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대웅전 맞은 편에 자리한 커다란 돌덩어리들봉화대처럼 높이 닦여진 2기의 돌탑 위에 머리장식을 갖춘 하얀 피부의 3층석탑이 세워져 있다. 3층석탑 밑에는 하얀 피부의 아주 조그만 불상과 보살상들이 가득 자리해 있으며, 돌탑 앞에는 마애약사삼존상이 깃든 바위가 있다. 그리고 돌탑 옆에는 일붕 서경보가 세운 대방광불화엄경 평화통일기원대비가 묵직하게 자리해 있다. 2. 백천감로수 석조백천감로수라 불리는 석조에는 와룡산이 베푼 수분이 가득 담겨져 있다. 석조 주변에는 파란 바가지들이 엎어진 상태로 꾸벅꾸벅 졸고들 있다. 3. 용왕각대웅전 앞에 자리한 용왕각은 1칸짜리 맞배지붕 집으로 용왕의 공간이다. 용왕은 바다와 강, 약수물 등 천하의 모든 수분을 관장한다. 4. 용왕각 용왕탱차분하게 그려진 탱화 한복판에..

1. 남쪽에서 바라본 산령각과 만덕전 일대만덕전 지붕 너머로 백천사의 주요 명물인 금동 피부의 아미타입불이 높이 자리해 경내를 굽어본다. 2. 오방불전 바깥 복도오방불은 가운데와 동/서/남/북에 자리한 부처를 뜻한다. 오방불전은 그런 오방불을 중심으로 조그만 금동 피부의 원불을 한가득 머금고 있는데, 조그만 원불의 갯수는 아마도 이곳이 천하 최대일 것이다. 3. 오방불전 바깥 복도건물 안에는 조그만 금동원불이 가득 들어있고, 바깥에는 금동 피부의 범종과 두꺼비상 등이 가득 자리해 그야말로 장관을 이룬다. 4. 오방불전의 주인장, 오방불과 조그만 금동 원불의 금색 물결 5. 오방불전에서 바라본 백천사 납골탑과 백운마을(절 밑에 있는 마을), 백천저수지백천사는 경내 밑부분에 납골탑 공간을 크게 만들어 절..

1. 백천사 약사와불백천사 약사와불전 안에는 장대한 규모의 약사와불이 비스듬히 누워있다. 이 땅에서 가장 큰 편에 속하는 와불로 머리부터 발까지 금동 피부를 지녔는데, 특이한 것은 와불 몸속에 석가여래를 봉안한 예불공간이 들어있어 이를 몸속법당이라고 부른다. 하여 와불의 뱃속까지 흔쾌히 구경할 수 있다.이곳 와불은 2000년대에 마련된 것으로 한때는 이 땅에서 가장 큰 와불로 꼽혔으며, 지금은 백천사의 주요 명물이자 든든한 후광으로 인기가 대단하다. 2. 약사와불 뱃속에 들어가다(약사와불 몸속법당)약사와불 발바닥에 뱃속으로 들어가는 통로가 있다. 이 땅에 와불을 지닌 절은 여럿 있지만 이렇게 와불 뱃속에 예불 공간을 둔 경우는 이곳이 거의 유일해 무지하게 눈길을 끈다. 화려하기 그지 없는 몸속 통로에..

1. 덕곡저수지백천사입구인 덕곡리에서 사천 백천사를 가려면 백천길을 따라 40여 분 걸어가야 된다. 절 밑까지 사천시내버스 145번이 운행하고 있으나 배차간격이 무지하게 좋지 못하여 택시를 타거나 사천읍내~삼천포를 오가는 사천시내버스와 진주~삼천포 완행버스를 타고 덕곡에서 내려서 걸어가는 것이 100배 낫다. 덕곡리에서 백천사까지는 오르막길의 연속으로 와룡산의 물을 먹고 자란 덕곡저수지와 백천저수지를 지나가야 되는데, 백천저수지에서 내려온 백천은 덕곡저수지에서 강제 정모를 하다가 덕곡리를 통해 바다로 흘러간다. 저수지는 농업용수와 생활용수를 위해 접근이 통제되어 있어 그림의 호수처럼 바라봐야 된다. 2. 덕곡저수지 옆구리를 지나는 백천길 (백천사 방향)백천길은 도보길이 따로 닦여져 있지 않다. 하여 수..

1. 만덕전 꼭대기에 있는 아미타입불의 위엄장대한 키의 아미타입불이 그의 본거지인 서쪽(서방정토)을 바라보고 있다. 불상 밑에는 아미타금동탑이 들어있는 공간이 있으며, 만덕전 꼭대기 부분이라 계단을 좀 올라가야 된다. 2. 아미타입불 밑 공간에 있는 아미타금동탑 3. 산령각(산신각)1칸짜리 맞배지붕 집으로 산신 식구들의 공간이다. 4. 산신할머니복돌 주변합장인을 선보이고 있는 문수동자상과 보현동자상 사이로 산신할머니 복돌이라 불리는 조그만 돌덩어리가 있다. 그는 소원을 들어주는 돌로 명성이 자자한 돌덩어리로 이와 비슷한 것이 인천 영종도 용궁사, 울산 어물동마애여래좌상 등에도 있는데, 대략 돌을 오른쪽으로 천천히 3번을 쓰다듬고 합장하는 마음으로 3번을 들어보면 된다고 한다. 그러면 복돌의 기가 ..

1. 사천 덕곡리 지석묘군 (11호 지석묘)백천사입구인 덕곡리 마을과 논두렁에 늙은 지석묘(고인돌) 15기가 전하고 있다. 이들은 한곳에 뭉쳐있지 않고 마을과 논두렁에 점점이 흩어져 있는데, 고인돌은 단군이 건국한 옛조선이 천하에 크게 웅거하던 청동기시대 유물로 특히 옛조선의 영역인 우리나라와 만주, 하북, 중원대륙에 크게 몰려있어 옛조선과 동이족의 세력 범위를 가늠하게 해주는 귀중한 유물이다. 고인돌은 지역 세력가의 무덤으로 보고 있는데, 덕곡리에 있는 것들은 형태상 바둑판식으로 덮개돌의 크기는 보통 2.2m, 너비 1.4m이며, 받침돌의 크기는 너비 40cm, 높이 20cm 정도이다. 땅속에 있는 하부구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석관일 것으로 여겨진다. 덕곡리 고인돌 식구 중에서 우연히 눈에 띈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