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영양산촌생활박물관 전통문화공원 연못(주역지) 귀여운 모습의 녹색 연잎들이 너른 연못을 가득 메우고 있고, 그 사이로 홍련과 백련이 고개를 들며 어여쁜 미소를 보인다. 2. 연꽃의 즐거운 향연, 전통문화공원 연못(주역지) 3. 녹색 연잎 사이로 살짝 고개를 내민 홍련 4. 녹색 연잎과 홍련들, 그리고 심청 모형상 5. 입을 굳게 닫은 홍련 6. 주역지를 중심으로 펼쳐진 전통문화공원 7. 연꽃 식구들로 가득 찬 연못(주역지)과 그 앞에 보이는 토끼와 거북이 모형상 8. 다시 선바위관광지로 (영양산촌생활박물관~석문교 구간 숲길) 영양산촌생활박물관을 둘러보고 군내버스를 타고 영양읍내로 들어가려고 했다. 경북 영양은 이번이 첫 인연으로 영양읍을 찍고 재산, 봉화를 거쳐 영주로 넘어갈 생각을 했는데, 버스 시..

1. 영양산촌생활박물관에서 만난 20세기 중/후기 지폐와 동전 선바위관광지에서 북쪽으로 800m 떨어진 곳에 영양산촌생활박물관이 있다. 이곳은 영양군에서 2006 년 9월에 세운 일종의 군립박물관으로 경북 산간 지역의 일원인 영양 지역의 역사와 생활, 문화를 다루 고 있다. 연꽃을 품은 너른 연못을 지닌 전통문화공원과 산간지방 가옥들이 재현된 전통생활체험장, 산책로, 상 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을 지닌 본관동을 지니고 있으며, 옛 영양 사람들의 손때가 깃든 오래된 생활유 물(민속유물)과 영양 곳곳에서 수습된 문화유산을 머금고 있다. 박물관 부지 면적은 20,694평방미터, 본관동 건축 면적은 1,959.19평방미터로 관람시간은 9~18시(11~2월은 17시까지), 관람비는 무료이다. 선바위관광지에서 무이산 ..

1. 선바위관광지 석문교 반변천 위에 걸린 석문교는 선바위관광지와 남이정, 무이산을 잇는 다리이다. 다리를 건너 벼랑 아랫 길을 통해 남이정과 연당교를 거쳐 선바위로 접근하려고 했으나 가는 날이 문 닫는 날이라고 남이정 으로 가는 길이 산사태 위험으로 접근이 통제되어 있었다. 2. 거대한 벼랑 석벽을 지닌 무이산 남쪽 끝자락 선바위와 남이포 북쪽으로 저 벼랑 밑도리에 남이정으로 가는 길이 있다. 그 길 외에 무이산 남쪽 능 선으로 올라가는 길도 있으나 날씨도 무지 덥고 더위를 잘 타는 저질 체력이라 산을 오를 엄두가 나 지 않는다. 3. 석문교 반변천에 걸린 석문교는 길이 176m, 폭 4m의 다리로 2004년 8월에 짓기 시작해 2005년 8월에 완성 을 보았다. 다리 주변으로 음악분수대가 닦여져 있으..

1. 영양 선바위 영양의 대표 젖줄인 반변천이 굽이쳐 흐르는 입암면 신구리에는 영양 제일의 경승지로 추앙을 받는 선바위와 남이포가 있다. 이곳은 반변천과 동천(청계천)이 만나는 곳으로 동천을 사이에 두고 거대한 바위 벼랑을 지닌 산이 그림처럼 펼쳐져 있는데, 동천 남쪽에 자리한 큰 벼랑의 뫼가 부용봉으로 그 북쪽 강변에 선바위가 촛대처럼 높이 솟아 이곳의 경관을 크게 돋군다. 선바위는 신선바위, 선바우, 입암, 선바위 남신상 등의 별칭을 지니고 있는데, 선바위 주변 강변을 남이포라 부르며, 선바위와 남이포를 늘 한 덩어리로 취급한다. 이런 경승지에는 옛 사람들이 붙인 전설이 꼭 있기 마련으로 남이장군을 흠모하던 사람들이 붙인 믿거나 말거나 전설이 한토막 깃들여 져 있으니 내용은 이렇다. 선바위 부근 운룡..

1. 영양 약산당 신구동3층석탑 옆에는 약산당이란 오래된 기와집이 있다. 이곳은 장례원 판결사를 지낸 조광의(1543 ~1608)가 학문을 닦던 곳으로 현재 집은 그의 후손들이 인조 시절에 세운 것으로 여겨진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아담한 팔작지붕 집으로 지산서당이란 별칭도 지니고 있는데, 집 주위로 담장을 빙 둘렀으며, 남쪽에 기와문을 내어 집과 바깥 세상을 이어준다. 내부 구조가 섬세해 조선 중기 건축 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비록 기와문은 굳게 잠겨 있어 안으로 들어가기는 어렵지만 사진 에 보이는 것이 전부라 바깥에서도 충분히 둘러볼 수 있다. 2. 담장 밖에서 까치발로 바라본 약산당(지산서당) 3. 약산당의 수수한 뒷모습 4. 신구리에서 선바위관광지로 이어지는 시골길(외씨버선길4코..

1. 영양 신구동3층석탑 (신구리3층석탑) 영양군 입암면의 중심지인 신구리 북쪽 신구2리 마을에 늙은 3층석탑이 있다. 그는 2중 기단과 3층 탑신, 머리장식을 지닌 신라 후기 석탑으로 탑신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으며, 지붕 돌 층단 받침이 4단으로 되어 있다. 탑 머리에는 노반과 복발 등의 머리장식이 있으며, 3층 탑신은 어느 세월이 잡아갔는지 사라지고 없는 것을 1999년에 석탑을 해체 복원하면서 새로 채워넣었다. 1층 탑신 상부에는 직사각형 사리공이 있으나 사리장치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탑 뒷쪽에는 조그만 늙은 석불이 있어 호랑이가 담배 맛을 알기 훨씬 이전부터 이곳에 탑과 석불을 보듬던 절이 있던 것 으로 여겨진다. 허나 장대한 세월이 워낙 급하게 잡아가서 절에 관한 기록은 전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