그들을 수용하고자 동백림 동쪽에 별
도로 운암사를 세웠다고 한다.

898년 도선이 입적하자 부도와 탑비를 만들어 모셨는데, 그의 제자인 경보대사(慶甫大師, 동진
대사)가 도선의 법맥(法脈)을 이어 옥룡사를 지켰고 그 또한 이곳에 뼈를 묻었다.
도선은 죽음에 임할 때 '백(白)씨 성을 가진 애꾸눈 중을 들여서는 안된다' 유언을 남겼다고 한
다. 19세기까지 그런데로 법등(法燈)을 유지하던 옥룡사는 1878년에 화재를 만나 완전히 망하고
말았는데, 이는 그 당시 백암(白庵)이란 애꾸눈 승려가 들어와 그리 되었다고 한다.

절이 망할 때 용케도 살아남았던 도선국사와 경보대사의 부도와 비석도 1920년을 전후하여 장대
한 세월의 태클과 무지한 이들의 테러로 모두 파괴되어 넘어졌으며, 비석의 내용마저 크게 훼손
되어 내용을 알기가 어려워졌다. (조선금석총람에 다행히 비문의 내용이 있음)

이후 순천대 박물관에서 절터 일대를 조사하면서 도선과 경보대사의 부도 자리와 비석 자리, 건
물터, 석탑의 부재(部材), 깨진 비석 조각 90여 점을 발견했으며, 도선의 것으로 보이는 유골과
그 유골을 안장한 것으로 보이는 석관(石棺)이 발견되어 신라 후기 고승(高僧)의 장례 풍습을
알게 해주었다.
발굴을 마치고 절터에 풀을 입혀 산듯하게 정비했으며, 약수터 동쪽에 문화유산해설사가 머무는
안내소를 만들어 필요할 때는 그의 해설을 들을 수 있다. 현재 절터에는 건물터와 석탑의 부재
등이 남아있고, 운암사로 넘어가는 길목에 근래에 복원된 도선국사와 경보대사의 부도/탑비가
있다. 또한 그 남쪽에는 운암사가 있어 옥룡사터를 지키고 있다.

절은 없고, 전설과 역사, 황량한 절터만 남아 속인들의 상상을 무한대로 살찌우는 옥룡사터, 동
백의 그윽한 향기가 절터의 허전함을 보듬어주며, 내가 가본 수많은 절터 가운데서도 꽃밭에 둘
러싸인 천하 제일의 동백꽃 명소이자 행복한 자리가 아닐까 싶다.

※ 옥룡사터, 옥룡사 동백나무숲 찾아가기 (2015년 4월 기준)
① 광양까지
* 서울 남부터미널에서 광양행 고속버스가 1일 7~8회 떠난다.
* 동서울터미널에서 광양행 고속버스가 60~90분 간격으로 떠난다.
* 부산(사상)에서 광양행 직행버스가 40~90분 간격으로 떠난다.
* 인천, 부천, 수원, 성남, 안산에서 광양행 직행버스 이용
* 대전(복합), 대구(서부), 광주, 진주, 마산, 여수에서 광양행 직행버스 이용
* 부전역, 창원역, 마산역, 진주역, 광주송정역에서 경전선 열차를 타고 광양역 하차, 운행횟수
  가 별로 없으며(편도 1일 4회 이내) 역에서 광양터미널까지 버스나 택시로 나와야 된다.
* 순천시내(삼산동, 순천대, 순천터미널, 순천역)에서 77, 777번 시내버스를 타고 광양터미널
  종점 하차
② 현지 교통
* 광양터미널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21번 시내버스를 타고 옥룡사 입구 하차 (1일 5회 운행) 옥
  룡사터까지 도보 15분 / 21-2, 21-3번 버스를 타고 추동 하차 (1일 13회 운행), 추동에서 옥
  룡사터까지 도보 25분
③ 승용차 (옥룡사터와 운암사에 주차장 있음)
* 남해고속도로 → 광양나들목을 나와서 광양읍내로 우회전 → 우시장4거리에서 우회전 → 옥룡
  입구에서 우회전 → 옥룡면사무소 → 추동에서 직진 → 옥룡사터 또는 운암사

* 도선국사 천년숲길(둘레길)은 옥룡사터 주차장에서 옥룡사터를 거쳐 백계산 정상과 금목재를
  지나 백운산자연휴양림에 이르는 약 7km의 산길이다. (백계산 정상은 둘레길 범위 아님)
* 옥룡사터 소재지 -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추산리304-1 (백계1길 71 ☎ 061-762-3578)

