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산둘레길 옛성길 구기동 탕춘대성암문입구에서 탕춘대성암문을 거쳐 북한산생태공원 상단(독박골)까지 이어지는 2.7km의 산길이다. 생태공원 상단에서 산으로 올라가는 길과 구기동에서 탕춘대성 암문으로 올라가는 길이 경사가 좀 급할 뿐, 나머지는 구름 속을 거니는 것처럼 편한 길이다. * 탕춘대성 암문에서 바라본 천하 * 탕춘대성 암문 탕춘대성은 한양도성 인왕산 구간과 북한산성을 잇는 성곽으로 조선 숙종 때 도성 수비 및 국가시설이 밀집된 평창동, 부암동 수비를 위해 축성되었다. 구기터널 고개에 자리한 탕춘대성 암문은 구기동과 불광동을 잇던 성문이다.
' 늦가을도 걸음을 멈춘 우리나라 박물관의 성지, 성북동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 ' ▲ 간송미술관 보화각 늦가을이 절정을 향해 달려가는 10월 중순이 되면 나의 이목을 강하게 붙잡는 곳이 하나 있다. 그곳이 어디냐? 바로 성북동(城北洞)에 자리한 간송미술관이다. 우리나라 박물관의 오랜 성지 이자 늦가을이 유난히도 아름다운 명소로 아무 때나 들어갈 수 있는 곳이 아닌 1년에 딱 2번, 5월과 10월 중/하순에만 문을 연다. 그외에는 들어가지 못하며, 아무리 열려라 참깨를 외치고 참깨를 집어던져도 안으로 절대 들여보내지 않는다. 문이 활짝 열리면 간송미술관은 다양한 테마로 무료 특별전을 여는데, 그 특별전에 대한 문화 인들의 관심은 지독하기 그지 없어 중독성이 매우 강하다. 그 중독에 빠지면 간송미술관 사립..
* 관악산 문원계곡에 자리한 문원하폭포 문원하폭포는 관악산에 안긴 폭포 가운데 가장 으뜸으로 높이는 10여m이다. * 관악산 문원폭포 문원하폭포 윗쪽에서 계곡을 따라 조금 오르면 막다른 그늘진 곳에 문원폭포가 자리해 있다. 문원하폭포에 비해서는 좀 위엄이 떨어진다. * 문원하폭포 윗쪽 (가운데에 보이는 바위가 정경백바위) * 관악산의 주요 계곡인 문원계곡 * 문원폭포가 강제로 생매장을 당하는 현장, 행정공공기관 건물로 인해 저렇게 된 것이며, 생매장 구간은 짧다. 저 구간만 통과하면 다시 햇빛을 받으며 과천시내로 흘러간다. * 문원계곡으로 인도하는 좁은 숲길 (길 양쪽은 행정공공기관임)
' 서울 도봉산(道峯山) 나들이 ' (자운봉, 포대능선, 만월암, 도봉서원 주변) ▲ 도봉산 포대능선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 험준한 도봉산 포대능선 ▲ 자운봉(紫雲峰)고개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봄이 한참 무르익던 5월 노동절에 옆동네 방학동(放鶴洞)에 사는 후배와 도봉구(道峰區)의 든든 한 뒷산인 도봉산을 찾았다. 도봉산 141번 종점에서 산행을 시작하여 도봉서원과 도봉산대피소를 거쳐 산중턱에 자리한 천축 사(天竺寺)에서 1시간 정도 머물렀다. 그런 다음 마당바위를 거쳐 각박한 산길을 개미처럼 올라 자운봉고개에 이른다. 고개 직전에 도봉산의 주요 봉우리인 만장봉(萬丈峯)과 선인봉(仙人峰)이 있는데, 죄다 바위 봉우리라 출입이 통제되어 있다. (그래도 올라갈 사람은 기를 쓰고 올라감) 자운봉고개에서 길은..
* 닭실마을 충재박물관 닭실마을(유곡마을)을 크게 일군 충재 권벌의 문서와 유품 및 닭실마을 관련 자료를 전시,보존하는 박물관이다. 권벌(1478~1548)은 안동 북후면 도촌리 출생으로 1507년 벼슬에 급제하여 예조참판에 이르렀으나 1519년 기묘사화로 파직을 당해 조상이 살았던 닭실마을로 내려와 은거했다. 1533년 다시 복직되어 밀양부사가 되었으나 부친상으로 3년 동안 고향에 있었으며 1536년 한성판윤이 되어 여러 벼슬을 지냈으나 1547년 양재역벽서사건으로 구례와 삭주로 유배되었다. 그리고 1548년 삭주에서 세상을 떠났다. 충재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1507년부터 1518년까지 작성한 충재일기가 있다. * 충재박물관에 있는 충재와 충재 집안, 닭실마을 관련 문서들
* 연천 은대리성 (사적 469호) 전곡읍내 서쪽에 자리한 은대리성은 한탄강과 차탄천이 합류하는 곳 벼랑에 자리해 있다. 1995년부터 2003년까지 발굴조사를 벌여 고구려 성으로 밝혀졌으며, 발굴조사를 토대로 동벽과 목책을 복원했다. 한탄강에는 은대리성 외에도 당포성, 호루고루성 등의 삼국시대 성이 존재하여 한탄강의 전략적 중요성을 보여준다. * 은대리성에서 한탄강전망대로 가는 숲길 * 한탄강전망대 * 한탄강전망대에서 바라본 한탄강과 3형제바위 * 수면 위로 고개를 내민 바위가 3형제바위이다. (바위는 3개임)
' 태안(泰安) 서해바다 나들이 ' ▲ 신진도 갯벌 천하를 꽁꽁 버무리던 겨울 제국의 위엄이 잠시 느슨해진 2월 중순에 태안반도(泰安半島) 에 중심인 충남 태안(泰安)을 찾았다. 서울남부터미널에서 태안으로 가는 직행버스를 타고 약 2시간을 달려 태안의 관문인 태안 터미널에 도착했다. 여기서 신진도(마도)로 들어가는 군내버스를 타고 다시 40여 분을 달 려 신진도(新津島) 포구에 두 발을 내린다. ♠ 안흥 앞바다에 떠 있는 그림 같은 섬 한반도와 다리 하나로 이어진 신진도(新津島) ▲ 안흥항에서 바라본 신진도 동쪽 ▲ 한반도와 신진도를 끈끈하게 이어주는 신진대교 신진도는 태안반도의 일부를 이루는 정죽반도(程竹半島) 서쪽 끝으머리에 달려있다. 안흥과 마 주보고 있는 이 섬은 원래 안흥과 이어진 육지라고 하는..
* 충신의 대명사이자 최영과 더불어 고려의 마지막 보루이던 포은 정몽주 선생묘소 포은 정몽주(1337~1392)는 고려 충신의 상징인 3은의 하나로 경북 영천이 고향이다. 그는 성리학을 연구해 그 기초를 닦았고, 1360년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지냈다. 이성계 패거리의 힘이 나날이 커져 나라를 뒤엎고 새로운 나라를 세우려고 하자 이를 반대하며 고려 왕실을 붙들다가 1392년 개경 선죽교에서 태종 이방원의 부하 조영규에게 살해되었다. 그가 피살된 이후, 개경 인근 풍덕군에 임시로 묘를 썼다가 고향으로 이장할 때, 용인 풍덕천에 이르자 갑자기 명정이 바람에 날라갔다. 그를 추적하니 바로 지금 묘소에 떨어져 있어 하늘의 뜻으로 여겨 이곳에 묘를 썼다고 전한다. 이성계패거리에게 협조하지 않은 적이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