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북한산 산사 나들이 (노적사, 태고사) '
▲
태고사 원증국사탑
북한산(삼각산)은 천하 제일의 대도시로 명성이 높은 서울과 경기도의 주요 도시인 고양(高陽 |
|
♠ 노적봉 밑에 둥지를 튼 첩첩한 산주름 속의 산사 |
|
|
|
|
|
경내로
들어서면 부처의 중생구제를 향한 아련한 메세지가 담긴 범종(梵鍾)의 보금자리 범종 |
|
|
|
남쪽을 바라보며 자리한 대웅전은 2층짜리
팔작지붕 집이다. 원래 삼보당(三寶堂)이라 불렸으 |
|
|
|
적멸보궁의 우측 옆구리로
들어서면 나한전이 나온다. 나한전은 부처와 그의 열성 제자인 나 |
|
|
|
나한전 뜨락 우측에는 약사여래좌상과 석조미륵불이, 좌측에는 3층사리탑과 근래에 지어진 월 |
|
![]() |
◀ 석가여래의 진신사리가 담긴 3층사리탑 |
|
|
나한전에 이르면 '경내는 이게 전부구나, 더 이상 없겠지' 싶은 마음에 발길을
돌리기가 쉽다 |
|
|
|
삼성각 내부는 없어 보일 것 같은 외부와 달리 넓고 아늑하다. 불단에는 칠성(七星)을
비롯해 |
|
|
♠ 보우대사(普愚大師, 원증국사)가 세운 고려 후기 고찰 |
|
|
|
|
|
태고사
경내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훤칠한 키의 귀룽나무가 중생을 맞는다. 귀룽나무는 이 땅 |
|
|
|
대웅보전
좌측에는 정면 1칸,
측면 1칸의 높다란 비각이 있는데 그 안에 태고사 제일의
보물 |
|
|
|
원증국사탑비
곁에는 새롭게 청암대종사의 부도가 뿌리를 내렸다. 청암은 1964년 태고사를 중 |
|
|
|
경내에서 원증국사탑으로 오르는 길목에 산신(山神)을 봉안한 산신각이 있다. 특이하게도 돌 |
|
![]() |
![]() |
▲ 원증국사탑(圓證國師塔) - 보물 749호 |
|
태고사
경내에서 산신각을 거쳐 뒤쪽(봉성암
방면)으로 2분 정도
오르면 수려한 모습의 원증 |
|
|
|
기단의 아랫 부분에는 정교한 꽃무늬가 잔뜩 새겨져 있으며 8각의 가운데 받침돌에는 기둥무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연락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3년 9월 24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 본인의 네이버(naver) 블로그 ☞
보러가기
* 본인의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 ☞ 보러가기
Copyright (C) 2023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수도권 사진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우산과 시루봉 사이에 숨겨진 장대한 모습의 돌탑, 아차산 관룡탑 (화관암) (0) | 2023.10.19 |
---|---|
곤지암의 지명 유래가 된 광주 곤지암 바위와 산이리 고인돌(지석묘) (0) | 2023.10.12 |
북한산(삼각산) 노적사와 태고사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원증국사탑> (0) | 2023.09.24 |
충신의 매운 얼이여~~ 용인 능골에 넓게 자리한 정몽주선생묘 <저헌 이석형묘, 이석형신도비, 충렬서원> (0) | 2023.07.13 |
용인 저헌 이석형묘, 정몽주선생묘, 충렬서원 (0) | 202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