▲  복원된 도선국사, 경보대사 탑/탑비

▲  언덕 너머로 보이는 운암사 약사여래불


♠  전설의 옥룡사터 둘러보기

▲  잡초에 묻힌 옥룡사터 앞부분

남쪽을 바라보며 자리한 옥룡사터는 제법 넓은 규모이다. 찬란했던 절이 화마(火魔)의 좋은 먹
이가 되어 끔찍하게 유린당했던 1878년의 대혼돈을 간직한 절터에는 받쳐들 대상을 상실한 채,
막연히 하늘을 이고 있는 주춧돌과 석축이 고개를 내밀며 세월을 원망한다. 봄의 기운을 받아
성장한 잡초들은 옥룡사의 그 아픔을 덮고자 절터를 푸르게 수놓으며 그 허전함을 약간이나마
달래준다.

절터는 남쪽이 낮고 북쪽이 높은 형태로 남쪽에는 천왕문이나 중요성이 낮은 건물이 포진해 있
었을 것이고, 중간 부분에 법당(法堂)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뒤쪽에 삼성각(三聖閣)이나
도선국사와 경보대사의 영정을 봉안한 일종의 영각(影閣)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터
만 앙상하게 남았을 뿐, 건물터의 구체적인 정체는 밝혀지지 못했다. 그저 상상 속에서 '이곳은
이 런 건물이 있었고, 이렇게 생겼겠구나?' 스케치 할 수 밖에는 없다. 그 가운데 정답은 있겠
지만 어느 누구도 100% 정답은 알 수 없다. 그저 마음껏 상상의 나래를 펼쳐보라~~!


▲  절터 뒤쪽 석축 - 절터와 동백숲의 경계 역할을 하고 있다.

▲  절터 한복판에 있는 이것은 무엇인고?

예전 시골에서 김치나 숙성을 요하는 음식을 담던 공간과 비슷하게 생겼다. 허나 사람들이 떠나
간 절터에서 그런 공간은 전혀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무엇을 위한 공간일까? 옛날
절터 한가운데에 있었다는 샘터의 흔적이 아닐까 여겨진다. (절터 남쪽에 있는 샘터의 조상으로
여겨짐) 이럴줄 알았으면 문화유산 해설사에게 물어보는 건데, 그만 깜박했네..


▲  붉은 주춧돌이 3열 종대를 이룬 건물터 - 무슨 건물이 있었을까?

▲  붉은 주춧돌의 위엄 - 주춧돌의 피부가 유난히 붉다. 저들은
1878년 이곳에서 일어난 기억 밖으로 꺼내기 조차 껄끄러운
대재앙의 상처를 간직하고 있다.

▲  유난히 넓은 건물터 - 법당과 그 부속 건물이 있던 자리는 아닐까?

▲  절터에서 가장 높은 부분 - 무슨 건물이 있었을까?
나한테만 살짝 이야기해주면 안될까?

▲  절터에 버려진 기와 조각들 - 기와조각을 맞추며 잃어버린
옥룡사의 모습 맞추기 퍼즐을 해보고 싶다.

▲  가장 높은 곳에서 바라본 옥룡사터 전경
옥룡사터가 동백숲에 단단히 묻혀 있어 속세에서는 절터의 속살이 보이지 않는다.

▲  절터에서 수습된 석탑 부재와 여러 석재(石材)들

옛 석탑의 일부를 이루던 돌(지붕돌과 탑신 부분)과 건물 주춧돌 등으로 쓰인 석재를 이곳에 수
습했다. 절이 그리 곱지 않게 파괴되었음을 알리는 증인들로 절이 파괴되고 절터에 대한 도굴과
속인들의 석재 절도 행위, 장대한 세월과 자연의 괴롭힘으로 형편없이 뜯겨져 초췌한 모습이 되
고 말았다. 보금자리를 잃은 저들을 도와줄 존재는 이 세상에 아무도 없었던 것이다.

세상의 버림을 받은 그들은 이곳에 모여 왕년의 시절을 그리워한다. 왼쪽에 세워진 돌기둥은 석
련(石蓮)이나 그릇 형태의 석물을 받치던 기둥으로 여겨지며, 조금의 힘만 가해도 흔들거린다.
그러니 괜히 때려 눕히지 말기 바란다.


