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만덕전 꼭대기에 있는 아미타입불의 위엄

장대한 키의 아미타입불이 그의 본거지인 서쪽(서방정토)을 바라보고 있다. 불상 밑에는 아미타금

탑이 들어있는 공간이 있으며, 만덕전 꼭대기 부분이라 계단을 좀 올라가야 된다.

 

2. 아미타입불 밑 공간에 있는 아미타금동탑

 

 

3. 산령각(산신각)

1칸짜리 맞배지붕 집으로 산신 식구들의 공간이다.

 

 

 

4. 산신할머니복돌 주변

합장인을 선보이고 있는 문수동자상과 보현동자상 사이로 산신할머니 복돌이라 불리는 조그만 돌덩

어리가 있다.

그는 소원을 들어주는 돌로 명성이 자자한 돌덩어리로 이와 비슷한 것이 인천 영종도 용궁사, 울산 어

물동마애여래좌상 등에도 있는데, 대략 돌을 오른쪽으로 천천히 3번을 쓰다듬고 합장하는 마음으로

3번을 들어보면 된다고 한다. 그러면 복돌의 기가 끌어당기는 기운이 인체에 흔쾌히 통한다며 하며,

온갖 업장이 소멸되고 각종 재앙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물론 믿거나 말거나이니 가벼운 마음으로

한번 해보길 바란다.

 

 

 

5. 금동약사여래상(약사좌불)의 위엄

후덕한 표정의 약사여래상이 그의 필수품인 약합을 두 손에 쥐어들며 중생들을 맞이한다.

 

 

6. 백천사 경내 숲길 (약사좌불 주변)

 

7. 겨울 제국에 의해 꽁꽁 봉인된 석조샘터

 

8. 물과 얼음을 머금은 청동솥

 

 

9. 약사와불전

백천사의 대표 명물로 추앙을 받는 거대한 약사와불의 공간이다. (약사와불 관련 내용은 이후 글에서)

 

 

 

10. 관세음보살상과 돌탑

커다란 돌탑 위에 특이한 자세를 보인 관세음보살상이 있고, 돌탑 사이 석조대좌에는 진정한 모습의

관세음보살상이 자리해 있다.

 

 

 

11. 소원고리를 두룬 돌거북

돌거북 머리에 소원고리를 씌우면 소원이 이루어진다나 뭐라나? 이 돌거북을 두고 '맹귀우목'이란 사

자성어를 붙였는데, 맹귀우목은 눈이 먼 거북이 우연히 바다에 뜬 나무를 붙잡아서 살았다는 뜻이다.

즉 어려운 지경에 뜻밖의 행운을 얻어서 곤란을 면했다는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