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묘당도 이충무공유적 충무사 서재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집으로 가운데 1칸은 마루, 1칸은 방, 오른쪽 1칸은 누마루로 이루어
져 있다. 건너편에 있는 동재와 함께 충무사(옛 관왕묘)를 관리하는 사람의 숙소 및 업무 공간, 제사
준비 공간으로 쓰였으며, 여기서 내삼문을 오르면 충무사 중심부이다.

 

2. 고금도 관왕묘비

서재 뒷쪽에 관왕묘비를 머금은 비각이 있다. 관왕묘비는 높이 253cm, 폭 93cm, 두께 20cm 크기
로 1713년에 세워진 것인데, 이이명이 비문을 짓고, 이우항이 글씨를 썼다. 충무사의 전신인 관왕묘
의 건립 시기(1598년)와 역사, 이순신 장군과 진린의 행적, 진린이 이순신 장군의 전사에 크게 통곡
을 했다는 내용이 담겨져 있어 역사적, 학술적으로 가치가 크다.

 

3. 비각에 담긴 관왕묘비

 

4. 반쯤 열린 관왕묘비 비각

 

5. 지붕돌을 지닌 관왕묘비

비좌와 검은 피부의 비신, 지붕돌로 이루어진 단출한 모습이다.

 

6. 충무사 동무

내삼문을 들어서면 정면으로 충무사의 중심 건물인 정전이 있고, 그 좌우로 동무와 서무가 있다. 동
무에는 이순신 장군을 도와 해전에서 크게 공을 세운 이영남 장군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는데, 건물
중앙에 봉안된 것이 아닌 옆칸에 단을 만들어 그곳에 봉안했다.

 

7. 동무에 봉안된 이영남 장군의 영정

이영남(1563~1598)은 충북 진천 기지마을에서 창신교위를 지낸 이사종의 아들로 태어났다. 자는 사
수, 본관은 양성(양성이씨)으로 어렸을 적부터 무예가 출중했는데, 1584년 별시 무과에 응시해 병과
163위로 급제했다.

임진왜란 초기(1592년)에는 원균 밑에서 경상우수군 권관으로 활동했으며, 원균이 이순신에게 연합
작전을 요청할 때 그를 주로 보냈으니 보낸 횟수가 5번이나 된다. 1597년(정유재란) 이후에는 가리
포첨사로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 밑에서 활동했으며,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작품인 노량해전 때 분
전하여 적선에 들어가 적장과 적군을 무수히 썰었다. 허나 조총에 맞고 바다에 추락한 것을 군사들이
구출했으나 결국 전사하고 만다.

1621년 병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무덤은 충북 진천군 산정면에 있다.

 

8. 가까이서 바라본 이영남 장군 영정

이영남은 생전에 모습을 남기지 못했기 때문에 그의 영정은 오로지 상상으로 그려졌다. 영정에 담긴
이영남은 백전을 겪은 장수의 모습이라기 보다는 30~40대 문관 같은 차분한 모습이다.

 

9. 충무사 정전

묘당도 이충무공유적의 중심 건물로 충무공 이순신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 원래는 1598년 진린이
세운 관왕묘의 중심 건물이 있었는데, 왜정 말기(1940년대)에 파괴된 것을 1953년에 다시 지었다.
이때 사당 이름을 충무사로 바꾸었고, 사당의 중심 존재를 이순신 장군으로 바꾸면서 완전한 이순신
사당으로 바뀌게 된다.

예전에는 관우 사당인 관왕묘를 중심으로 그 좌우에 있는 동무에 명나라 장수인 진린과 등자룡을, 서

무에 이순신 장군을 봉안했다. 즉 관우가 중심, 이순신과 진린은 보조적 존재였다. 그러다가 왜정 말
기, 관왕묘에 봉안된 관우상과 이순신, 진린 위패, 관련 유물 상당수가 강제로 폐기되고 관왕묘 건물
도 적지 않게 망가진 것을 1953년 이후, 사당을 복구해 이순신 장군을 중심으로 한 충무사로 개편했
다. (관왕묘 옆에 있던 옥천사는 부근으로 옮겨짐)

그래서 이곳에는 더 이상 관우상이나 위패는 없으며, 이순신이 정전에, 이영남이 동무에 봉안되었다.

 

10. 우수영전진도첩 안내문

우수영전진도첩은 전라우수영의 군사 조직과 운영실태, 어떤 작전을 수행하고 있었는지를 알려주는
자료이
다. 수록된 내용은 예진도, 직진도, 하방영도, 도진도, 곡진도, 학익진도, 일제향전도, 열자진도,
좌/우이로행
도, 청발방도, 군선기호, 나팔취음, 1780년 이전 고수영작대, 1781년 개작대 등이다.

1780년대 초에 제작된 것으로 여겨지며, 조선 후기에 전라우수영이 어떤 조직과 작전을 지니고 있었
는지를
알려주는 자료로 가치가 높다.

 

11. 충무사 정전에 봉안된 이순신장군 영정

남해바다의 영원한 해신 이순신 장군의 영정이다. 안타까운 것은 저 영정은 친일매국 화가인 김은호
란 작자
가 오로지 지멋대로의 상상력을 마구 남발하여 그렸다는 것이다.

 

12. 봄이 내려앉고 있는 충무사 뜨락 (충무사 정전 옆)

 

13. 충무사 정전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집으로 좌우 칸 앞에 돌계단을 늘어뜨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