▲  가까이서 본 석탑의 부재들
그 모습이 마치 파괴된 지 수백 년이 넘은 탑 같다.

▲  절터에서 수습된 기와조각들이 한데 모여 그들만의 조그만 세상을 이루었다.

▲  절터 동쪽 부분

▲  동쪽 부분에서 바라본 절터 전경
속세를 바라보며 자리했을 옥룡사의 모습은 자못 웅장했을 것이다.
지금은 대머리처럼 빈 자리만 요란하니 그 실감이 적을 뿐이다.

▲  절터 동쪽에 있는 토굴

절터 동쪽의 동백림을 보면 동백림 밑에 조그만 토굴이 눈에 들어올 것이다. 암석을 깨고 뚫은
토굴은 완전 몸을 반으로 접고 들어가야 될 정도로 입구가 좁다. 내가 들어가다가는 굴이 무너
질 것 같아서 몸도 사릴 겸 바깥에서 내부를 살폈으나, 내부가 어두워 보이는 건 거의 없다. 그
런데 절터에 왠 생뚱 맞게 굴이 있는 것일까? 설마 북한이나 왜열도 애들이 여기까지 굴을 파고
내려온 것은 아니겠지?
언제 생긴 굴인지는 모르겠으나 옥룡사 시절부터 있었다면 식량을 보관하던 창고나 독한 수행을
위한 공간이 아닐까 싶다. 몇몇 고승들은 절 부근에 굴을 파고 들어가 수행하면서 1주 정도에 1
번씩 음식을 들이는 것 외에는 바깥에서 굴을 막게 했다. 오로지 수행에 전념하기 위해서이다.
그렇게 수행한 대표적인 인물로는 우리나라 최초의 판사인 효봉(曉峰, 1888~1966)이 있다.


♠  동백나무숲 산책

▲  옥룡사 동백숲 서쪽 산책로

옥룡사터에서 동백숲 산책로는 2갈래가 있다. 연못을 거쳐 동백숲 서쪽으로 가는 산책로는 나무
로 신작로를 내어 경사도 완만하다. 허나 5분 정도 가면 철조망 앞에서 길은 끊어지고 만다. 마
치 휴전선 철조망처럼 말이다. 철조망 너머는 어느 개인의 땅으로 그 구역에는 동백나무는 없고
그냥 숲과 초원만 있다. 예전에는 동백숲까지도 개인 소유였으나 이제는 광양시청에서 관리하며,
관람객들은 여기서 길을 180도 돌아 다시 옥룡사터로 나와야 된다. 굳이 철조망을 넘어봐야 볼
것도 없으니 괜히 무리하지 않도록 한다.


▲  순홍의 아름다움으로 천하를 매혹시킨 동백꽃의 위엄

▲  동백숲 동쪽 산책로 고개

옥룡사터에서 오르막으로 된 동쪽 산책로(운암사 방면)를 오르면 바로 고개 중턱이다. 길은 여
기서 2갈래로 갈리는데, 동쪽 내리막으로 가면 운암사이며, 왼쪽으로 가면 도선국사 천년숲길로
백계산 정상으로 이어진다. 정상까지는 2.7km, 금목재는 3.7km이다. 나는 절터와 동백숲을 보러
온 터라 등산은 하지 않았다.

고개 갈림길에는 동백나무 밑에 쉼터를 만들어 잠시 두 다리를 쉬어가게 배려했다. 쉼터에는 고
개가 꺾여 떨어진 동백꽃이 정신없이 흩어져 있어 한폭의 멋드러진 수채화를 자아낸다.


▲  고개에서 바라본 천하 - 삼삼한 동백숲 너머로 하늘과 천하가 보인다.

▲  복원된 도선국사탑/탑비와 경보대사 탑/탑비

고개에서 동백숲을 가로질러 운암사 방면으로 내려가면 부도 2기와 비석 2기를 만나게 된다. 처
음에는 근래에 지어진 운암사 관련 승려의 탑/탑비로 생각했으나 자세히 살펴보니 그게 아니었
다. 바로 옥룡사를 세우고 꾸리던 도선국사와 경보대사의 복원된 탑/탑비였다.

