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여름 산사 나들이, 운길산 수종사 ' ▲ 수종사에서 바라본 천하 여름 제국의 위엄이 사해를 떨치던 7월의 첫 무렵, 일품 조망을 자랑하는 운길산 수종사 를 찾았다. 그곳의 일품 조망이 갑자기 당겨서 바로 짐을 꾸리고 가게 되었는데<짐이라고 해봐야 돈 과 카메라, 손수건 밖에는 없음> 그곳은 초등학교 말년에 1번 가본 것이 전부이다. 그때 가 어언 20여 년 전이니 거의 새로 가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그 사이 수종사는 많이 변 하여 오히려 젊어진 기분이고, 그에 반해 나는 많이 늙어버렸다. 집과 가까운 방학역(1호선)에서 1호선을 타고 회기역에서 경의중앙선으로 환승하여 운길 산역에서 내렸..

1. 운길산 수종사에서 바라본 천하 (양수리 주변, 북한강, 남한강) 2. 운길산 수종사 입구 (도자기마을 앞) 3. 수종사 일주문 4. 일주문 부근에 있는 석조미륵불입상 5. 수종사 불이문 6. 불이문에서 수종사 경내로 인도하는 계단길 7. 계단 끝에 자리한 조그만 기와문 8. 수종사의 백미, 절에서 바라본 천하북한강과 남한강, 2개의 한강이 갈라지고 합쳐지는 곳에 자리한 양수리, 그리고 광주 남종면 지역이 시야에 들어온다. 9. 수종사 대웅보전 10. 대웅보전 비로자나삼존불 11. 수종사 사리탑(왼쪽)과 8각5층석탑(오른쪽) 12. 수종사 8각5층석탑 13. 수종사 사리탑 14. 뒷쪽에서 바라본 8각5층석탑과 3층석탑, 사리탑 15. 여염집 한옥처럼 생긴 종무소 16. 조그만 샘터 17...

1. 남양주 차산리 이순지선생묘화도읍 창현리와 차산리 사이 언덕 숲에는 조선 초기 문신이자 천문학자인 이순지(?~1476)선생의 묘역이 있다. 이순지는 양성이씨 집안으로 세종의 명으로 역법을 연구하여 정인지, 정초, 정흠비, 김담 등과 '칠정산내외편(七政算內外篇)'을 저술해 조선의 역법을 정비시킨 1등 공신이다. 또한 이천, 장영실과 천문의상(天文儀象)들을 교정, 제작하기도 했다. 이순지 묘는 부인 영월신씨와 같이 묻힌 합장분으로 보통 남자 묘를 왼쪽(서쪽)에 두지만 이곳은 부인의 묘가 왼쪽, 이순지가 오른쪽(동쪽)에 안치되어 있다. 묘역 석물은 묘표(묘비)와 상석, 그리고 화표(華表)라 불리는 비석 같은 돌덩어리가 전부로 묘표는 2기가 세워져 있으며, 하엽수(연잎 형태의 비석 머리) 형태이다. 그리고 ..

1. 한확 신도비를 머금은 신도비각옛 능내역에서 가까운 능내리 다산로(옛 6번 국도) 길가에 한확 신도비를 머금은 큰 비각이 있다. 신도비는 왕족과 2품 이상의 고위 관리의 무덤에만 쓸 수 있던 비싼 비석으로 보통 신도로 통한다는 무덤 동남쪽에 둔다. 이곳 역시 한확묘 동남쪽에 신도비를 세워 그 원칙을 지키고 있다. 비석의 주인공인 한확(1403~1456)은 청주한씨 집안이다. 조선은 시작부터 명나라 주씨왕조에 지극한 저자세를 취하며 우리의 장대한 역사와 고려의 너른 영역을 아주 대차게 말아먹었는데, 초반에는 이쁘장한 어린 여인을 뽑아 명나라에 공녀까지 보내는 크나큰 국치까지 보였다. 그 과정에서 한확의 큰누이가 공녀로 명나라 조정에 팔려갔는데, 운이 좋게도 명 태종의 후궁인 여비가 되었다. 그로 인해 ..

1. 옛 중앙선 철교인 북한강철교 (구 양수철교)도보길과 자전거길로 살아가고 있는 북한강철교(구 양수철교)는 원래 중앙선 철도가 지나던 철교였다. 철교의 길이는 500m 정도로 양평 양수리와 남양주 진중리를 이어주고 있는데, 1937년 봄에 착공하여 1939년 초 완성을 보았다. 고약했던 왜정은 서울에서 양평, 원주, 제천, 단양, 영주, 안동, 의성, 영천을 거쳐 경주로 가는 철도 건설을 추진했다. 지금은 그 철로를 중앙선이라 부르지만 초기에는 경경선(京慶線, 서울의 그 시절 이름인 경성과 경주의 앞글자를 땄음)이라 했는데, 1939년 4월 청량리역~양평역을 잇는 구간이 우선 개통되었다. 이때부터 북한강철교는 69년 동안 철도 전용 철교로 살아가게 된다. 이 다리는 조선총독부 철도국 '기사오다'가 설계..
~~~~~ 한여름 산사 나들이, 불암산 불암사 ~~~~~ ▲ 평화로운 불암사 경내 여름 제국의 무더위 갑질이 속절없이 더해가던 7월의 어느 평화로운 날, 친한 후배와 정말 간만에 불암산(佛巖山) 불암사를 찾았다. 햇님이 한참 허공 복판에 머물던 15시에 석계역(1/6호선)에서 그를 만나 간단히 요기를 하 고 서울시내버스 1155번(석계역↔청학리)을 잡아타고 불암산의 남쪽 관문인 불암동(佛巖洞 )에서 두 발을 내렸다. ♠ 불암사(佛巖寺) 입문 ▲ 불암사 일주문(一柱門) 불암산(508m)은 서울 근교의 주요 명산(名山)으로 등산/나들이 수요가 엄청나다. 불암산 밑도 리에 터를 닦은 불암동은 일찌기 불암사의 사하촌(寺下村)으로 형성되었는데, 지금은 산꾼과 나들이꾼, 군부대 면회객을 상대로 장사를 하는 온갖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