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강화도와 황해도 사이에 자리한 큰 섬, 교동도 여름 나들이 ~~~ (교동읍성, 교동향교, 화개산 화개사, 강화나들길9코스)
도봉산고양이 2019. 6. 27. 12:07
~~~~~ 강화 교동도 나들이 ~~~~~
| |
▲ 화개산 숲길 | |
▲ 교동향교 |
▲ 교동읍성 |
강화도(江華島)와 황해도 사이에는 교동도란 커다란 섬이 떠있다. 예전에는 강화도 창후 |
♠ 교동도 입문 (교동읍성) | |
교동대교를 건넌 버스는 봉소리와 고구저수지, 교동도의 중심인 대룡리, 교동향교가 있는 읍 | |
| |
교동도에서 가장 먼저 문을 두드린 곳은 교동도의 옛 중심지인 교동읍성이다. 화개사입구 정 | |
| |
바다를 바라보고 선 남문은 문루를 상실한 채, 홍예문과 성벽, 옹성 일부만 남아있다. (최근 | |
▲ 남문 서쪽 성곽과 옹성의 흔적 |
▲ 돌담처럼 낮아진 남문 동쪽 성곽 |
| |
남문 앞에는 비석의 일부인 조그만 귀부가 누워있다. 거북 머리와 비석을 꽂던 비좌(碑座)만 | |
| |
교동읍성 남문 동쪽에는 교동부 관아터와 황룡우물, 연산군(燕山君) 유배지 등의 명소가 있 | |
▲ 성문에 새겨진 남루(南樓) 글씨 |
▲ 삼도(三道)~~ 문(門)이라 새겨진 글씨 |
|
♠ 이 땅에서 가장 오래된 향교로 꼽히는 교동향교(喬桐鄕校) | |
교동읍성을 둘러보고 화개산 남쪽 자락에 안긴 교동향교를 찾았다. 화개사입구 정류장에서 교 | |
| |
비석군에서 교동향교로 가다보면 향교의 정문인 홍살문이 마중을 한다. 홍살문은 붉은 피부로 | |
| |
보통 하마비는 '대소인원개하마(大小人員皆下馬)'라 쓰여 있으나 이곳은 '수령변장하마비(守 | |
| |
화개산 남쪽에 터를 닦은 교동향교는 고려 중기인 1127년에 창건되었다고 전한다. 원래는 화 | |
| |
향교는 조선시대에 전 고을에 설치되었다. 그러다보니 옛 고을 중심지에는 꼭 향교가 남아있 | |
| |
외삼문을 들어서면 바로 명륜당이 정면을 막고 선다. 명륜당은 공자왈~맹자왈~! 공부를 하던 | |
▲ 서재(西齋) |
▲ 동재(東齋) |
▲ 무늬만 남은 동재 굴뚝 |
▲ 굳게 닫힌 내삼문(內三門) |
| |
명륜당 뒷쪽에는 노룡암이라 불리는 조그만 돌덩어리가 기울어진 모습으로 서있다. 그의 피부 | |
| |
향교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에 향교의 중심 건물인 대성전이 자리해 있다. 남쪽을 바라보 | |
▲ 한쪽 문이 열린 서무 |
▲ 동무 (그 옆에 제기고와 명륜당으로 |
| |
교동향교에 왔다면 꼭 맛봐야 되는 존재가 있다. 바로 대성전 서쪽 담너머에 있는 성전약수이 | |
|
♠ 화개산 남쪽에 포근히 둥지를 튼 조그만 산사 |
교동향교 서쪽에는 화개사로 통하는 울창한 숲길이 있다. 이 숲길은 도보길 유행에 따라 강화 |
|
화개산 남쪽 자락에 자리한 화개사는 숲에 감싸인 조그만 산사(山寺)이다. 서울 조계사(曹溪 |
|
경내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초췌한 모습의 승탑(부도탑) 하나가 마중을 한다. 겉으로 보이는 |
|
근래 지어진 여염집 모습의 대웅전 앞에는 자태가 아름다운 소나무가 웅장하게 서있다. 나이 |
|
화개사를 둘러보고 정상으로 인도하는 산길을 조금 오르면 문무정터가 나온다. 지금이야 외마 |
|
섬 사람들의 출세 욕심이 담긴 문무정을 지나 화개산 정상으로 향했다. 자연이 닦아놓은 느긋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9년 6월 10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9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수도권 사진 답사기 > 강화도(강화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 청련사의 보물들 ~~ (청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큰법당 감로왕탱, 현왕탱, 삼장탱) (0) | 2020.05.30 |
---|---|
고려산 동쪽 자락에 안긴 강화 청련사 (국화리 소나무, 청련사 느티나무와 은행나무, 승탑) (0) | 2020.05.29 |
북녘 개성 땅이 바라보이는 강화도 민통선을 거닐다 ~~~ (연미정, 월곶돈대, 강화나들길, 강화평화전망대) (0) | 2018.06.19 |
서해바다를 건너 찾아간 그림 같은 섬과 관음성지 사찰 ~~~ 강화 석모도 보문사 (외포리, 눈썹바위 마애불) (0) | 2016.07.13 |
볼거리가 풍성한 강화도 역사기행 (봉천산 주변, 강화읍내) (0) | 2012.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