도선국사와 경보대사의 탑/탑비는 1920년대에 처참하게 파괴되어 쓰러졌으며, 탑비의 비문(碑文)
도 훼손되었다. 다행히 1919년 왜정(倭政)에서 발간한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에 비문의 내
용이 있어 도선과 경보의 인생을 조금이나마 알려준다. 이후 순천대에서 절터를 조사할 때 탑과
탑비의 조각을 수습했고, 도선/경보의 유골을 안장한 것으로 보이는 석관이 발견되어 화재가 되
기도 했다.
지금의 탑과 탑비는 옥룡사터를 정비하면서 신라 후기와 고려 초기의 부도/비석 양식에 맞게 복
원된 것이라 원래 모습과는 좀 다를 것으로 보인다. 그들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나 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  선각대사 도선 징성혜등탑(澄聖慧燈塔)

▲  동진대사(洞眞大師) 경보 보운탑(寶雲塔)

도선국사야 워낙 유명한 인물이니 따로 설명은 필요없을 듯 싶다. 그가 898년에 세상을 뜨자 효
공왕은 요공선사(了空禪師)라는 시호와 함께 징성혜등(澄聖慧燈)이란 탑 이름을 내렸으며, 탑비
는 고려 의종 때 세워졌다.

경보대사(869~948)는 도선과 고향이 같은 전남 영암(靈岩)에서 알찬(閼粲) 김익량(金益良)의 아
들로 태어났다. 19세에 팔공산 부인사(符仁寺)로 출가했으며, 옥룡사에 들어와 도선의 1등 제자
가 되어 선율(禪律)을 익혔다. 화엄사(華嚴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아 정식 승려가 되었고
보령 성주사(聖住寺)와 강릉 굴산사(掘山寺)에서 선종(禪宗)을 배웠다.

892년 당나라로 건너가 이름 있는 절을 돌아다니다가 무주<撫州, 강서성(江西省)> 소산에서 조
동종(曹洞宗)의 광인(匡仁)을 만났다. 광인은 '가자미 바다에서 온 용'이라고 하면서 선법(禪法
)을 전했다. 이후 광인의 소개로 강서 지방의 노선(老善)을 찾아갔는데, 그가 '흰구름에 가리어
길이 막혔네' 운을 띄웠다. 그러자 경보가 '본디 푸른 하늘 길에 흰구름이 어찌 있나?' 답을 하
니 노선이 감동해 곁에 있게 해주었다.

거기서 얼마 동안 있다가 노선의 만류를 뿌리치고 당나라 전국을 돌아다녔으며, 921년 귀국하여
임피군(臨陂郡, 전북 군산)에 발을 내리니 후백제(後百濟)의 군주 견훤(甄萱)이 남복선원(南福
禪院)에 머물게 하면서 스승으로 예우했다. 이후 다시 옥룡사에 들어왔다가 936년 견훤이 숨을
거두자 태조 왕건(王建)이 왕사(王師)로 삼았다.

943년 태조가 붕어(崩御)하자 혜종(惠宗)과 정종(定宗)의 왕사가 되었으며, 정종의 명으로 개경
(開京)에 머물다가 옥룡사로 다시 내려와 상원(上院)에 머물렀다. 948년 열반에 임하면서 제자
들에게 '옷차림을 바로 하고, 음식을 평등히 하고, 선열(禪悅)로써 맛을 삼아라'는 임종게(臨終
偈)를 내리며, '탑과 비석을 세우지 말아라' 당부하고 눈을 감으니 그때 나이 79세 법랍(法臘)
62세였다.

그가 입적하자 정종은 옥룡선화상(玉龍禪和尙)이라 부르고, 동진대사란 시호와 보운(寶雲)이란
탑 이름을 내렸다. 비석은 958년 김정언(金廷彦)이 짓고, 비문은 제자인 현가(玄可)가 썼으며,
계묵(繼默)이 새겨서 옥룡사에 세웠다.

나말여초 시절에 크게 활약한 그들의 탑/비가 잘 살아있었다면 정말 국보급에 대접을 받았을 것
이고, 우리나라 미술사/역사학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을텐데, 그 점이 참 아쉽다. 그래도
그 유명한 도선국사가 고이 잠든 승탑(僧塔)을 보니 유명인사를 만난 듯 감개가 무량하다.


