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묘당도 이충무공유적 안내문

고금도의 일원이 된 묘당도에는 이순신 장군의 흔적과 그의 사당이 깃들여져 있다. 이순신 장군은
원균이 크게 말아먹은 수군을 재건하여 울돌목에서 그 유명한 명량해전을 일구었는데, 그때 이순
신의 조선 수군은 겨우 13척에 2,000명 내외, 왜군은 330척에 5만이 넘었다. 그나마 조선 수군 13
척 중 이순신이 이끄는 대장선 혼자서 한참의 시간 동안 왜의 수군을 때려잡았으며, 승기가 완전히
잡히자 뒤에서 눈치만 보던 나머지들이 대장선을 도와 신나게 왜군을 때려잡았다.

이 해전에서 왜선 31척을 격파하고 92척을 반병신으로 만들었으며, 물고기 밥으로 만든 왜군의 개
체수는 무려 18,000두가 넘었다. 그에 반해 이순신의 조선 수군은 사상자 서너 명이 전부였다. 이
것이 그 유명한 명량해전이다.

 

명량해전을 일군 이순신은 잠시 군산 선유도로 물러갔다가 전남 서해안을 장악하고 있던 왜군을 싹
토벌하며 고금도로 들어섰다. 지역 백성들은 묘당도에 조선 수군이 머물 공간을 만들어 그들을 맞
이했는데, 이순신은 수군 8,000명을 이끌고 고금도에 7달 정도 머물렀다. 이때 그의 명성을 듣고 찾
아온 백성의 수가 어마어마하여 한산도 시절보다 10배가 넘었다고 한다.

 

이순신의 조선 수군이 묘당도에 머물자 진린이 이끌던 명나라 수군도 이곳에 합류했다. 명나라 수군
은 초반에 5,000명 정도가 들어왔고, 나중에 더 추가되어 1만이 넘었는데, 처음에는 진린의 개갑질
이 심했으나 이순신의 인품과 통솔력에 크게 감동을 먹고 그의 지시를 충실히 따르게 된다. 물론 순
천 왜성에 포위되어 있던 소서행장의 뇌물을 받아처먹고 그들의 길을 일부 내주는 개짓거리를 저지
르기도 했지만 이순신의 지시를 잘 따르며 노량해전, 순천해전 등에서 열심히 싸웠고, 이순신 장군
이 전사하자 너무 비통한 나머지 여러 번 자빠지며 크게 통곡을 했다.

 

진린이 이순신 그늘에 들어가 묘당도에 머물 때, 꿈속에 촉나라 장수인 관우가 나타났다. 명나라 잡
것들은 대체로 관우를 무신으로 숭상했는데, 꿈에 나타난 것을 이유로 전쟁 승리와 군사들의 무사
함을 기원하고자 관왕묘를 세우니 그것이 묘당도 이충무공유적의 시작이다.

 

이순신 장군이 노량해전에서 전사하자 그의 시신을 묘당도 월송대에 잠시 봉안했으며, 1666년 관
왕묘 곁에 옥천사를 세워 관왕묘를 관리하도록 했고, 동무를 세워 이순신과 진린을 봉안했다. 이후
서무를 만들어 이순신을 단독 배향했으며, 1781년 정조 임금이 탄보묘 편액을 하사하면서 탄보묘
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

1940년 무렵 왜정이 관왕묘(탄보묘)에 탄압을 가하면서 관우상과 이순신, 진린의 위패, 관련 유물
을 대부분 바다에 던저벼렸다. 다행히 지역 사람들이 관왕묘를 옥천사라 내세워 관왕묘가 모두 파
괴되는 것은 면했으며, 1953년 관왕묘 자리에 이순신의 사당인 충무사를 세우면서 현재의 이충무
공 유적을 이루게 되었다.

 

묘당도 이충무공유적은 충무사를 중심으로 동무, 서무, 동재, 서재, 관왕묘비, 내삼문, 중삼문, 외삼
문, 홍살문, 하마비, 월송대 등을 지니고 있는데, 이곳의 일원이었던 옥천사는 북서쪽으로 400m 떨
어진 곳으로 이전되었다.

 

2. 하마비

충무사 입구에 자리한 하마비에는 '대소인원개하마'라 쓰여있다. 즉 이곳 앞에서는 높고 낮은 사람
모두 말에서 내려 걸어가란 뜻이다. 비석 높이는 120cm로 병오년에 중건했다고 하나 건립 시기는
전하지 않는다.

 

3. 소나무가 무성한 월송대

노량해전에서 전사한 이순신 장군의 유해를 80여 일 동안 임시 봉안했던 곳이다.

 

4. 묘당도 이충무공유적 홍살문 (충무사 홍살문)

 

5. 이순신 장군의 유해가 잠시 거쳐갔던 월송대

 

6. 월송대 내부

푸른 기운이 깃든 곳에 이순신 장군의 유해가 80여 일 정도 있었다고 한다. 이순신 장군이 노량해전
에서 전사하자 여수 충민사 자리에 잠시 봉안했다가 이곳을 거쳐 아산으로 운구되었다.

 

7. 태극마크를 지닌 충무사 외삼문

좌우 담장은 없고, 기와집 삼문만 달랑 있는 모습이다.

 

8. 충무사 중삼문 (외삼문과 내삼문 사이)

 

9. 전라도관찰사 이규현 영세불망비

 

10. 충무사 내삼문

 

11. 충무사 동재

 

12. 충무사 동재 현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