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국립대전현충원 호국철도기념관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 호국신들이 봉안된 국립대전현충원 내부 남쪽 부분에 호국철도기념관으로 쓰이고 있는 늙은 증기기관 차가 있다. 그는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정식 이름은 '미카3형 129호')란 텐더식(탄수차가 뒤에 달린 기관차) 기 관차로 1940년에 왜열도에서 제작하여 조선총독부 철도국 경성공장에서 조립했다. 이후 부산~서울~신의주 구간을 주로 운행했으며, 6.25시절에는 대전기관차 사무소 소속인 김재현 기관 사가 북한군에 포위된 미군 제24사단장 딘을 구출하고자 미국 특공대원 33명을 태워 적진으로 돌진하 여 큰 공을 세웠다. 1967년 디젤 기관차가 등장하면서 잠시 은퇴했다가 1980년대 후반에 부산~경주 구간을 운행하는 관광 열차의 기관차로 잠시 몸..

1. 1950년대 불교 정화운동과 조계종 출범 (한국근대불교문화기념관 내부) 2. 불교 소송 서류 (1950년대 불교 정화운동) 대처승과의 법정 싸움에서 필요한 이승만 대통령의 유시(1~8차)와 불교 정화 관련 각종 자료를 모은 서류이다. 3. 불교사건 서증 사본(왼쪽)과 1956년에 작성된 총무원 일지, 한국불교승단 정화사(오른쪽) 4. 선학원 2층 법당 2층 규모를 지닌 안국동 선학원은 재단법인 선학원의 중심 건물로 1층은 한국근대불교문화기념관으 로 2층은 법당으로 쓰인다. 바로 2층 법당에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늙은 신중도(신중탱)가 있다. 5. 선학원 신중도 신중도는 위태천 등 호법신의 무리를 빼곡히 담은 탱화로 주로 법당이나 그에 준하는 중요한 건물에 봉안한다. 이 신중도는 선학원에서 가장 늙은 ..

1. 대한독립선언서 하와이 대한인국민회에서 발행한 것으로 3.1독립선언서와 대한민국 임시헌장 선포문, 임시헌장 10개 조, 대한민국 임시정부 선서문, 6개 정강이 담겨져 있다. 2. 선학원 현판과 만해 한용운 동상 해강 김규진(1868~1933)이 1922년에 쓴 선학원 현판이 높이 걸려있다. 그는 옛 선학원 건물에 걸려 있던 것으로 그 앞에 선학원의 중심 인물인 만해 한용운의 동상이 의연한 모습으로 자리한다. (선학원 현판 왼쪽에 '중앙선원' 현판이 있고, 오른쪽에는 '선불장' 편액이 걸려있음) 3. 불청운동 7, 8호(왼쪽 아래)와 회광 제2호(왼쪽 위), 왜정 종로경찰서가 경성지방법원 검사에게 보 낸 신간회 동정 보고서(오른쪽 위) 4. 신간회 동정보고서(윗쪽)와 만해 한용운의 피체자 기록표(아래쪽..

1. 안국동 선학원 한국근대불교문화기념관 (경허집과 만해 한용운 선생 약연보) 북촌의 한복판인 안국동 윤보선길에 재단법인 선학원의 중심지인 선학원 한국근대불교문화기념관이 자리해 있다. 1층은 선학원의 역사과 관련 유물을 머금은 한국근대불교문화기념관으로, 2층은 선학원 법당으로 쓰이고 있는데, 북촌이 나의 오랜 즐겨찾기 명소임에도 선학원은 이번에 비로소 첫 인연을 지었다. 그동안 선학원은 그저 현대 사찰로만 알고 있어서 큰 관심을 주지 않았는데, 그곳에 지방문화 재로 지정된 늙은 신중탱이 있다는 풍문을 듣고 그를 보고자 찾은 것이다. (신중탱은 2층 법당에 있음) 선학원은 고약했던 왜정 시절 친일성향의 사판계에 조직적으로 대응하고 민족불교 수호 및 독립운동 을 위해 부산 범어사의 경성포교당 포교사 남전, ..
* 안양 안양사지 (옛 중초사지) 신라 후기에 창건된 중초사가 태조 왕건의 지원으로 증축되어 안양사로 간판을 바꿨다. 이후 고려 조정의 지원에 힘입어 삼성산 제일의 고찰로 성장했고, 우왕 시절에 최영장군이 이곳 전탑을 중수하고 1천여 명의 승려가 불사를 벌였다. 안양사는 중초사지 당간지주와 석탑이 있는 유유산업 자리에 있었는데 조선 중기 이후 절이 파괴되어 터만 남아오던 것을 제약회사인 유유산업이 들어앉으면서 절터는 땅 밑에 묻히고 안양사는 뒷쪽 산자락으로 자리를 옮겨 법등을 다시 잇고 있다. 2007년 안양시에서 유유산업 자리를 매입하면서 발굴조사를 벌였는데 땅속에 가려진 절터가 모습을 드러냈으며,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유유산업은 강원도로 공장을 옮겼고, 기존 공장 건물 상당수는 철거되어 일부만 남..
' 화성 제암리(堤岩里) 삼일절 나들이 ' ▲ 제암리 3.1운동 순국기념관 새해가 밝은지 정말 엊그제 같은데 벌써부터 삼일절(三一節)의 아침이 창 밖을 두드린다. 천 하의 주요 국경일인 3.1절을 맞이하여 무엇을 할까 궁리를 하다가 그날에 맞는 3.1절 유적지 를 찾기로 했다. 3.1절에 3.1절 명소를 찾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지만 지금까지 그것을 실행한 적은 없다. 석가탄신일에는 불교 신자도 아니면서 시간이 모자를 정도로 하루 종일 오래된 고찰(古刹)들 을 찾아 댕기면서 왜 3.1절에는 그에 어울리는 곳을 가지 않았을까?? 그래서 내 자신에게 질 문을 던지니 그날은 썩 유쾌한 날이 아니라는 답이 마음에서 강하게 메아리를 쳤다. 그렇다. 3.1절은 6.25처럼 그리 기분 좋은 날은 아니다. 이 땅의..