▲  운암사에서 도선/경보대사 탑으로 인도하는 동백숲길


♠  동백나무숲 동쪽 끝에 자리한 옥룡사의 이웃 사찰
백계산 운암사(雲岩寺)

▲  1칸 크기의 단촐한 운암사 산신각(山神閣)

도선/경보대사 탑에서 동쪽으로 3분 정도 내려가면 새집 냄새가 물씬 진동하는 운암사가 나온다.
옥룡사 동백나무숲은 운암사에서 더 이상 가지를 뻗지 못하고 길을 멈추는데, 여기가 바로 동백
숲의 동남쪽 한계선이다. 

운암사는 겉으로 보면 아주 최근에 지어진 역사도 거의 없는 절집으로 보인다. 나도 그렇게 생
각을 했으니까. 게다가 절을 알리는 안내문도 없으니 그런 생각을 더욱 키우게 한다. 하지만 겉
보기와는 달리 옥룡사와 관련이 있는 오래된 절로 도선국사가 옥룡사에 몰려드는 사람들을 수용
하고자 865년(옥룡사는 864년에 창건)에 창건했다고 한다. 옥룡사와 동백숲을 사이에 두고 이웃
한 절로 도선은 두 절에 머물며 제자를 양성했으며, 그 이후 쭉 옥룡사와 생사고락을 같이 했을
것이다. (옥룡사의 부속 사찰로 생각됨)

17세기까지 법등을 이어왔으나 차차 기울다가 18세기(또는 1878년)에 망하고 말았다. 망한 이유
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그리고 100여 년 뒤에 옥룡사마저 망하니, 도선이 세운 두 절은
100년 간격(또는 비슷한 시기)으로 사라져버렸다.

옥룡사와 달리 터도 희미하게 남아있던 것을 1969년에 승려 박득수가 이 자리를 매입해 절을 짓
고 운암사라 했다. 한때 옥룡사 재건을 위해 절터에 조그만 건물도 들어섰으나 운암사의 탄생으
로 말미암아 그곳에 모두 통합되었다. 어차피 동백림에 있는 절이고 역사도 거의 같으니 옥룡사
까지 무리하면서 지을 필요는 없다. 운암사가 옛 운암사와 옥룡사의 뒤를 이어 지금의 자리를
지키면 그만인 것이다.

다시 태어난 운암사는 옥룡사와 동백숲 덕분인지 짧은 시간에 벌써 많은 건물을 지어올렸다. 특
히 2007년에 완성된 황동(黃銅) 약사여래입상은 우리나라 최대 규모로 무려 40m에 이르며, 속리
산 법주사(法住寺)의 청동미륵불보다 13m가 높다. 허나 아래 10m는 약사전(藥師殿)으로 쓰이고
있어 실질적인 불상 높이는 30m이다. 그래도 법주사보다는 키다리이다. 황동이 자그만치 75톤이
소요되었다고 하며, 도선국사의 도선비기(道詵秘記)에 따라 만들었다고 한다. (도선비기의 내용
이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데..)

경내에는 대웅전과 조사전, 약사전, 삼성각, 명부전, 요사 등 8~9동의 건물이 있으며, 고색(古
色)의 내음은 전혀 없다. 소장 문화유산은 하나도 없으며, 건물도 모두 새것이라 새집 냄새가
진동한다. 그리고 하나같이 규모가 장대하고 돈을 꽤나 들인 듯, 장엄하고 화려하다.


▲  산신각 산신탱 - 산신(山神)과 호랑이, 동자 2명 등
산신 가족의 단란함이 엿보인다.

▲  조사전(祖師殿) - 운암사를 세운
도선국사의 진영(眞影)이 봉안되어 있다.

▲  산신과 칠성(七星), 독성(獨聖)이 봉안된
삼성각

▲  명부(冥府, 저승)의 식구들이 봉안된
명부전(冥府殿)

▲  똥배와 축쳐진 귀가 매력인
포대화상(布袋和尙)


▲  운암사의 법당인 대웅전(大雄殿)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석가3존불과 문수,보현보살이 봉안되어 있다.

▲  3불 2보살이 봉안된 대웅전 불단(佛壇)

▲  정면에서 본 약사전과 약사여래불

▲  약사여래불 주변

운암사의 명물인 황동 약사여래불은 2006년 여름에 짓기 시작하여 2007년 5월에 완성을 보았다.
이 땅에서 가장 큰 불상으로 무려 30m의 장대한 키를 자랑하며, 불상 밑에는 약사전이 있는데,
그 건물 높이가 10m로 일종의 대좌(臺座) 역할을 한다. 그 높이까지 합치면 40m에 이르는 거구
이다.

불상이 큰 것까지는 좋은데, 너무 높이에 연연하다보니 약사불의 표정이 영 어색하다. 보는 이
의 눈에 따라 얼마든 달리 보일 수 있겠으나 그 흔한 미소도 없고, 표정도 그리 밝아보이진 않
는다. 게다가 지나치게 크다보니 그리 정감도 가지 않고, 그를 올려다보느라 애궂은 고개만 아
프다. 그냥 외형만 중시하는 그런 분위기인 것이다. 물론 한참의 시간이 지나면 21세기 초반 불
상 양식을 잘보여준다며 지정문화재의 지위를 누릴 것이다.

동쪽을 바라보고 선 그의 왼손에는 그의 필수품인 약합이 들려져 있고, 오른손은 시무외인 비슷
한 수인(手印)을 하고 있다.

▲  절 남쪽 언덕 너머로 본 약사여래불
마치 언덕 위에 서 있는 듯 시각을
혼란시킨다.

▲  코끼리를 탄 관음보살상
약사전 앞에 2기의 코끼리를 탄 관음보살상이
있다. 이들도 장대한 규모인건 마찬가지~~
불교가 인도에서 태어난 존재이다 보니 자연히
코끼리가 많이 등장한다. (부처의 법을 상징)


▲  약사전(藥師殿)에 봉안된 약사여래불과 후불탱화

▲  운암사 연못

경내 남쪽이자 약사전 동쪽에는 동그란 모습의 큰 연못이 기를 질리게 한다. 처음 그를 봤을 때
는 무슨 수영장인 줄 알았다. 절에 왠 수영장 같은 것이 있나 싶었는데, 물 속을 살펴보니 물이
잔뜩 오른 물고기가 꼬리를 흔들며 순찰하는 모습을 보고 비로소 연못인 줄 알았다.
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식이 아닌 완전 새로운 형태의 연못으로 그 동쪽에 기도를 하고 물고
기를 방생(放生)하는 공간이 있으며, 연못 주위로 사람들의 접근을 막고자 철난간을 빙 둘러 삼
엄한 분위기까지 자아낸다. 연못을 짓더라도 전통 양식에 맞춰 정겹게 만들었으면 좋으련만 지
나치게 옥의 티를 내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  연못을 순찰하는 물고기의 위엄
다양한 피부의 잉어들이 회, 매운탕 생각을 간절하게 만든다.
오늘 저녁은 정말 매운탕 1그릇 먹어야겠다.

▲  옥룡사터, 운암사를 뒤로 하며~~

운암사를 둘러보고 약사전에 들어가 3배를 올리며 일종의 신고식을 마친 다음, 절을 나섰다. 이
제 내가 있어야 될 아비규환의 속세(俗世)로 돌아가야 될 시간이 온 것이다. 옥룡사터와 동백나
무 숲, 거기에 덤으로 운암사까지 둘러보고 나오니 어언 3시간의 시간이 흘렀다. 제자리로 돌아
가야 될 시간이 이르면 왜 이렇게 한숨이 나오고 다리에 힘이 빠지는지 모르겠다.
이제 4월이건만 여름의 제국이 벌써 도래했는지 날씨가 초여름 수준이다. 그래서 동백숲 적당한
곳에 자리 피고 한숨 자고 갈려고 했으나 그런 여유까지는 부리지 못했다.

추동으로 나와 버스 시간을 알아보니 20분 뒤에 있다고 한다. 마땅히 쉴 공간도 없어서 버스정
류장 옆인 보건지소 부근에 머물며 차를 기다리는데, 무려 15분씩이나 늦게 온다. 장날 때문에
늦은 것이라고 한다. 그 버스를 타고 광양읍내로 나와 순대국으로 점심을 먹고 광양터미널에서
순천시내버스 77번을 타고 순천시내로 이동했다.

순천(順天)도 정말 오랜만에 오는 곳인데, 어디로 갈까 궁리를 하다가 날씨가 시간 개념도 없이
덥다보니 지치기도 하고, 전날 잠을 적게 자서 피곤도 하고, 시간도 애매하고, 거기에 오늘 너
무 많은 곳을 둘러보면 탈이 날 것 같아서 내키지는 않지만 일찍 철수하기로 했다. 그래서 순천
역으로 이동하여 용산(龍山)행 무궁화호를 타고 제자리로 돌아왔다.

이렇게 하여 광양 동백꽃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고한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8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와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5년 4월 3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5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